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에 사는 상근이와 친구들은 송도에서 열리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가려고 한다. 올해는 맥주를 마시면서 걸어가기로 했다. 출발은 상근이네 집에서 하고, 맥주 한 박스를 들고 출발한다. 맥주 한 박스에는 맥주가 20개 들어있다. 목이 마르면 안되기 때문에 50미터에 한 병씩 마시려고 한다. 즉, 50미터를 가려면 그 직전에 맥주 한 병을 마셔야 한다.
상근이의 집에서 페스티벌이 열리는 곳은 매우 먼 거리이다. 따라서, 맥주를 더 구매해야 할 수도 있다. 미리 인터넷으로 조사를 해보니 다행히도 맥주를 파는 편의점이 있다. 편의점에 들렸을 때, 빈 병은 버리고 새 맥주 병을 살 수 있다. 하지만, 박스에 들어있는 맥주는 20병을 넘을 수 없다. 편의점을 나선 직후에도 50미터를 가기 전에 맥주 한 병을 마셔야 한다.
편의점, 상근이네 집,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의 좌표가 주어진다. 상근이와 친구들이 행복하게 페스티벌에 도착할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t ≤ 50)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맥주를 파는 편의점의 개수 n이 주어진다. (0 ≤ n ≤ 100).
다음 n+2개 줄에는 상근이네 집, 편의점,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좌표가 주어진다. 각 좌표는 두 정수 x와 y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값 모두 미터, -32768 ≤ x, y ≤ 32767)
송도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생긴 도시이다. 두 좌표 사이의 거리는 x 좌표의 차이 + y 좌표의 차이 이다. (맨해튼 거리)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상근이와 친구들이 행복하게 페스티벌에 갈 수 있으면 "happy", 중간에 맥주가 바닥나서 더 이동할 수 없으면 "sad"를 출력한다.
2
2
0 0
1000 0
1000 1000
2000 1000
2
0 0
1000 0
2000 1000
2000 2000
happy
sad
출발지점에서 도착지점까지 갈 수 있는지 없는지를 구해야 하는데 중요한 것은 도착지점까지 가는 도중에 편의점에 들릴지 말지 결정하는 부분이였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다음과 같은 로직을 토대로 구현해봤다.
방문처리하는 부분에 대해서 Map 자료구조를 사용했는데 그 이유는 키의 자료형은 string뿐만 다른 자료형도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해서였다. 하지만 원시타입만 가능할 뿐 참조타입은 안된다는것을 몰랐기에 Map의 키값으로 배열을 넣고 방문처리를 구현할 수 없었다.
[1,2] === [1,2] => false
const [TC, ...input] = `4
2
0 0
1000 0
1000 1000
2000 1000
2
0 0
1000 0
2000 1000
2000 2000
0
0 0
500 501
0
0 0
500 499`
.toString()
.trim()
.split("\n");
// console.log(TC, input);
const answer = [];
const distanceBetweenTwoPoints = (x1, y1, x2, y2) => {
return Math.abs(x1 - x2) + Math.abs(y1 - y2);
};
for (let i = 0; i < input.length; i++) {
const storeCnt = +input[i++];
const start = input[i++].split(" ").map(Number);
const store = [];
let cnt = 0;
for (let j = i; j < i + storeCnt; j++) {
const [x, y] = input[j].split(" ").map(Number);
store.push([x, y, cnt++]);
}
i += storeCnt;
const end = input[i].split(" ").map(Number);
// console.log("편의점 개수 : ", storeCnt);
// console.log("출발지점 : ", start);
// console.log("편의점 모음 : ", store);
// console.log("도착지점 : ", end);
if (distanceBetweenTwoPoints(start[0], start[1], end[0], end[1]) <= 1000) {
answer.push("happy");
continue;
}
const visited = new Array(store.length).fill(0);
const queue = [];
for (let k = 0; k < store.length; k++) {
const [storeX, storeY, index] = store[k];
if (distanceBetweenTwoPoints(start[0], start[1], storeX, storeY) <= 1000) {
queue.push([storeX, storeY, index]);
visited[index] = 1;
}
}
// console.log(queue);
let idx = 0;
let flag = 0;
while (idx < queue.length) {
const [curR, curC, index] = queue[idx++];
if (distanceBetweenTwoPoints(curR, curC, end[0], end[1]) <= 1000) {
answer.push("happy");
flag = 1;
break;
}
for (let i = 0; i < store.length; i++) {
const [storeX, storeY, idx] = store[i];
if (
distanceBetweenTwoPoints(curR, curC, storeX, storeY) <= 1000 &&
!visited[idx]
) {
queue.push([storeX, storeY, idx]);
visited[idx] = 1;
}
}
}
if (flag) continue;
answer.push("sad");
}
console.log(answer.joi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