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4499 : 주사위 굴리기 - Python

조현수·2023년 4월 5일
0

알고리즘/백준

목록 보기
94/163
post-thumbnail

주사위 굴리기

크기가 N×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2
4 1 3
5
6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 3인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놓여져 있는 곳의 좌표는 (x, y) 이다. 가장 처음에 주사위에는 모든 면에 0이 적혀져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 주사위를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와 이동시키는 명령이 주어졌을 때, 주사위가 이동했을 때 마다 상단에 쓰여 있는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주사위는 지도의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에 쓰여 있는 수가 북쪽부터 남쪽으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주사위를 놓은 칸에 쓰여 있는 수는 항상 0이다. 지도의 각 칸에 쓰여 있는 수는 10 미만의 자연수 또는 0이다.

마지막 줄에는 이동하는 명령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동쪽은 1, 서쪽은 2, 북쪽은 3, 남쪽은 4로 주어진다.

출력

이동할 때마다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 있는 수를 출력한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sys.stdin = open("input.text", "rt")

n,m, x, y, k = map(int, input().split())
g = []
for i in range(n):
    temp = list(map(int, input().split()))
    g.append(temp)

data = list(map(int, input().split())) #명령의 개수
dice = [0] * 7 #1번~6번까지 사용
dx = [0,0,-1,1]
dy = [1,-1,0,0] #동 서 북 남 순으로 방향벡터 사용
direction = 0 #방향 번호
def turn(direction): #방향에 따른 규칙성
    #위, 뒤, 오른쪽, 왼쪽, 앞쪽, 바닥쪽 #이 방식으로 저장.
    a,b,c,d,e,f = dice[1], dice[2], dice[3], dice[4], dice[5], dice[6]
    if direction == 1: #동쪽으로 이동
        dice[1], dice[2], dice[3], dice[4], dice[5], dice[6] = d, b, a, f, e, c
    elif direction == 2: #서쪽으로 이동
        dice[1],dice[2],dice[3],dice[4],dice[5],dice[6] = c,b,f,a,e,d
    elif direction == 3: #북쪽으로 이동
        dice[1],dice[2],dice[3],dice[4],dice[5],dice[6] = e,a,c,d,f,b
    else: #남쪽으로 이동
        dice[1],dice[2],dice[3],dice[4],dice[5],dice[6] = b,f,c,d,a,e
#바닥면은 dice[6], 윗면은 dice[1]

for direction in data:
    x += dx[direction-1]
    y += dy[direction-1]

    if x<0 or x>=n or y<0 or y>=m: #예외처리
        x -= dx[direction-1]
        y -= dy[direction-1] #원상복구 시키고 돌아가야함. 이 부분이 중요했음.
        #해당 명령 무시해야 하므로 원상복구.
        continue
    turn(direction)
    if g[x][y] == 0: #지도 상에 0이면 바닥면에 쓰여있는 수 지도에 복사
        g[x][y] = dice[6]
    else: #0이 아니라면 지도에 있는 수가 바닥면으로 복사, 지도는 0으로 바뀜.
        dice[6] = g[x][y]
        g[x][y] = 0
    print(dice[1])

👻 코멘트

문제에서 맵이 주어지고 맵에 주사위를 놓는다.
그리고 주사위를 상하좌우로 굴리게 되는데 주사위와 바닥에 닿는 면은 맵의 숫자로 복사가 된다.
그리고 주사위를 굴렸을 때 주사위 위쪽 면의 숫자를 출력해야 한다.

  • 따라서 주사위 전개도를 생각하며 풀어야 하는 문제

😀 주사위를 굴렸을 때 어떻게 변하는지를 알면 이 문제를 풀 수 있었음...

규칙성을 찾고 함수에 정의해 놓으면 끝

즉 처음 주어진 주사위의 면을 보면 위, 뒤, 오른쪽, 왼쪽, 앞, 바닥 이 순서로 1~6이 주어진다.
인덱스 역시 똑같이 적용하면 된다.

⚽ 규칙성 찾는게 핵심이었음.

nx,ny 놓고 예외처리 그냥 해주고 마지막에 x,y = nx,ny로 바꿔줘는게 더 나을 것 같다.

profile
back-end, 지속 성장 가능한 개발자를 향하여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