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Keshav의 How to Read a Paper를 읽고 그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임의로 생략한 부분이 존재할 수도 있으니, 정확한 정보를 원하신다면 해당 원본을 확인해 주세요!
연구자들은 논문을 읽는 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하지만, 논문을 읽는 법은 잘 배울 수 없다. 이 글은 연구 논문을 읽기 위한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three-pass method 를 대략적으로 설명한다.
효율적으로 논문을 읽는 법을 배우는 것은 중요하지만 거의 가르치지 않는 기술이다. 그러므로 대학원 초년생들은 시행착오를 이용하여 스스로 배워야 한다. 학생들은 그 과정에서 많은 노력을 낭비하고 종종 좌절에 빠집니다.
수 년간 나(S. Keshav)는 효율적으로 논문을 읽기 위해 단순한 접근을 사용했다. 이는 'three-pass' 라는 방법이다.
각 pass는 특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하고, 이전 pass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논문에 대한 일반적인 아이디어(주제, 어떤 글인지 등)을 알 수 있다.
논문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단, 세부 사항은 파악하지 않는다.
논문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예상 소요 시간 : 5 ~ 10 min
이 pass를 마무리할 때, Five-C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
예상 소요 시간 : 1 hr
이 pass를 마무리하면, 논문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논문의 주요 주장을 입증하는 증거와 함께 다른 사람에게 요약해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예상 소요 시간 : 4 ~ 5 hr (초보자) / 1 hr (숙련자)
논문을 완전히 이해하려면, 특히 당신이 리뷰어라면, 이 pass를 꼭 필요로 한다. 세 번째 pass의 주요한 key는 논문을 사실상 재구현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즉, 저자들과 동일한 가정을 하고, 이 작업을 다시 해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