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 TV 광고의 인지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실험적 접근과 EEG 분석

이카루스·2024년 11월 7일
0

논문리뷰

목록 보기
8/9

📚 용어 & 개념 정리

📖 주요 용어 정리

용어설명관련 페이지
DOOHDigital Out of Home, 디지털 옥외광고
EEGElectro Encephalo Graphy, 뇌파 측정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기관생명윤리위원회
AIDMAAttention, Interest, Desire, Memory, Action의 약자로 광고 효과 측정 모델

💭 비평적 분석

📊 비판할 점

  1. EEG를 통한 분석결과로는 엘리베이터 TV 광고의 시청 요인들이 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없지 않나?
    1. 추가 연구는 엘리베이터 TV 광고와 다른 매체의 광고 집중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던 것이지!

📝 배워야 할 점

  1. 연구 과정을 나눠서 진행하였다는 점
    1. 설문조사 → 실험연구 프로세스
  2. 실험 전 IRB 승인 등 연구 윤리 준수
  3. 실무적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제시

📍 연구 개요

🎯 연구 목적

엘리베이터 TV 광고의 소비자 인식과 광고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는 것

📚 연구 배경

[연구 배경 요약]

  • 디지털 플랫폼의 등장으로 광고 시장이 변화
  • DOOH 분야가 뉴미디어로 자리잡으면서 엘리베이터 TV 광고 시장 증가
  • 관련 연구나 실증 조사 부족

🔬 연구 방법 & 데이터

  • 연구 설계:
    • 사전 설문조사 (160명)
    • 시나리오 기반 본 실험 (231명)
    • EEG 분석 (8명)
  • 데이터 수집:
    • 설문조사
    • 실험 관찰
    • 뇌파 측정
  • 분석 방법:
    • SmartPLS 3.0 활용
    • 부트스트래핑 리샘플링 기법
    • EEG 주파수 대역 분석

📊 주요 결과

분석 결과:

  1. 제품호감도에는 브랜드명과 기능적 정보가 유의한 영향
  2. 구전의도에는 브랜드명, 스토리, 프로모션이 유의한 영향
  3. EEG 분석 결과 TV 광고와 유사한 수준의 효과 확인

통계/분석 결과:

엘리베이터 TV 광고가 소비자의 인지도를 높이고 광고 메시지의 효과적 전달이 가능함을 실증적으로 검증

📝 결론

엘리베이터 TV 광고가 소비자의 인지도를 높이고 광고 메시지의 효과적 전달이 가능함을 실증적으로 검증

💡 논의점, 문제점, 제언

  • 논의점:
    • 광고 매체로서 엘리베이터 TV의 효과성 입증
    • 광고 요소별 차별적 효과 확인
  • 문제점:
    • EEG 실험 참가자 수 제한
    • 단일 광고 콘텐츠 사용
  • 제언:
    • 다양한 광고 소재 활용 연구 필요
    • 매개변수 분석 필요
    • 더 많은 참가자 대상 실험 확대

💭 이론적 프레임워크

  • 사용된 이론:
    • EEG 분석 이론: 뇌파 주파수 대역(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감마파)별 특성 활용
    • 호감도 이론: Fishbein & Middlestadt(1995)의 소비자 감정 반응 이론
    • 구전의도 이론: Aaker & Myers(1982)의 구전 커뮤니케이션 이론
  • 개념적 모델:
    • 광고 요인(브랜드명, 스토리, 프로모션, 기능적 정보, 디자인) → 광고 효과(제품호감도, 구전의도)
    • 매체별(TV, 엘리베이터TV, 모바일) 광고 효과 비교 모델

📊 방법론 평가

  • 연구 설계의 적절성:
    • 3단계 연구 설계(사전조사 → 본실험 → EEG분석)를 통한 체계적 접근
    • IRB 승인을 통한 연구 윤리 준수
    • 실험 환경의 통제와 시나리오 기반 실험으로 내적 타당성 확보
    • 단, 단일 광고 콘텐츠 사용으로 인한 한계 존재
  • 데이터 수집 방법의 타당성:
    •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방법(설문, 실험, 뇌파측정) 활용
    • 적절한 표본 크기(사전조사 160명, 본실험 231명)
    • 단, EEG 분석의 표본 크기(8명)가 제한적
    • 체계적인 실험 참가자 모집 및 관리
  • 분석 방법의 적합성:
    • SmartPLS 3.0을 활용한 통계적 분석
    • 부트스트래핑 리샘플링 기법으로 결과의 신뢰성 제고
    • EEG 주파수 대역 분석을 통한 객관적 데이터 확보
    • 히트맵 시각화를 통한 결과 해석 용이성 증대

💡 연구의 기여

  • 학문적 기여:
    • 엘리베이터 TV 광고 효과에 대한 최초의 실증적 검증
    • DOOH 광고 연구 분야의 문헌 확장
    •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다각적 연구방법론 제시
    • 뇌파 분석을 통한 광고 매체간 효과 비교 연구
  • 실무적 기여:
    • 엘리베이터 TV 광고의 효과성 입증으로 광고주 의사결정 지원
    • 광고 요소별 효과 분석을 통한 광고 제작 가이드라인 제시
    • 매체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광고 전략 수립 기반 제공
    • 광고주의 매체 선택을 위한 실증적 데이터 제공
  • 방법론적 기여:
    • 설문조사, 실험, EEG 분석을 통합한 혼합 연구방법론 제시
    • 시나리오 기반 실험 설계 방법론 제시
    • 광고 효과 측정을 위한 다각적 분석 프레임워크 제시
    • 뇌파 분석을 통한 광고 효과 측정 방법론 확장

📝 주요 인사이트

  • 새로운 광고 매체의 효과성 검증 방법론 학습
  • 다양한 연구방법의 통합적 활용 방안
  • EEG 분석을 통한 광고 효과 측정 방법

📖 참고할 논문

  • Adam et al. (2022) - 옥외광고 전광판 색채 콘텐츠 연구
  • Zhang and Yuan (2018) - 시선추적 기반 광고효과 연구
  • Tao et al. (2024) - AIDMA 모델 기반 엘리베이터 광고 연구

✍️ 요약 노트

엘리베이터 TV 광고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첫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했으며, 실무적으로 활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향후 더 많은 참가자와 다양한 광고 소재를 활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profile
Der Schmerz, der mich nicht töten kann, macht mich nur stärker (나를 죽이지 못하는 고통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