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랜만에 포스팅이다. 4학년인만큼 취업이나 프로젝트나 이것저것 하는 것이 많다보니 바쁜 핑계로 많이 미러뒀다ㅠㅠ이번 해 5월달부터 경북 테크노 파트에서 진행한 공모전을 통해 학생과 기업, 교수님과 컨소시엄을 맺어 진행하고 있는 IoT 기반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애당초

Smarthome 프로젝트는 각 가구로부터 다양한 센서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해당 데이터는 timestamp를 기준으로 값에 변화가 있는 시계열 데이터의 일종이다. 우리 프로젝트의 주요 기능은 각 가구 보호자에게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해 모니터링 기

이전 프로젝트 introduce 가 빈약해 보여 이것저것 내용을 추가…23.05 부터 기획/개발을 시작해 23.11에 마무리된 IoT 기반의 프로젝트 “Smarthome”을 소개하고자 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경북형 SW 인력양성사업의 일환으로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Smarthome 프로젝트의 주 기능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해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조회가 필수적이다. 센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DB 시스템을 구현하기에 앞서 게이트웨이 관계자분과 회의를 하는 시간을 가졌다.관계자 분께서는 각 가정마다 발생하는 수많은 센서

현재 내가 프로젝트 iot 시스템을 구현 중인데 이 프로젝트에서 mqtt 통신이 핵심이 돼 내가 공부할 겸 mqtt 프로토콜에 대해서 이해한 내용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봤다...!M2M(Machine-to-Machine)를 기반으로 하는 IoT(사물 인터넷) 개방형 프로토

이제 본격적인 프로젝트 진행에 앞서 가정에 설치할 센서 목록도 정하고 tech stack 도 픽스된 상태이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 프로젝트의 코어 로직인 각 가정에 설치된 센서 데이터를 어떻게 회사 서버 데이터베이스까지 전달하는지? 에 대해 담겨있다.먼저 센서 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