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배웠던 내용들을 살펴보자. 브라우저에서 만들었던 HTTP 메시지가 여러 계층을 거치며 헤더들을 덕지덕지 붙여나갔다. 이후 랜 카드를 거쳐, 신호로 변환되었다. 앞으로는 이러한 신호가 어떻게 인터넷 공간까지 이동하는지에 대해 다룬다. 앞서 간략하게 소개하겠다
HTTP/0.9 ~ HTTP/3까지의 변천사를 알아보자.와 같이get 메서드와 html 데이터만 전송할 수 있었다.별도 버저닝이 되어있지 않았으나, 이후 생겨난 버전들과 구분하기 위해 0.9버전이라고 부른다.와 같이버전 정보 삽입 가능헤더 추가Content-Type 헤
프로토콜 스택의 계층별 역할TCP: 접속, 송수신, 연결 끊기IP: 패킷 상대 송신패킷: 헤더 + 데이터헤더MACIPTCP데이터클라이언트에서 패킷 생성중계장치로 송신표를 확인하여 다음 중계장치 결정다음 중계장치로 송신(3), (4) 반복서버에 패킷 도착라우터: 목적지(
디버거에 대해 알아보자.우리가 보통 IDE를 통해 코딩을 하게 되면 실행 옆에 있는 벌레 모양 아이콘을 만나게된다. 이는 디버깅을 위한 아이콘이다. 디버깅은 실행과는 다르게 오류를 찾아 제거하기 위해 존재하며, 프로그램을 중단점에서 중지시키고 데이터 상태, 콜 스택 상
지난 장까지는 웹 브라우저에서 어떻게 HTTP 메시지를 만드는지 살펴보았다. 이번 장에서는 만든 HTTP 메시지가 어떻게 컴퓨터를 빠져 나가는지를 살펴보자.브라우저(어플리케이션)가 부탁한 HTTP 메시지 요청은 운영체제와 하드웨어를 거쳐 컴퓨터를 빠져나간다. 이 후 요
여태까지 연산, 저장 장치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장치들은 대부분의 컴퓨터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있다. 그렇다면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는 장치들은 무엇이 있고 어떻게 처리하고 있을까? 이에 대해 알아보자. 입출력장치는 컴퓨터 내부와 외부 간 통신을 할 수 있
SSH는 컴퓨터 사이에 안전하게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 구성된 프로토콜이다. 1. 정확한 정의가 무엇인지 2. 어떻게 해서 안전한 것인지 3. 실제로 접속하는 방법 에 대해 알아보자. SSH의 정의 SSH란 Secure Shell의 약자로, 안전하게 원격에 있는 컴퓨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를 비롯하여, 많은 컴퓨터들은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HDD, SSD, 플래시 메모리등의 보조기억 장치를 활용한다. 이들에 대해 알아보자. 하드 디스크 하드 디스크(HDD; Hard Disk Drive)는 자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
S3 PreSigned Url이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S3 PreSigned Url이란? 일반적으로 S3를 사용하는 웹 어플리케이션들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파일을 업로드, 다운로드하였다. (multipart/form-data를 통한 파일
성능에 대해 논할 때는 성능이란 무엇인지 정의하는 게 중요하다 하셨다.cpu에 있어 성능이랑 무엇일까? 속도, 병렬처리, 정확성 등이 있을 수 있다.백엔드를 개발함에 있어, 속도, 병행처리, 정확성 향상은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주고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작년과 마찬가지로 학교생활을 이어갔다. 취업, 휴학을 한 선배와 친구들을 뒤로하고 복학을 한 반가운 친구들, 새롭게 알게된 후배들과 함께 비슷하지만 새로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었다. 목표 점검 이번 상반기의 목표는 좋아하는 개발자분의 조언에 따라 즐기며 개발하기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