[BOJ / Python] 1931 회의실 배정 (Class 3)

효다몬·2022년 9월 29일
0

코딩테스트

목록 보기
23/41
post-thumbnail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120476 KB, 시간: 384 ms

분류

그리디 알고리즘(greedy), 정렬(sorting)

문제 설명

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찾아보자.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회의의 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 줄까지 각 회의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진다.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은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첫째 줄에 최대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과정

그리디 문제는 항상 어렵다...

그리디로 풀어야 한다는 것은 알겠지만, 어떠한 규칙으로 찾아야 하는지 생각해도 아이디어를 도출해내기가 너무 힘들었다.

그래서 문제에서 주는 힌트와 알고리즘 분류를 통해 힌트를 얻었다.

입력받은 회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튜플로 만들어 정렬하는 것 이다.

종료 시간으로 정렬한 뒤에, 현재 선택된 회의의 종료 시간과 다음 회의의 시작 시간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때 다음 회의의 시작 시간이 현재 회의의 종료 시간보다 일찍이면(현재 회의[종료 시간] < 다음 회의[시작 시간]), 넘기고
그 뒤면(현재 회의[종료 시간] >= 다음 회의[시작 시간]) 현재 회의로 채택하는 방식으로, 그리디하게 풀면 된다.

코드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times = []

for _ in range(N) :
    times.append(tuple(map(int, sys.stdin.readline().split())))
times.sort()

cnt = 1
prevEnd = times[0][0]

for i in range(1, N) :
    if times[i][1] >= prevEnd :
        cnt += 1
        prevEnd = times[i][0]

print(cnt)
profile
개발로 나를 계발하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