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개념

Sunhee·2024년 4월 22일
0

컴퓨터 네트워크

목록 보기
10/21
post-thumbnail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먼저 적절한 형태의 전기 신호로 변환해야 한다.
전기 신호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있다.

아날로그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는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 전압, 시간, 저항과 같이 수학적 관계에 따르는 물리적 변수의 신호이다.
아날로그는 어떤 양을 ㅍ시할 때 연속적인 물리량을 나타낸다. 시간의 측정은 아날로그도 디지ㅓㄹ도 될 수 있다. 아날로그 시계의 바늘은 분과 분 혹은 시간 사이를 뛰어 넘지는 않는다. 바늘은 12시간 주기 내의 모든 중간 구역을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디지털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는 아날로그 신호와 대비되는 신호 형태로, 아날로그 신호가 연속적인 변화를 나타내는데 비해 디지털 신호는 신호의 유무, 켜짐(ON)과 꺼짐(OFF), 1과 0등과 같이 사용한 이진법적으로 표현한 불연속적인 신호를 말한다.
디지털 신호는 0과 1을 사용한 2진 부호로 나타낸 불연속적인 정보이다. 레이저의 꺼지고 켜짐이 디지털 신호의 0과 1에 대응된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변환

정보(information)는 통신 매체를 통해 전송하기 전에 신호로 변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A/D(analog to Digital) 변환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D/A(Digital to Analog) 변환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상호 변환을 위해서는 모뎀(MODEM), 코덱(CODEC), 디지털 서비스 장치(DSU) 등을 사용한다.

디지털 서비스 장치(DSU: Digital Service Unit)

  • 디지털망에 사용하는 회선 종단 장치
  • 컴퓨터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 회선에 적합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그 반대의 과정을 수행한다.
  • 신호의 변조 과정 없이 단순히 신호 변환만 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속도가 빠르고 오류율이 낮다.

모뎀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은 데이터 처리기에 적합한 데이터의 형태를 전송 장치에 적합한 형태로 전환하는 장치로 변복조 장치라고도 한다.

아날로그 통신 채널로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형태의 비트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주는 것을 변조(modulation)라고 한다. 반대로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주는 것을 복조(demodulation)라고 한다. 변복조 장치는 아날로그 전송선과 디지털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코덱

코덱(CODEC)은 음성 또는 영상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더(coder)와 그 반대로 변환시켜 주는 디코더(decoder)의 기능을 함께 갖춘 기술을 말한다. 즉, 음성이나 비디오 데이터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디지털로 바꿔 주고, 그 데이터를 컴퓨터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모니터에 본래대로 재생시켜 주기도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