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환 기술

Sunhee·2024년 4월 22일
0

컴퓨터 네트워크

목록 보기
11/21
post-thumbnail

여러 장치들 간에 일대일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접속 형태에는 그물형과 성형이 있다.
그물형은 여러 장치들을 각 쌍으로 점대점(point-to-point)으로 링크하는 방법이고,
성형은 하나의 중앙장치를 두고 이것과 다른 장치들 간의 점대점으로 링크하는 방법이다.

그물형과 성형은 매우 큰 망에 적용하였을 때 링크와 수와 길이에 있어 너무 많은 하부 구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고, 대부분의 시간 동안에는 링크의 대다수가 비어 있게 되어서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환 방식을 이용한다. 교환망은 교환기(switch)라 불리는 상호 연결된 노드의 열들로 구성된다. 교환기란 교환기에 연결된 둘 이상의 장치 사이의 임시적인 연결을 만들 수 있는 하드웨어적이거나 소프트웨어적인 장치이다. 교환망에서, 이 노드들 중 몇몇은 통신 장치에 연결되고 나머지는 전달을 위해서만 사용한다.

교환기
교환기는 멀리 떨어져 있는 단말기들 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중간에서 회선을 연결해 주는 장치이다.

**교환 기술**은 복잡한 통신 회선과 교환기를 결합시켜 접속 회선 수를 감소시키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교환 방식에는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방식, 메시지 교환(message switching) 방식이 있다. 이중에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메시지 교환 방식
메시지교환(messageswitching) 방식은 메시지 교환기가 송신자의 전체 메시지를 저장하였다가 적절한 경로가 발견되면 해당 경로를 따라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보내주는 방식이다. 메시지 교환 방식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패킷 교환 방식과 비슷하다. 패킷 교환 방식은 메시지 단위로 교환한다. 패킷은 메시지의 전송 단위로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적당한 크기로 나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