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회로에서 1비트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할 수 있는 회로
순차회로의 기본
용도 : 레지스터, 카운터, 메모리 등 데이터 저장 및 제어에 사용
입력뿐만 아니라 현재 상태(과거 정보) 에 따라서 출력이 결정되는 회로
Flip-Flop(플립플롭)을 사용하여 상태를 저장한다.
아래 회로들을 보기에 앞서
Q : 현재 출력 상태(현재 플립플롭이 0인지 1인지)
Q(t+1) : 다음 출력 상태(현재 Q에 입력이나 조건이 적용된 다음 값)
Q̅ : Q의 반대값(보수)

• 가장 기본적인 플립플롭이다.
• S(Set) 입력으로 출력 1, R(Reset) 입력으로 출력 0을 만든다.
• S=R=1일 때 불능 상태

• 입력 D를 클럭 신호에 따라 그대로 저장하는 회로이다.
• SR 플립플롭의 S, R 입력을 D 하나로 통합하여 S=D, R=D’로 구성한다.
• 입력이 하나라 S=R=1과 같은 불능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 RS 플립플롭에서 S=1, R=1인 경우 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해결한 논리회로이다.
• J는 S(Set)에, K는 R(Reset)에 대응하는 입력이다.
• J와 K가 동시에 1이면 플립플롭의 출력은 이전 출력의 보수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 JK 플립플롭의 J와 K에 동일한 값을 입력하여 만든 회로이다.
• 입력이 1이면 출력이 토글(반전)되고, 입력이 0이면 출력이 유지된다.
참고한 글
https://devraphy.tistory.com/297
https://homubee.tistory.com/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