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 리액트 Deep dive 4장 리딩 회고

henry·2024년 1월 24일
1
post-thumbnail

2024 1월 2일부터 시작한 모던 리액트 Deep dive 책 스터디가 3주동안 진행됐다.
스터디는 온라인으로 8명이서 참여했고, 각 참여자는 주차별로 할당된 한 장의 내용을 읽고 정리하여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한 장에는 5~10개의 섹션이 있다)

스터디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았다

  1. 한 참여자가 한 섹션에 대해 발표한다.
  2. 발표 이후 해당 섹션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진다.
  3. 토론이 끝나면 다음 섹션에 대한 발표자를 정한다.

이러한 같은 방식으로 스터디는 3주동안 진행되었고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했다.

문제점

1. 토론 시간이 짧았다.

발표 이후에 읽은 내용에 대한 토론 시간에 아무도 의견을 내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논의할 주제를 준비한 사람이 있어도 기존에 생각해보지 않던 주제거나 찾아보지 않았으면 의견을 내지 못 해서 스터디는 대부분의 정리한 내용을 발표 시간으로 소요됐다.

2. 스터디의 비효율성

발표가 끝나면 다음 섹션에 대한 발표자를 자발적으로 찾는 방식으로 진행했었다. 만약 다음 발표에 지원하는 사람이 없으면 룰렛을 돌려서 정했었는데 이 방식으로 시간이 불필요하게 소요된 것 같다.

3. 길어진 시간으로 인한 집중력 저하

스터디는 평균 1시간10분 ~ 1시간30분 동안 진행 됐었다. 스터디 대부분의 시간이 한 사람이 정리한 내용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이 많았고, 대부분의 발표자가 화면을 공유하지 않고 음성으로만 발표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지 시간이 지날수록 집중력이 낮아졌었다.


기존에는 스터디장의 리딩으로 진행했었지만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해 보고 싶어서 다가오는 4장의 서버사이드렌더링 스터디 리딩은 내가 해보고 싶다고 스터디장님에게 말씀을 드려서 4장 스터디를 리딩하게 되었다.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변경된 스터디 방식

1. 발표 시간을 생략

기존에는 각자 정리한 내용을 발표한 후 토론 시간을 가졌지만, 발표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토론하는 시간만 가졌다.

2. 저장소 discussion 페이지 활용

기존 스터디 방식에서는 책을 읽고 논의할 주제가 있으면 말하는 방식으로, 강제성이 없어서 그런지 질문을 안 하는 스터디원이 많았고, 내가 준비한 주제를 다른 스터디원들이 미리 찾아보지 않았던 경우 토론이 원할하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장소의 discussion페이지를 활성화 시켰다.

discussion 페이지를 사용하면 스터디원도 논의할 주제에 대해 준비해올 수 있고, 스터디 전에 미리 주제를 볼 수 있어서 토론이 잘 될 거라 생각하고 스터디원들에게 미리 논의할 주제를 준비해와달라고 공지를 했다.

스터디원들이 토론글에 많은 참여를 위해 discussion페이지에 궁금할만한 질문 템플릿을 몇 개 적어놨다

3. 화면 공유를 통한 스터디 진행

기존 방식에서는 발표자가 주로 음성으로만 발표하고 토론도 주로 대화로만 진행이 됐었다. 그러나 화면이 보여야 참여자들의 집중열기 높아질 것이라 생각해서, 스터디 시작부터 끝까지 까지 내 화면을 공유하면서 진행을 헀다. 화면은 내가 준비한 프로젝트의 화면이나 discussion페이지에 작성된 토론글을 보면서 토론도 하거나 토론 중에 나온 내용을 직접 구글링해서 같이 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스터디 후에

스터디원분들도 discussion페이지에 작성된 토론글에 대해서도 많이 참여하고 질문을 주시면서 서로 의견을 주고받아서 좋았고 내가 준비한 프로젝트의 네트워크 탭을 보면서 설명을 들으니 이해가 더 쉬웠다고 말씀해주셔서 좋았다.

기존에 리딩을 진행하시던 방장님이 감사히도 선물을 주셨습니다!!


스터디 저장소 discussion: https://github.com/diving-react/study-react-deepdive/discussions

프로젝트 저장소: https://github.com/hyjoong/nextjs-tutorial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