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포스트는 영진닷컴,『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NetWork 원리』, Gene 저·김성훈 역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오늘날 웹브라우저는 단순히 웹사이트만 보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닙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웹브라우저를 유저 인터페이스로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웹 애플리케이션
이라고 합니다.
예정에는 기업이 사내에서 이용할 업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접하는 화면 레이아웃이나 입력 파라미터 처리 등도 모두 만들어야 합니다. 또 개발한 업무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 PC에 설치해야 합니다. 게다가 많은 직원이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PC의 업무 애플리케이션을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는 일은 매우 부담이 큰 작업입니다.
반면에, 웹 애플리케이션은 웹브라우저를 유저 인터페이스로 이용하므로, 클라이언트 PC용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설치해 둘 필요가 없습니다.
웹브라우저만 설치되어 있으면 그것으로 OK입니다. 웹서버 쪽에서 화면 레이아웃 구성이나 입력 파라미터 확인 및 처리를 어떻게 할지 결정하기만 하면 됩니다. 처리 자체는 웹서버가 아니라 별도 애플리케이션 서버
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다시 데이터베이스 서버
와 연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예로서, 구글 캘린더 등의 일정 관리나 복수의 사용자 사이에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그룹웨어, 증권사의 홈 트레이딩, 은행의 인터넷 뱅킹, 온라인 쇼핑 등을 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