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자료구조/알고리즘 풀기 (2)

이원진·2023년 4월 11일
0

데브코스

목록 보기
2/54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학습 주제


  1. 연결 리스트(Linked List)

  2. dummy head를 갖는 연결 리스트

  3. 양방향 연결 리스트

  4. 스택(Stack)

  5. 후위표현 수식

  6. 후위표현 수식 계산


1. 연결 리스트(Linked List)


  • 연결 리스트를 이루는 하나의 항목을 노드라고 부르며, 각각의 노드는 데이터링크로 구성됨

  • 하나의 연결 리스트 내에서 각 노드의 데이터 타입은 다를 수 있음

  • 맨 앞의 노드는 Head, 맨 끝의 노드는 Tail이라고 부름

  • 배열 리스트에 비해 삽입/삭제는 자유롭지만, 탐색 시간 긺

  • 추상자료형

    class Node:
        def __init__(self, item):
            self.data = item
            self.next = None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self.nodeCount = 0
            self.head = None
            self.tail = None

  • 인덱스 1부터 시작

    • 0은 dummy node에 사용

  • 연산 정의

    1. 특정 원소 참조(k 번째)

        def getAt(self, pos):
      		if pos <= 0 or pos > self.nodeCount:
      			return None
      
      		i = 1
      		curr = self.head
      
      		while i < pos:
      			curr = curr.next
      			i += 1
      
      		return curr

    2. 리스트 순회(traversal)

        def traverse(self):
      		# 빈 연결 리스트의 경우
      		if self.nodeCount == 0:
      			return []
        
      		datum = []
      		curr = self.head
      
      		# 현재 노드의 값 삽입한 뒤 다음 노드 있으면 이동하고 없으면 종료    
      		while True:
      	        datum.append(curr.data)
            
      	    	if curr.next is None:
            			break
            
        			curr = curr.next
        	
      		return datum

    3. 길이 계산

        def getLength(self):
      		return self.nodeCount

    4. 원소 삽입

        def insertAt(self, pos, newNode):
      		if pos < 1 or pos > self.nodeCount + 1:
      			return False
      
      		# 맨 처음에 삽입하는 경우
      		if pos == 1:
      			newNode.next = self.head
      			self.head = newNode
      
      		else:
      			prev = self.getAt(pos - 1)
      			newNode.next = prev.next
      			prev.next = newNode
      
      		# 맨 끝에 삽입하는 경우
      		if pos == self.nodeCount + 1:
      			self.tail = newNode
      
      		self.nodeCount += 1
      		return True
      • 삽입하려는 노드(newNode)의 next를 먼저 설정하고, 이전 노드(prev)의 next를 설정해야 함을 유의

      • 빈 연결 리스트에 삽입하는 경우, head와 tail을 모두 newNode로 설정

      • 시간복잡도
        - 맨 앞 삽입/삭제: O(1)
        - 중간 삽입/삭제: O(N)
        - 맨 뒤 삽입: O(1)
        - 맨 뒤 삭제: O(N) -> tail 이전의 노드가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


    5. 원소 삭제

        def popAt(self, pos):
      		if pos < 1 or pos > self.nodeCount:
      			raise IndexError
            
      		curr = self.getAt(pos)
        
      	    if pos == 1:
      			# tail의 next -> None
      			self.head = curr.next
      
        			if self.nodeCount == 1:
            			self.tail = None
            
      		else:            
        			prev = self.getAt(pos - 1)
      
      			# 맨 끝 노드일 경우에도 prev의 다음 next를 현재 노드의 next로 바꿔줘야 함
      			# 이 경우, prev.next가 curr에서 None으로 변경됨
        			prev.next = curr.next
        
       		 	if pos == self.nodeCount:
            			self.tail = prev
            
      	    self.nodeCount -= 1
      		return curr.data

    6. 두 리스트 연결

        def concat(self, L):
      		self.tail.next = L.head
      
      		# 매개변수로 받은 연결 리스트가 비었을 경우 확인
      		if L.tail:
      			self.tail = L.tail
      
      		self.nodeCount += L.nodeCount

2. dummy head를 갖는 연결 리스트


  • 삽입과 삭제가 유연하다는 것이 연결리스트의 가장 큰 장점
    -> 이러한 장점을 살리기 위해 아래의 두 메서드를 새롭게 정의

    insertAfter(self, prev, newNode)
     popAfter(self, prev)
    • 이 경우, prev가 맨 앞인 경우는 고려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dummy node를 만들어 head로 설정

  • 추상자료형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self.nodeCount = 0
    		self.head = Node(Node)
    		self.tail = None
    		self.head.next = self.tail

  • 연산 정의

    1. 길이 계산

    2. 리스트 순회

    3. 특정 원소 참조

    4. 원소 삽입

      • insertAfter()

        def insertAfter(self, prev, newNode):
        		if prev.next is None:
        			self.tail = nextNode
        
        		newNode.next = prev.next
        		prev.next = newNode
        
        		self.nodeCount += 1
        		return True

      • insertAt()

        def insertAt(self, pos, newNode):
        		if pos < 1 or pos > self.nodeCount + 1:
        				return False
        
        		# 비어있지 않은 연결 리스트의 마지막에 삽입하는 경우
        		if pos != 1 and pos == self.nodeCount + 1:
        			prev = self.tail
        
        		else:
        			prev = self.getAt(pos - 1)
        
        		return self.insertAfter(prev, newNode)

    5. 원소 삭제

      • popAfter()

        def popAfter(self, prev):
        	# prev가 tail일 경우, 이후에 노드가 없으므로 None 반환
        	if prev.next is None:
          	  return None
        
        	curr = prev.next
        	prev.next = curr.next
        
        	if curr.next is None:
            	self.tail = prev
        
        	self.nodeCount -= 1
        	return curr.data

      • popAt()

        def popAt(self, pos):
        	if pos < 1 or pos > self.nodeCount:
         		raise IndexError
                 
            prev = self.getAt(pos - 1)
         
         	return self.popAfter(prev)

    6. 두 리스트 연결


3. 양방향 연결 리스트


  • 이전 노드로도, 이후 노드로도 이동할 수 있는 연결 리스트

  • 추상자료형

    class Node:
         def __init__(self):
              self.data = item
              self.prev = None
              self.next = None
    class DoublyLinkedList:
         def __init__(self):
              self.nodeCount = 0
              self.head = Node(None)
              self.tail = Node(None)
              self.head.prev = None
              self.head.next = self.tail
              self.tail.prev = self.head
              self.tail.next = None

  • 리스트의 맨 앞과 맨 끝에 dummy node 배치

  • 역방향 순회 가능


4. 스택(Stack)


  • 후입선출(LIFO)의 특징을 갖는 선형 자료구조

  • 언더플로우: 비어있는 스택에서 원소를 꺼내려고 시도할 때 발생하는 에러

  • 오버플로우: 가득 찬 스택에 원소를 더 넣으려고 시도할 때 발생하는 에러

  • 추상자료형

    1. size(): 현재 스택의 데이터 원소 수 계산

    2. isEmpty(): 현재 스택이 비어있는지를 판단

    3. push(x): 데이터 원소 x를 스택에 추가

    4. pop(): 스택의 최상단 데이터 원소를 추출

    5. peek(): 스택의 최상단 데이터 원소를 반환

  • 구현

    class Stack:
            def __init__(self):
                    self.data = []
    
            def size(self):
                    return len(self.data)
    
            def isEmpty(self):
                    return self.size() == 0
    
            def push(self, item):
                    self.data.append(item)
    
            def pop(self):
                    return self.data.pop()
    
            def peek(self):
                    return self.data[-1]

5. 후위표현 수식


  • 중위 표기법(Infix Notation)

    •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식 표기법

    • 연산자가 피연산자들 사이에 위치
      (A + B) * (C + D)

  • 후위 표기법(Prefix Notation)

    • 연산자가 피연산자들 에 위치
      A B + C D + *

  • 중위 표기법 -> 후위 표기법

    • 수식을 한 글자씩 검사해 피연산자는 그대로 표시

    • 연산자

      • 스택이 비었을 경우 push
      • 비어있지 않을 경우, 스택에서 우선순위가 높거나 같은 연산자 모두 pop한 뒤 현재 항목 추가

    • 여는 괄호스택에 push

    • 닫는 괄호 만나면 여는 괄호 나올 때까지 pop

    • 마지막에 스택에 남은 연산자 모두 pop

  • 연산자의 우선순위 결정

    prec = {
        '*':3, '/': 3,
        '+': 2, '-': 2,
        '(': 1
    }

  • 구현

    def infixToPostfix(S):
        answer = ''
        opStack = ArrayStack()
    
        for ch in S:
            if ch in '+-*/':
                while not opStack.isEmpty():
                    peeked = opStack.peek()
    
                    if prec[peeked] >= prec[ch]:
                        answer += opStack.pop()
    
                    else:
                        break
    
                opStack.push(ch)
    
            elif ch == '(':
                opStack.push(ch)
    
            # 닫는 괄호 나올 경우, 여는 괄호 나올 때까지 pop 
            elif ch == ')':
                while not opStack.isEmpty():
                    popped = opStack.pop()
    
                    if popped == '(':
                        break
    
                    answer += popped
    
            # 알파벳인 경우
            else:
                answer += ch
    
        # 스택에 남은 모든 연산자 pop
        while not opStack.isEmpty():
            answer += opStack.pop()
    
        return answer

6. 후위표현 수식 계산


  • 피연산자스택에 push

  • 연산자 만나면 스택에서 두 항목을 pop해 계산 후 다시 스택에 push

  • 마지막에 스택에 남은 항목이 결과값

  • 구현

    def postfixEval(tokenList):
        evalStack = ArrayStack()
    
        for token in tokenList:
            if type(token) is int:
                evalStack.push(token)
    
            else:
                curr = evalStack.pop()
                prev = evalStack.pop()
                value = 0
    
                if token == '+':
                    value = prev + curr
    
                elif token == '-':
                    value = prev - curr
    
                elif token == '*':
                    value = prev * curr
    
                else:
                    value = prev / curr
    
                evalStack.push(value)
    
        return evalStack.pop()

메모


  • 에러 발생시키는 방법

    • raise Error

  • 연결 리스트 삭제 연산 실습

    • 길이 1인 연결 리스트에서 한 항목을 pop할 경우, head와 tail을 모두 None으로 바꿔줘야 함

    • insert는 nodeCount + 1이면 맨 뒤에 삽입하지만, pop은 존재하지 않는 원소를 추출하려고 시도하는 것

    • tail의 next -> None

  • dummy head 연결 리스트 삭제 연산 실습

    • popAt() 메서드는 pos의 범위를 검사해 prev 노드를 구하는 역할만 수행

    • popAfter() 메서드에서 인자로 받은 prev 이후의 노드를 제거하고, tail 설정 및 nodeCount 감소

  • 중위 표기 -> 후위 표기 실습

    • while queue: 와 같은 방식은 안 될 수도 있으니 while not queue.isEmpty() 와 같이 메서드 사용 고려하기

  • 타입 검사

    type(element) is int
    isinstance(element, int)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