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포스트는 영진닷컴,『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NetWork 원리』, Gene 저·김성훈 역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웹브라우저
입니다. 널리 이용되는 웹브라우저에 'Google Chrome', 'Microsoft Edge/Internet Explorer' 'Mozila Firefox', 'Apple Safari'가 있습니다.
웹브라우저는 대개 특별한 설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프록시 서버를 이용할 때는 프록시 서버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설정합니다.
또한, 웹서버는 웹서버 애플리케이션
이 필요합니다. 주요 웹서버 애플리케이션으로는 'Apache'나 'Microsoft IIS'가 있습니다.
웹서버 애플리케이션에는 공개할 웹사이트의 파일을 저장한 장소(디렉터리)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웹 접속에 이용하는 프로토콜은 HTTP입니다. 또한, 트랜스포트층에는 TCP를, 인터넷층에는 IP를 이용합니다. HTTP의 웰노운 포트는 80입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은 대부분 이더넷을 이용합니다.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는 웹사이트 주소인 URL을 이용합니다. 그 URL로부터 웹서의 IP 주소를 구하는 이름해석을 하기 위해서 DNS가 필요합니다. DNS와 ARP는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사용자가 그다지 의식할 일은 없지만, 매우 중요한 프로토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