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nginx 설정 오류로 인한 사이트 장애를 겪은 후, 와탭랩스 무료 URL 헬스체크 서비스를 도입하여 실시간 웹사이트 상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목차
- 개요
- 와탭랩스 URL 헬스체크 소개
- 회원가입 및 모니터링 프로젝트 생성
- URL 헬스체크 설정
- 알림 설정 구성
- 대시보드 활용법
- 마무리
1. 개요
개인 프로젝트로 운영 중인 웹사이트에서 nginx 설정 오류로 인해 사이트에 접속되지않는 문제를 겪었습니다. 두 시간 후에야 발견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실시간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개인 프로젝트이다보니 규모가 작았고,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URL 헬스체크 서비스를 찾던 중 와탭랩스의 무료 URL 헬스체크 서비스를 발견했습니다.
2. 와탭랩스 URL 헬스체크 소개
와탭랩스는 다양한 모니터링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입니다.
그 중 URL 헬스체크 서비스는 최대 10개 도메인까지 완전 무료로 제공되며,
개인 개발자나 소규모 팀에게 매우 유용한 서비스입니다.
무료 플랜 특징
무료 제공 범위
- URL 등록: 최대 10개까지
- 모든 기능 무료 제공
- 글로벌 지역에서 모니터링 가능
- 실시간 상태 체크
- 다양한 알림 채널 지원
주요 기능
- 실시간 헬스체크: HTTP 상태 코드를 통한 접속 이상 여부 확인
- 응답 시간 모니터링: 사이트 접속 속도 측정 및 임계값 설정
- 글로벌 모니터링: 북미, 유럽, 아시아 등 주요 지역에서 사용자 관점 모니터링
- 즉시 알림: 장애 발생 시 이메일, 모바일 푸시, 3rd-party 메신저 알림
- 통합 대시보드: 여러 URL을 한 화면에서 관리
3. 회원가입 및 모니터링 프로젝트 생성
3.1 와탭랩스 회원가입
- 와탭랩스 공식 사이트 접속
- 우측 상단의 "회원가입" 버튼 클릭
-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 입력하여 계정 생성
- 이메일 인증 완료

3.2 URL 모니터링 프로젝트 생성
로그인을 하면 대시보드 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그리고 URL 모니터링을 선택 후 생성하기를 클릭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프로젝트 설정 주요 항목 설명
- 데이터 서버 지역: 모니터링 데이터가 저장될 리전 선택 (국내 서비스라면 서울 선택 권장)
- 타임존: 알림과 보고서의 기준 시간대 설정
- 알림 언어 설정: 장애 알림 메시지 언어 선택
- 프로젝트 그룹: 여러 프로젝트를 그룹으로 묶어 관리 (개인 사용시 불필요)
4. URL 헬스체크 설정
4.1 첫 번째 URL 등록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면 헬스체크를 수행할 URL을 등록합니다.

URL 등록 정보:
- 이름: 식별하기 쉬운 사이트 이름 설정
- URL: 헬스체크를 수행할 웹사이트 주소 (예: https://mysite.com)
- 확인 지역: 한국, 미국, 일본 등 선택 가능 (리전 IP도 확인 가능)
- 수집 주기: 1분 ~ 5분중 1분 단위로 선택 가능
- 이벤트 설정: 알림을 받을 상태와 메시지 및 경과 시간 n초 설정 및 메시지 설정 가능
5. 알림 설정 구성

기본적으로 이메일 수신이 가능하며
Slack, Telegram, Teams 등도 지원이 됩니다
우선 테스트로 존재하지 않는 Url을 추가하여
아래처럼 실패 메일이 오는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6. 대시보드 활용법
사이트 내 대시보드 경고 알림 > 이벤트 기록 메뉴로 접속 시
발생했던 이벤트 히스토리를 볼 수 있습니다
우측 상단 알림 버튼(종 모양)을 클릭하면
실시간으로 확인도 가능합니다

7. 마무리
와탭랩스 URL 헬스체크를 통해 개인 프로젝트의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무료 플랜만으로도 충분히 실용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설정도 간단해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