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바구니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물건을 넣거나 뺄 때. 2. 로그인 3. 효과 주기 애니메이션과 같은 효과를 켜거나 끌 때.
🤔common 👉 ckeditor > 콘텐츠를 웹 페이지나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작성할 수 있게 하는 위지위그 리치 텍스트 에디터이다. (WYSIWYG -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보는 대로 얻는다”) 웹사이트에 게시판 기능 혹
fragment의 개념 🤔 fragment를 사용하는 이유 React는 하나의 엘리먼트만 리턴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태그를 리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부모 태그가 필요 했음. 그래서 불필요하게 div 태그를 쓰게 되었는데, fragment를 사용하면 불필
👉 컴포넌트의 수명은 보통 페이지에서 렌더링되기 전인 준비과정에서 시작하여 페이지에서 사라질 때 끝남.라이프사이클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음.생성될 때 (mount)업데이트 할 때 (update)제거할 때 (unmount) 말 그대로 생성자임.컴포넌트를 만
👉 Hook은 React 버전 16.8부터 추가됨.👉 Hook을 이용하면 기존 클래스 바탕의 코드를 작성할 필요 없이 상태 값과 여러 React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Hook은 함수 컴포넌트에서 React state와 생명주기 기능을 연동(hook into
👉 state를 언급하기 전, 다음 글에서 공부할 props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일반적으로 React에서 모든 데이터 전달 방향은 부모 컴포넌트 → 자식 컴포넌트로 향함.그래서 자식 컴포넌트에서 필요한 데이터는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의 props에 담아
🤔 fragment 🤔 props 🤔 redux
여러 프로젝트들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컴포넌트들이 있는 폴더👉 container는 Smart component 라고도 불리는데, redux와 소통하며 앱의 상태(redux state)를 제어 하는 역할.redux와 연결하고, redux로부터 받은 상태 데이터를 comp
문장을 만드는 방법은 다양하므로, 문장을 어떻게 만드느냐 도 중요함.개발자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데는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서술식) '~다'로 끝나는 완전한 문장으로 구성된 글.무엇을 '설명'하거나, '논증'할 때 주로 사용.줄거리가 있는 설명 혹은 이야기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