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 생 초보자가 CRDT를 직접 만들어본다..?
Socket.io를 NestJS에 적용하고 기록사항을 MongoDB와 연동하는 과정 !
드디어 RGA의 실제 코드를 작성하고 CRDT를 적용 후, 실시간 통신이 되는지 확인해볼 차례입니다.
앞서 우리 글래스모팀은 블럭형태, 텍스트형태로 CRDT를 나눠 LinkedList를 활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 부분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만들었는지, CRDT의 다중 링크드리스트 구조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몇가지 부족한 기능들이 있지만, y.js라는 라이브러리와 비교했을 때 어떤점이 다른지, 부족한 점은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
동시편집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 Caret 문제를 해결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