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 간단 정리
운영체제의 기본을 보신 뒤에 보시면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앞에서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체제 위에서 동작한다고 했습니다. 순서를 쉽게 한번 살펴보면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사용합니다.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에게 필요한 시스템 자원(하드웨어)을 요청하게
프로세스의 상태 그리고 알고리즘 앞의 포스팅에서 멀티 프로그래밍은 CPU 활용도를 극대화 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이라고 했습니다. .png) >각 박스는 CPU를 사용 중 이라는 뜻이며 공백은 CPU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그렇다면 위의 그림에서 최상의 스케줄러
프로세스(Process) 프로세스는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종종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작업(task)이라는 용어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인다. 여러 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을 멀티프로세싱이라고 하며 같은 시간에 여러 개의 프로
프로세스 스케줄링 단일프로세서 시스템(Single Processor System)에서는 한 번에 한 프로세스만 실행될 수 있다. 하지만 프로세스가 항상 CPU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거나, 프린터 등의 느린 출
CPU 스케줄링의 결정 시점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의 상태 변화가 있을 때이다.1\. 수행 → 대기2\. 수행 → 준비3\. 대기 → 준비4\. 수행 → 종료스케줄링 적용 시점에 따라 비선점형과 선점형의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비선점형은 위의 결정 시점 중 1번과
인터럽트란 CPU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급하게 다른 일을 처리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대부분의 컴퓨터는 한 개의 CPU를 사용하므로 한 순간에는 하나의 일 밖에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떤 일을 처리하는 도중에 우선 순위가 급한 일을 처리할 필요
문맥 교환 (Context Switch) 문맥 교환(文脈交換, context switch)이란 하나의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 중인 상태에서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이전의 프로세스의 상태(문맥)를 보관하고 새로운 프로세스의 상태를 적재하는 작업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것을 Inter Process Communication(IPC)라고 한다. 프로세스는 자신에게 할당된 메모리 내의 정보만 접근할 수 있고, 이를 벗어나서 접근할 경우, C언어를 배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복습 스레드를 보기전에 지금까지 이해했던 내용들을 처음부터 간단하게 다시 정리해보자면 프로그램은 운영체제 위에서 동작한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프로그램이 메모리 영역에 올라와서 실행되고 있는것을 우리는 프로세스라고 부르기로 했죠. 또한 운영체제는 이러한 프로세스에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System) 폰노이만의 구조를 기반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코드)는 반드시 메모리에 올라가져야 합니다. 이러한 메모리 용량은 보통 8 ~ 16Gb 정도로 많으면 32Gb정도 됩니다. 그런데 리눅스 운영체제에서의 예로 프로
운영체제가 저장매체에 있는 파일을 쓰기 위한 자료구조 또는 알고리즘파일 시스템을 알아보기 전에 파일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저장매체는 컴퓨터에 전원이 차단되어도 남아있을 수 있는 0과 1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였습니다.그런데 0과 1 즉, bit 단위로 데
컴퓨터를 켜서 동작시키는 절차Boot 프로그램: 운영체제 커널을 Storage에서 특정 주소의 물리 메모리로 복사하고 커널의 처음 실행위치로 PC를 가져다 놓는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