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진행 방향

AI, ML , DL 차이

- 머신러닝에서는 특징 추출 후 분류
- 딥러닝에서는 모든 데이터를 넣고 피처+분류
Deep Learning
- Ai - Neural Network (신경망)
- 시그모이드 함수(활성화 계층)의 연속된 층이 있는 알고리즘
Deep learning Step

각 개발 환경과 Framework(Tensorflow, PyTorch) 특징을 파악해서 어떤 것을 써야할지
하이퍼 파리미터 바꿔가며 성능 파악
데이터 셋, 툴 프레임워크 및 기법

Weights & Biases

OR 게이트

XOR 게이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Multi-Perceptron 필요

Feed forword

Activation Function

미니배치 데이터 처리 (Multi Layer)


배치 이미지의 차이는 앞쪽의 숫자
Training Neural Network


Gradient Descent


Affine Layer

행렬을 구하고자 하는 층
forward forward 알고리즘
- 앞쪽으로만 가며 조정을 하는 방식
- 층이 통과할 때마다 맞는지 틀리는지를 확인하여 학습 조정
- 모델 메모리의 할당을 줄일 수 있음
Optimization (모델 최적화)
- epoch
- batch size
- iterations
- SGD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최적의 경로 찾음, 복원추출)

- Momentum (원래 이동하던 방향에 대한 관성을 어느정도 반영)

- Batch Normalization

오버피팅을 줄일 수 있음
단 배치 노말라이제이션 할 때마다 연산량이 늘어남
- Drop out

Optimizer 정리

sequential Model 코드 예시
-
단순한 모델

-
순차적이지 않은 조금 복잡한 모델

Tensorflow VS PyTorch
- 실용적인 고려 사항 (end 이미지 고려 혹은 연구 목적)
- 모델 가용성
- 배포 인프라
- 에코 시스템 (환경/하드웨어)
- PyTroch가 좀더 대중적으로 사용
- TensorFlow가 에코시스템이 더 뛰어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