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log_둘째 날

은유로그·2021년 11월 9일
0

💃 CMUSICAL

목록 보기
2/8

Today I Did

  • Wireframe 작성
  • Prototype 정리
  • 스키마 작성
  • REST API 문서 작성
  • Github Wiki 작성

Wireframe 작성

Miro를 사용해서 간단간단하게 와이어프레임 작성했다!

Prototype 정리

Miro를 사용해서 간단간단하게 프로토타입을 작성했다! 와이어프레임과 다르게 좀 더 구체적이게 작성했다.

스키마 작성

프로젝트 시작 전에 다같이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갈 테이블(데이터)을 정리했다. 백엔드 담당 팀원분이 좀 더 깔끔하게 정리해오셨는데 다대다 관계 테이블과 조인 테이블 차이점에 대해서 얘기를 나눴다. 다대다 관계 테이블은 말 그대로 두 개의 테이블이 N:M 관계여서 중간 다리 역할하는 테이블을 직.접. 생성하고 조인 테이블은 두 개의 테이블에 공통된 컬럼이 존재해서 SQL 구문 중 JOIN을 사용해 가상의 테이블을 보여주는 것이다. 나도 조인 테이블이 맞는지 다대다 관계로 테이블을 직접 생성해야하는 것이 맞는지 헷갈렸는데 팀원분들과 열심히 얘기를 나눈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여주기 위해서 외래키를 참조하는 테이블을 생성하기로 했다.

REST API 문서 작성

클라이언트로부터 어떠한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 서버에서 어떤 응답을 보내는지 문서화했다. Gitbook, Swagger 등등 많은 서비스가 있었지만 팀으로 구성할 시 유료였기 때문에 ㅜㅜ Postman을 이용했다. 아쉽게도 Postman은 3명까지 초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나는 살짝 겉절이 느낌으로 (ㅋㅋㅋㅋ) 화면공유를 통해 확인했다. 그러다 다른 팀원 한 분께서 사정이 생겨 빠지게 되셔서 내가 들어가서 마무리를 했다!
사용한 요청 메소드는 GET, POST 정도고 각각 상황에 맞게 body를 채워 요청을 보낸 후 대략적으로 응답을 보냈다. 응답은 유효성 검사하는 부분 빼고 성공한 코드만 보내게 예시를 들었고 Token을 사용할 예정이라 Headers에 암호화된 access token도 담아 보냈다.

Github Wiki 작성

오늘 작성한 문서들을 프로젝트 레포지토리 Wiki에 작성하며 마무리했다.


힘든 점 & 느낀 점

15시간 강행군.. 힘들다 🥲
허리도 너무 아프고.. 뒷목도 너무 아프고... 중간중간에 서서 하도록 하자ㅎ_ㅠ


내일 할 일

  • UI 디자인 양식 정하기
  • TO DO list 작성하기
  • TaskCard 작성하기
profile
๑•‿•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