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공부를 위한 기초 한자 공부 (600/1800) - 41 ~ 50일차

Kiwoong Park·2024년 8월 14일
0

한자를 외워보자

한자를 그림으로만 외우려니 한계가 있을 것 같아 기초 한자를 정리한 자료를 통해 조금 더 효율적으로 공부해보자
위키낱말사전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
중고등 필수한자 1800 - 네이버블로그
파고다 JLPT N3 최빈출 한자어휘 500자

1800단어로 150일간 나눠서 외운다고 치고 12자씩 정리해보자✍

8.5.월.(41일차)

  1. 이룰 성(成) :

    예시 : 성공(成功: 공을 이룸), 성사(成事), 달성(達成)

  2. 機械(きかい - 기계) : 베틀 기(機), 기계 계(械)
    木: 나무 목 幾: 몇 기
    나무(木)로 만든 베틀(幾)은?
    나무로 만든 베틀은 ‘베틀’이지요.
    예시 : 기계(機械: 베틀과 형틀/ 동력을 써서 작업을 하는 장치), 기기(機器), 기관(機關)
    🚂 ‘機’는 ‘틀 기’라고도 합니다.

  3. 몇 기(幾) : 幺: 작을(실) 요 幺: 작을(실) 요 戈: 창 과 人: 사람 인
    날실들(幺幺) 사이로 창(戈) 같은 북을 사람(人)이 넣는 기계인 베틀을 쓰면?
    날실들 사이로 창 같은 북을 사람이 넣는 기계인 베틀을 쓰면 일이 ‘몇’ 배는 빨라지지요.


    예시 : 기십(幾十), 기백(幾百), 기만(幾萬)

  4. 기계 계(械) : 木: 나무 목 戒: 경계할 계
    나무(木)로 만든 건데 경계해야(戒) 하는 것은?
    나무로 만든 건데 잘 작동하는지 경계해야 하는 것은 형틀 따위의 ‘기계’이지요. 형틀 : 죄인을 심문할 때 앉히던 형구, 죄를 지은 사람에게 경고와 함께 주의(경계할 계,戒)를 주기위해 나무로 만든 기구
    예시 : 기계(機械: 베틀과 형틀/ 동력을 써서 작업을 하는 장치)

  5. 機会(きかい - 기회) : 베틀 기(機), 모일 회(會)의 신자체(会)
    만들어진 기계, 도구들이 모여 만드는 것이 기회임.

  6. 期限(きげん - 기한) : 기약할 기(期), 한할 한(限)
    其: 그(키) 기 月: 달 월
    키(其)질 된 달(月)이 나타내는 것은?
    ‘期’는 키질 된 달이 나타내는 것인 ‘기간’(其間: 어느 때부터 다른 때까지의 사이)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기간을 정하여 하는 것인 ‘기약함’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기약(期約: 기간을 정하여 약속함), 기간(期間), 시기(時期)

  7. 한할 한(限) : 阝: 언덕 부 艮: 그칠 간
    언덕(阝)에서 그치는(艮) 것은?
    언덕에서 오르다 그치는 것은 ‘한함’이지요.
    예시 : 한함(限함: 어떤 범위로 제한되거나 국한됨), 한정(限定), 한계(限界), 극한(極限), 국한(局限), 무한(無限), 한시적(限時的)

  8. 技術(ぎじゅつ - 기술) : 재주 기(技), 재주 술(術)
    扌: 손 수 支: 지탱할(가지) 지
    손(扌)의 가지(支)로 부리는 것은?
    손의 가지인 손가락으로 부리는 것은 ‘재주’이지요.
    예시 : 기술(技術: 재주), 기교(技巧), 기능(技能)

  9. 재주 술(術) : 行: 다닐(거리) 행 朮: 삽주 출
    거리(行)에서 삽주(朮)가 자라는 것은?
    거리 한복판에서 삽주가 밟혀 죽지 않고 자라는 것은 ‘재주’이지요.
    예시 : 예술(藝術: 재주), 기술(技術), 전술(戰術)

    🌻🌼 삽주: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

  10. 傷(きず - 상처) : 다칠 상(傷)

    예시 : 상함(傷함: 다침), 상처(傷處), 부상(負傷)

  11. 基礎(きそ - 기초) : 터 기(基), 주춧돌 초(礎)
    石: 돌 석 楚: 회초리 초
    돌(石)인데 회초리(楚)처럼 생긴 나무 기둥들의 발 같은 것은?
    돌인데 ‘회초리처럼 생긴 나무 기둥들(林)’의 발(疋) 같은 것은 ‘주춧돌’이지요.

    예시 : 초석(礎石: 주춧돌), 기초(基礎)

  12. 規則(きそく - 규칙) : 법 규(規), 법칙 칙(則)
    夫: 지아비(사내) 부 見: 볼 견
    사내(夫)가 보는(見) 것은?
    사내가 시비 따위를 명확히 가리려고 보는 것은 ‘법(法)’이지요.
    예시 : 법규(法規: 일반 국민의 권리와 의무에 관계있는 법 규범), 규칙(規則), 규정(規定)

8.6.화.(42일차)

  1. 期待(きたい - 기대) : 기약할 기(期), 기다릴 대(待)
    彳: 조금 걸을 척 寺: 절(관청) 사
    관청(寺)에서 조금씩 걷고(彳) 있는 것은?
    관청에서 조금씩 걷고 있는 것은 줄을 서서 자기 차례를 ‘기다림’이지요.
    예시 : 대기(待機: 때를 기다림), 기대(期待), 고대(苦待)
  1. 帰宅(きたく - 귀가) : 돌아갈 귀(歸)의 신자체(帰), 집 택(宅)
    阜 : 언덕 부 止: 그칠(발) 지 帚: 비 추
    비(帚)로 청소하고 언덕()으로 발(止)을 옮기는 것은?
    비로 일터를 청소하고 집이 있는 언덕으로 발을 옮기는 것은 ‘돌아감’이지요.
    예시 : 귀가(歸家: 집으로 돌아감), 귀환(歸還), 복귀(復歸)

  2. 집 택(宅) : 宀: 집 면 乇: 의지할 탁
    집(宀)인데 의지하는(乇) 곳은?
    집인데 몸을 의지하는 곳은 ‘집’이지요.
    예시 : 주택(住宅: 사는 집), 자택(自宅), 고택(古宅)

  3. 切手(きって - 우표) : 끊을 절(切), 손 수(手)
    七: 일곱 칠 刀: 칼 도
    일곱(七) 번 칼(刀)질하는 것은?
    일곱 번이나 칼질하는 것은 어떤 물체를 모두 ‘끊음’이지요.
    ✍ ‘切’은 ‘모두 체’라고도 합니다.
    📚 일체(一切): 모두 또는 모든 것

  4. 記念(きねん - 기념) : 기록할 기(記), 생각 념(念)
    言: 말씀(말) 언 己: 몸(꿇어앉은 모양) 기
    말(言)을 꿇어앉아(己) 쓰는 것은?
    말을 바닥에 꿇어앉아 쓰는 것은 ‘기록함’이지요.
    예시 : 기록(記錄: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기술(記述), 필기(筆記)

  5. 생각 념(念) : 今: 이제(지금) 금 心: 마음 심
    지금(今) 마음(心)으로 하는 것은?
    지금 마음속으로 하는 것은 ‘생각’이지요.
    예시 : 상념(想念: 생각), 염려(念慮), 염두(念頭)

  6. 基本(きほん - 기본) : 터 기(基), 근본 본(本)

  7. 逆(ぎゃく - 반대, 거꾸로임) : 거스를 역(逆)
    屰: 거꾸로 역 辶: 갈 착
    거꾸로(屰) 가는(辶 ) 것은?
    거꾸로 가는 것은 ‘거스름’이지요.
    예시 : 역행(逆行: 거슬러 감), 역류(逆流), 반역(反逆)

  8. 休日(きゅうじつ - 휴일) : 쉴 휴(休)

  9. 教師(きょうし - 교사) : 가르칠 교(敎), 스승 사(師)
    爻: 점괘(산가지) 효 子: 아들(아이) 자 攵: 칠(때릴) 복
    산가지(爻) 놓는 아이(子)를 때리는(攵) 것은?
    산가지 놓는 아이를 때리는 것은 ‘가르침’이지요.
    예시 : 교육(敎育: 가르쳐 기름), 교직(敎職), 교사(敎師)

  10. 競争(きょうそう - 경쟁) : 다툴 경(競), 다툴 쟁(爭)의 신자체(争)
    咅: 가를 부 儿: 사람 인 咅: 가를 부 儿: 사람 인
    갈라진(咅) 사람(儿)들이 하는 것은?
    양편으로 갈라진 사람들이 하는 것은 ‘다툼’이지요.
    예시 : 경쟁(競爭: 서로 다툼), 경기(競技), 경합(競合)

  11. 다툴 쟁(爭) :
    예시 : 쟁탈(爭奪: 다투어 빼앗음), 쟁취(爭取), 전쟁(戰爭)

8.7.수.(43일차)

  1. 共通(きょうつう - 공통) : 함께 공(共), 통할 통(通)
    廾: 양손 공 廾: 양손 공
    양손(廾)과 양손(廾)을 모으는 것은?
    양손과 양손을 모으는 것은 ‘함께’이지요.

    예시 : 공동(共同: 함께 같이), 공조(共助), 공유(共有)

  2. 興味(きょうみ - 흥미) : 일 흥(興), 맛 미(味)

    예시 : 흥겨움(興겨움: 즐거움 따위가 읾), 흥미(興味), 흥분(興奮)

  3. 맛 미(味) : ㅁ: 입 구 未: 아닐 미
    입(ㅁ)에서 아직 아니(未)라고 느껴지는 것은?
    요리할 때 입에서 아직 아니라고 느껴지는 것은 ‘맛’이지요.
    예시 : 미각(味覺: 맛을 느끼는 감각), 진미(珍味), 풍미(風味)

  4. 아닐 미(未) :
    미완(未完: 아직 완전하지 아니함), 미숙(未熟), 미만(未滿)
    🌱 ‘未’는 주로 ‘아직 ~아니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5. 協力(きょうりょく - 협력) : 화합할 협(協)
    十: 열(여러) 십 劦: 힘 합할 협
    여럿(十)이 힘을 합하는(劦) 것은?
    여럿이 힘을 합하는 것은 ‘화합함(和合함)’이지요.
    예시 : 협력(協力: 힘을 화합함), 협조(協助), 협동(協同)

  6. 距離(きょり - 거리) : 떨어질 거(距)
    足: 발 족 巨: 클 거
    발(足)로 재는 크기(巨)는?
    발로 재는 보(步) 따위의 크기는 ‘떨어짐’이지요.
    예시 : 거리(距離: 서로 떨어져 있는 정도), 장거리(長距離), 단거리(短距離)
    🦶 보(步): 발걸음으로 재는 거리의 단위. 1보는 한 걸음 정도의 거리임.
    👫 ‘距’는 ‘상거(相距: 서로 떨어짐)할 거’라고도 합니다.

  7. 記録(きろく - 기록) : 기록할 기(記), 기록할 록(錄)

    예시 : 기록(記錄: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기술(記述), 필기(筆記)

  8. 기록할 록(錄) : 金: 쇠 금 彔: 나무 깎을 록
    쇠(金)를 나무 깎듯이(彔) 깎는 것은?
    쇠를 나무 깎듯이 깎는 것은 쇠에 글 따위를 ‘기록함’이지요.
    예시 : 기록(記錄: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수록(收錄), 등록(登錄)

  9. 禁煙(きんえん - 금연) : 금할 금(禁), 연기 연(煙)
    林: 수풀(숲) 림 示: 보일(제단) 시
    숲(林)에서 제단(示)이 있는 곳은?
    숲에서 신성한 제단이 있는 곳은 일반인의 출입을 ‘금함’이지요.
    예시 : 금함(禁함: 무엇을 하지 못하게 함), 금지(禁止), 금기(禁忌)

  10. 연기 연(煙) : 火: 불 화 垔: 막을 인
    불(火)을 막으면(垔) 생기는 것은?
    불을 막으면 생기는 것은 ‘연기’이지요.

    예시 : 연기(煙氣: 물질이 탈 때 생기는 흐릿하거나 검은 기체), 흡연(吸煙), 금연(禁煙)

  11. 禁止(きんし - 금지) : 금할 금(禁), 그칠 지(止)

    예시 : 정지(停止: 멈추거나 그침), 중지(中止), 금지(禁止)
    🦶 ‘止’는 다른 글자에서 ‘발’을 뜻하기도 합니다.
    ✍ ㅅㅗ: 止의 이형.

  12. 首(くび - 목) : 머리 수(首)

    예시 : 수장(首長), 수령(首領), 원수(元首)

8.8.목.(44일차)

  1. 工夫(くふう - 고안, 궁리) : 장인 공(工), 사내/지아비 부(夫)

  2. 区分(くぶん - 구분) : 구분할/지경/구역 구(區)의 신자체(区), 나눌 분(分)

  3. 区別(くべつ - 구별) : 구역 구(區), 다를 별(別)

    예시 : 별개(別個: 다른 것), 별도(別途), 분별(分別)
    🔪 ‘別’은 물건에 힘껏 칼질하는 것은 물건을 나누는 것이라 하여, ‘나눌 별’이라고도 합니다.

  4. 訓練(くんれん - 훈련) : 가르칠 훈(訓), 익힐 련(練)
    糸: 실 사 柬: 가려낼 간
    실(糸)처럼 가려내는(柬) 것은?
    실처럼 연이어, 오점을 가려내는 것은 무엇을 ‘익힘’이지요.
    예시 : 연습(練習: 되풀이하여 익힘), 훈련(訓練), 수련(修練)

  1. 経営(けいえい - 경영) : 지날/글 경(經)의 신자체(経), 경영할 영(營)의 신자체(営)
    糸: 실 사 巠: 베틀 경
    실(糸)인데 베틀(巠)에 걸려 있는 것은?
    실인데 베틀에 걸려 있는 것은 ‘날’이지요.
    예시 : 경사(經絲: 날실), 경과(經過), 경로(徑路)
    🧶 날: 날실(피륙을 짤 때 세로로 놓는 실)
    ✍ ‘經’은 날실 사이로 씨실이 하는 것인 지남을 뜻하여, ‘지날 경’이라고도 합니다.

  2. 경영할 영(營) :

    예시 : 경영(經營: 기업이나 사업 따위를 관리하고 운영함), 운영(運營), 영업(營業)

  3. 計画(けいかく - 계획) : 셀 계(計), 그림 화/그을 획(畵)의 신자체(画)

    예시 : 도화(圖畫: 그림), 풍경화(風景畫), 동양화(東洋畫)
    📍‘畫’는 ‘畵’로도 씁니다.

  4. 経験(けいけん - 경험) : 지날/글 경(經), 시험할 험(驗)
    馬: 말 마 僉: 여러 첨
    말(馬)을 여럿(僉) 타보는 것은?
    말을 여럿 타보는 것은 어느 말이 좋은지를 ‘시험함’이지요.
    예시 : 시험(試驗: 재능이나 실력 따위를 평가함), 실험(實驗), 체험(體驗)

  5. 経済(けいざい - 경제) : 지날/글 경(經), 건널 제(濟)의 신자체(済)
    氵: 물 수 齊: 가지런할(약초) 제
    물(氵)에서 가지런한(齊) 징검다리를 밟는 것은?
    물에서 보행자가 가지런한 징검다리를 밟는 것은 물을 ‘건넘’이지요.
    예시 : 제주도(濟州道), 구제(救濟), 경제(經濟)

  6. 가지런할 제(齊) :

    예시 : 정제(整齊: 가지런함), 제창(齊唱)

  7. 計算(けいさん - 계산) : 셀 계(計), 셈할 산(算)
    竹: 대 죽 目: 눈 목 廾: 양손 공
    댓(竹)가지를 눈(目)으로 보며 양손(廾)으로 하는 것은?
    ‘댓가지’, 즉 ‘산가지’를 눈으로 보며 양손으로 하는 것은 ‘셈’이지요.
    예시 : 산수(算數: 셈), 계산(計算), 합산(合算)

  1. 経由(けいゆ - 경유) : 지날/글 경(經), 말미암을 유(由)

    예시 : 유래(由來: 말미암아 옴), 이유(理由), 자유(自由)

8.9.금.(45일차)

  1. 外科(げか - 외과) : 바깥 외(外), 과정/과목 과(科)
    禾: 벼(곡물) 화 斗: 말 두
    곡물(禾)을 말(斗)로 되놓은 것은?
    쌀·보리·콩 따위의 곡물을 종류에 따라 말로 되놓은 것은 ‘과목’이지요.

    예시 : 과목(科目: 종류에 따라 나눈 낱낱의 부분이나 갈래), 교과(敎科), 학과(學科)

  2. 景色(けしき - 경치) : 경치/볕 경(景), 빛 색(色)
    日: 날(해) 일 京: 서울(누각) 경
    해(日)가 누각(京)을 비출 때 보이는 것은?
    해가 누각을 비출 때 확연히 보이는 것은 ‘볕’이지요.
    예시 : 광경(光景), 경치(景致), 경관(景觀)

  3. 血液(けつえき - 혈액) : 피 혈(血), 진 액(液)
    氵: 물 수 夜: 밤 야
    물(氵)인데 밤(夜) 같은 것은?
    물인데 밤같이 어두운 것은 ‘진(津)’이지요.

    예시 : 진액(津液: 진/ 풀이나 나무의 껍질 등에서 분비되는 점액 *津·2급·나루/진액 진), 수액(水液), 액체(液體)

  4. 欠席(けっせき - 결석) : 이지러질 결(缺)의 신자체(欠), 자리 석(席)
    缶: 장군 부 夬: 터놓을 쾌
    장군(缶)이 터놓아(夬)지는 것은?
    밀폐 용기인 장군이 내용물의 압력으로 인해 ‘터놓아지는’ 즉 ‘터지는’ 것은 ‘이지러짐’이지요.
    예시 : 결함(缺陷: 이지러지거나 빠짐 또는 그런 부분), 결손(缺損), 결점(缺點)
    💥 이지러지다: 어느 한 곳이 떨어져 나가다

  5. 터놓을 쾌(夬) : 央: 가운데 앙 |: 모양
    가운데(央)에서 한쪽(|)을 트는 것은?
    가운데 앙에서 한쪽을 트는 것은 ‘터놓음’이지요.

  6. 가운데 앙(央) :
    예시 : 중앙

  7. 자리 석(席) :
    예시 : 좌석(座席: 앉는 자리), 방석(方席), 객석(客席)
    👩‍👦‍👦 ‘席’은 여럿이 함께 앉는 천인 ‘돗자리(席子)’를 나타낸 글자입니다.

  1. 欠点(けってん - 결점) : 이지러질 결(缺)의 신자체(欠), 점 점(點)의 신자체(点)
    黑: 검을 흑 占: 점령할 점
    검은(黑)색이 점령한(占) 것은?
    검은색이 어떤 장소를 점령한 것은 ‘점’이지요.
    예시 : 점(點: 검은 얼룩), 흑점(黑點), 지점(地點)

  2. 煙(けむり - 연기) : 연기 연(煙)
    火: 불 화 垔: 막을 인
    불(火)을 막으면(垔) 생기는 것은?
    불을 막으면 생기는 것은 ‘연기’이지요.

  3. 막을 인(堙) : 西: 서녘(둥지) 서 土: 흙 토
    둥지(西)를 흙(土)으로 쌓는 것은?
    둥지를 흙으로 쌓는 것은 주위를 ‘막음’이지요.

  1. 原因(げんいん - 원인) : 근원 원(原), 인할 인(因)
    厂: 기슭(언덕) 엄 : 泉(샘 천)의 이형
    언덕(厂)의 샘(泉)은?
    ‘原‘은 언덕의 샘인 ‘근원‘을 나타낸 글자인데, 후에 근원이 있는 곳인 ‘언덕‘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근원(根原: 물이 시작되는 곳), 초원(草原), 평원(平原)

  2. 인할 인(因) : 배경(囗)과 인물(大)은?
    배경과 인물로 인하여 사건이 생기니, 배경과 인물은 ‘인함’이지요.
    예시 : 인함(因함: 어떤 것의 원인이 됨), 원인(原因), 기인(起因)

8.10.토.(46일차)

  1. 研究(けんきゅう - 연구) : 갈 연(硏), 연구할 구(究)
    石: 돌 석 幵: 평평할 견
    돌(石)을 평평하게(幵) 하는 것은?
    돌을 평평하게 하는 것은 돌을 ‘갊’이지요.
    예시 : 연마(硏磨: 갊), 연구(硏究), 연수(硏修)

  2. 연구할 구(究) : 穴: 굴 혈 九: 아홉(길) 구
    굴(穴)을 길게(九) 들어가보는 것은?
    굴 속을 ‘길게’ 즉 ‘깊게’ 들어가보는 것은 ‘연구함’이지요.
    예시 : 연구(硏究: 깊게 조사하여 밝힘), 궁구(窮究), 탐구(探究)

  3. 現金(げんきん - 현금) : 나타날 현(現), 쇠 금(金)
    王: 구슬(옥) 옥 見: 볼 견
    옥(王)을 보면(見)?
    옥을 들여다보면 옥 특유의 문양이 ‘나타남’이지요.

  4. 健康(けんこう - 건강) : 굳셀 건(健), 편안할 강(康)
    亻: 사람 인 建: 세울(설) 건
    사람(亻)이 설(建) 수 있는 것은?
    사람이 똑바로 설 수 있는 것은 ‘건강함’이지요.
    예시 : 건강(健康: 몸에 탈이 없고 튼튼함), 건실(健實), 건전(健全)
    🕺 ‘健’은 사람이 설 수 있는 것은 몸이 굳센 것이라 하여, ‘굳셀 건’이라고도 합니다.

  5. 세울 건(建) : 聿: 붓 율 廴: 길게 걸을 인
    붓(聿)을 길게 걷게(廴) 하려고 하는 것은?
    필기할 때 붓을 길게 걷게 하려고 하는 것은 붓을 똑바로 ‘세움’이지요.
    예시 : 건립(建立: 세움), 건설(建設), 건축(建築)

  6. 편안할 강(康) : 广: 집 엄 隶: 미칠(잡을) 이
    집(广)에서 짐승을 잡으면(隶)?
    집에서 쥐 따위의 해로운 짐승을 잡으면 심신이 ‘편안함(便安함)’이지요.
    예시 : 강녕(康寧: 편안함), 건강(健康)

  7. 미칠 이(隶) : 손(-])으로 짐승의 꼬리(氺)를 잡고 있는 것은?
    손으로 짐승의 꼬리를 잡고 있는 것은 손이 짐승에 ‘미침’이지요.

    ✍ 미치다: 닿다/ 이르다.
    🤝 ‘隶’는 다른 글자에서 ‘잡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8. 検査(けんさ - 검사) : 검사할 검(檢)의 신자체(検), 사실할 사(査)
    木: 나무 목 僉: 여러 첨
    나무(木)를 여럿(僉) 붙인 곳에서 하는 것은?
    나무를 여럿 붙인 곳인 목책(木柵)에서 하는 것은 ‘검사함’이지요.
    예시 : 검사(檢査: 조사하여 판단함), 검색(檢索), 검열(檢閱)

  9. 조사할 사(査) : 木: 나무 목 且: 또(여럿) 차
    나무(木)를 여럿(且) 붙인 곳에서 하는 것은?
    나무를 여러 개 붙인 곳인 목책(木柵)에서 하는 것은 ‘조사함’이지요.

    예시 : 조사(調査: 자세히 살피거나 찾아봄), 검사(檢査), 심사(審査)

  10. 現在(げんざい - 현재) : 나타날 현(現), 있을 재(在)

    예시 : 존재(存在: 있음), 실재(實在), 현재(現在)

  11. 減少(げんしょう - 감소) : 덜 감(減)
    氵: 물 수 咸: 다 함
    물(氵)이 다(咸)하는 것은?
    물이 점점 다하는 것은 ‘줆’이나 ‘덞’이지요.
    예시 : 감소(減少: 줄어서 적어짐/ 덜어서 적게 함), 감축(減縮), 감량(減量)
    💦 다하다: 다 없어지다

  12. 建設(けんせつ - 건설) : 세울 건(建), 베풀 설(設)
    言: 말씀(말) 언 殳: 몽둥이/창 수
    말(言)로 지시하고 몽둥이(殳)로 치면서 하는 것은?
    말로 일을 지시하고 몽둥이로 일꾼을 치면서 하는 것은 ‘베풂’이지요.
    예시 : 건설(建設: 건물 등을 만들어 세움), 설립(設立), 설비(設備)
    🙋‍♀️ 베풀다: 1. 일을 차리어 벌이다. 2. 남에게 돈을 주거나 일을 도와주어서 은혜를 입게 하다.

8.11.일.(47일차)

  1. 見物(けんぶつ - 구경) : 볼 견(見), 물건 물(物)
    牛: 소 우 勿: 말(없앨) 물
    소(牛)를 없애서(勿) 구하는 것은?
    소를 없애서 생긴 소고기로 물물교환을 하여 구하는 것은 ‘물건’이지요.
    예시 : 물건(物件: 일정한 형체를 갖춘 모든 물질적 대상), 물품(物品), 재물(財物)

  2. 原料(げんりょう - 원료) : 근원 원(原), 되질할/헤아릴 료(料)
    米: 쌀 미 斗: 말 두
    쌀(米)을 말(斗)로 되는 것은?
    쌀을 말로 되는 것은 쌀의 양을 ‘헤아림’이지요.

    예시 : 요량(料量: 헤아림), 요리(料理), 재료(材料)

  3. 講演(こうえん - 강연) : 익힐 강(講), 펼 연(演)
    言: 말씀(말) 언 冓 : 짤 구
    말(言)을 짜서(冓) 하는 것은?
    ‘講’은 할 말을 미리 짜서 하는 것인 ‘외움’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무엇을 외우는 것은 익히는 것이라 하여, ‘익힘’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강습(講習: 익힘), 강의(講義), 강연(講演)
    🙋‍♂️ ‘講’은 ‘외울 강’이라고도 합니다.

  4. 짤 구(冓) : 井: 우물 정 再: 두(거듭) 재
    우물(井)의 틀을 거듭(再) 쌓는 것은?
    우물의 틀을 거듭 쌓는 것은 우물틀을 ‘짬’이지요.

  5. 펼/멀리 흐를 연(演) : 氵: 물 수 寅: 범(펼) 인
    물(氵) 흐르듯 펴는(寅) 것은?
    물 흐르듯 펴는 것은 재주 따위를 ‘폄’이지요.
    예시 : 연기(演技: 구경꾼 앞에서 재주를 폄), 연주(演奏), 공연(公演)

  6. 効果(こうか - 효과) : 본받을 효(效)의 신자체(効), 열매 과(果)
    交: 사귈(교차할) 교 攵: 칠(때릴) 복
    교차하여(交) 때리면(攵)?
    몸에 매를 교차하여 때리면 스승의 가르침을 ‘본받음(本받음)’이지요.
    예시 : 효과(效果), 효험(效驗), 효능(效能)
    🔥 ‘效’는 몸에 매를 교차하여 때리면 생기는 것인 ‘효과’(보람 있는 결과)를 주로 뜻합니다.

  7. 열매 과(果) : 田: 모양 木: 나무 목
    열매들(田)인데 나무(木)에서 열리는 것은?
    열매들인데 나무에서 열리는 것은 ‘열매’이지요.

    예시 : 실과(實果: 열매), 과실(果實), 결과(結果)

  8. 合計(ごうけい - 합계) : 합할 합(合), 셀 계(計)

  9. 広告(こうこく - 광고) : 넓을 광(廣)의 신자체(広), 고할 고(告)
    广: 집 엄 黃: 누를 황
    집(广) 앞의 누런(黃) 물밭은?
    집 앞에 있는 누런 물밭은 ‘넓음’이지요.

    예시 : 광활(廣闊: 넓음 *闊·1급·넓을 활), 광대(廣大), 광야(廣野)

  10. 고할 고(告) :
    예시 : 고함(告함: 어떤 사실을 말하여 알림), 고사(告祀), 보고(報告)

  11. 交代(こうたい - 교대) : 사귈 교(交), 대신 대(代)
    책상다리(交)가 하는 것은?
    ‘交’는 책상다리가 하는 것인 ‘교차함’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사람들이 교차하는 것인 ‘사귐’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교제(交際: 서로 사귀어 가까운 사이로 지냄), 교류(交流), 교차(交叉)

  12. 대신 대(代) : 亻: 사람 인 弋: 주살 익
    사람(亻)이 주살(弋)을 사용하는 것은?
    사람이 본디의 화살이 아닌 주살을 사용하는 것은 ‘대신함’이지요.
    📌주살 : 오늬(=화살의 머리를 시위에 끼도록 에어 낸 부분)에 줄을 매어 쏘는 화살.
    예시 : 대신(代身: 본디의 것이 아닌 다른 것으로 함), 대체(代替), 대행(代行)

8.12.월.(48일차)

  1. 交替(こうたい - 교체) : 사귈 교(交), 바꿀 체(替)
    夫: 지아비(사내) 부 夫: 지아비(사내) 부 曰: 가로(말할) 왈
    사내들(夫夫)이 말하여(曰) 하는 것은?
    사내와 사내가 말하여 하는 것은 서로의 역할 따위를 ‘바꿈’이지요.
  1. 行動(こうどう - 행동) : 다닐 행(行), 움직일 동(動)

  2. 交流(こうりゅう - 교류) : 사귈 교(交), 흐를 유(流)
    氵: 물 수 㐬: 흘러나올 류
    물(氵)이 흘러나오는(㐬) 것은?
    물이 흘러나오는 것은 물이 ‘흐름’이지요.
    예시 : 유출(流出: 흘러나옴), 유입(流入), 유통(流通)

  3. 흘러나올 류(㐬)

  4. 氷(こおり - 얼음) : 얼음 빙(氷)

  5. 呼吸(こきゅう - 호흡) : 부를 호(呼), 숨 들이쉴 흡(吸)
    ㅁ: 입 구 及: 미칠(이를) 급
    입(ㅁ)에 이르면(及) 하는 것은?
    기체나 액체 따위가 입에 이르면 하는 것은 ‘마심’이지요.

  6. 腰(こし - 허리) : 허리 요(腰)
    月: 고기(몸) 육 要: 요긴할(중요할) 요
    몸(月)에서 중요한(要) 부분은?
    몸에서 힘을 쓰거나 일을 할 때 중요한 부분은 ‘허리’이지요.
    예시 : 요부(腰部: 허리 부분), 요통(腰痛)

  7. 요긴할 요(要) :

    예시 : 요긴(要緊: 매우 중요하고 필요함), 중요(重要), 필요(必要)

  8. 故障(こしょう - 고장) : 예/연고/죽을 고(故), 막힐 장(障)
    古: 옛(오랠) 고 攵: 칠(때릴) 복
    오래(古) 때려서(攵) 밝히는 것은?
    죄인을 오래 때려서 밝히는 것은 ‘연고’이지요.
    예시 : 연고(緣故: 일의 까닭/ 맺어진 관계/ 인연), 고향(故鄕), 고인(故人)
    🔥 ‘故’는 오래 때리면 죽는다는 데서 ‘죽을 고’라고도 합니다.

  9. 막힐/막을 장(障) : 阝: 언덕 부 章: 글 장
    언덕(阝)에 글(章)을 써놓는 것은?
    언덕의 위험한 곳에 ‘들어가지 마시오’ 하고 글을 써놓는 것은 출입을 ‘막음’이지요.
    예시 : 장애(障礙: 막아서 거리낌이 됨 *礙·2급·거리낄 애), 장해(障害), 장벽(障壁)

  10. 글 장(章) : 音: 소리(말소리) 음 十: 열(여러) 십
    말소리(音) 여러(十) 개를 써놓은 것은?
    말소리 여러 개를 써놓은 것은 ‘글’이지요.
    예시 : 문장(文章: 글월), 인장(印章), 견장(肩章)

  11. 個人(こじん - 개인) : 낱 개(個)
    亻: 사람 인 固: 굳을 고
    사람(亻)이 굳은(固) 것을 세는 단위는?
    사람이 한 덩어리로 굳은 것을 세는 단위는 ‘낱’이지요.
    예시 : 개(個: 낱으로 된 물건을 세는 단위), 개체(個體), 개수(個數)

8.13.화.(49일차)

  1. 굳을 고(固) : 囗: 모양 古: 옛(오랠) 고
    틀(囗) 안에 오래(古) 두면?
    진흙 따위를 틀 안에 오래 두면 ‘굳음’이지요.

    예시 : 응고(凝固: 엉기어 굳음), 고정(固定), 고체(固體)

  2. 어조사 호(乎) :

    예시 : 호(乎: 의문형 또는 감탄형 종결사, 처소격, 비교격 등으로 쓰이는 어조사)

  3. 粉(こな - 가루) : 가루 분(粉)
    米: 쌀 미 分: 나눌 분
    쌀(米)을 나눈(分) 것은?
    쌀을 잘게 나눈 것은 ‘가루’이지요.
    예시 : 분말(粉末: 가루), 제분(製粉)

  4. 米(こめ - 쌀) : 쌀 미(米)

  5. 最終(さいしゅう - 최종) : 가장 최(最), 마칠 종(終)
    糸: 실 사 冬: 겨울 동
    실(糸)처럼 이어온 일을 겨울(冬)에 끝내는 것은?
    실처럼 봄부터 이어온 농사일을 겨울에 끝내는 것은 ‘마침’이지요.

  6. 最上(さいじょう - 최상) : 가장 최(最), 위 상(上)

  7. 材料(ざいりょう - 재료) : 재목 재(材), 되질할/헤아릴 료(料)
    木: 나무 목 才: 재주 재
    나무(木)인데 재주(才)껏 쓰는 것은?
    나무인데 자기 재주껏 쓰는 것은 ‘재목’이지요.
    재목(材木: 재료가 되는 나무), 재료(材料), 자재(資材)

  8. 재주 재(才) :
    예시 : 재능(才能: 재주와 능력), 재질(才質), 수재(秀才)

  9. 坂道(さかみち - 비탈길) : 언덕/비탈 판(坂), 길 도(道)
    돌이킬 반(反) 厂: 모양 又: 또(손) 우
    나무(厂)를 손(又)으로 휘었다 놓는 것은?
    나무를 손으로 휘었다 놓는 것은 나무를 원래대로 ‘돌이킴’이지요.

    반대(反對: 역으로 대립하는 관계), 반동(反動), 반응(反應)

  • ‘反’은 휘어진 나무(厂)와 휘는 손(又)의 관계인 ‘반대(反對)’를 주로 뜻합니다.
  1. 作業(さぎょう - 작업) : 지을 작(作), 업 업(業)
    亻: 사람 인 乍: 잠깐 사
    사람(亻)이 잠깐(乍) 사이에 하는 것은?
    사람이 잠깐 사이에 하는 것은 흠집을 비수로 내서 글 따위를 ‘지음’이지요.
    예시 : 작성(作成: 지어서 이룸), 작품(作品), 제작(製作)

  2. 업 업(業) : 丵: 풀 무성할 착 木: 나무 목
    풀 무성하게(丵) 나무(木)가 자라는 것은?
    풀 무성하게 나무가 자라는 것은 나무의 ‘업’이지요.
    예시 : 업(業: 부여된 일), 업무(業務), 과업(課業)

  3. 풀 무성할 착(丵) :

8.14.수.(50일차)

  1. 作物(さくもつ - 작물, 농작물) : 지을 작(作), 물건 물(物)

  2. 雑誌(ざっし - 잡지) : 섞일 잡(雜)의 신자체(雑), 기록할 지(誌)

    예시 : 교잡(交雜: 서로 한데 섞임), 혼잡(混雜), 복잡(複雜)

  3. 기록할 지(誌) : 言: 말씀(말) 언 志: 뜻 지
    말(言)을 뜻(志)글자로 적는 것은?
    말을 뜻글자인 한자로 적는 것은 ‘기록함(記錄함)’이지요.
    예시 : 잡지(雜誌), 주간지(週刊誌), 학술지(學術誌)

  4. 左右(さゆう - 좌우) : 왼 좌(左), 오른 우(右)

  5. 参加(さんか - 참가) : 참여할 참(參)의 신자체(参), 더할 가(加)
    厽: 모일 루 㐱: 숱 많을 진
    모여서(厽) 숱이 많아진(㐱) 것은?
    모여서 숱이 많아진 것은 무리(黨)에 사람들이 ‘참여함’이지요.
    예시 : 참여(參與: 어떤 일에 끼어들어 관계함), 참가(參加), 참석(參席)

  1. 賛成(さんせい - 찬성) : 도울 찬(贊)의 신자체(賛), 이룰 성(成)
    兟: 나아갈 신 貝: 조개(돈) 패
    나아갈(兟) 수 있게 돈(貝)을 주는 것은?
    나아갈 수 있게 돈을 주는 것은 상대를 ‘도움’이지요.
    🏃‍♀️🏃‍♂️ 兟: 서로 먼저(先先) 가려고 나아가는 모습에서, 나아갈 신

  2. 塩(しお - 소금) : 소금 염(鹽)의 신자체(塩)

    예시 : 염분(鹽分: 소금기), 죽염(竹鹽), 천일염(天日鹽)

  3. 支給(しきゅう - 지급) : 지탱할 지(支), 줄 급(給)
    가지(十)를 손(又)으로 잡고 있는 것은?
    가지를 손으로 잡고 있는 것은 ‘지탱함’이지요.

    예시 : 지탱(支撐: 오래 배겨 내거나 버팀 *撐·1급·버틸 탱), 지지(支持), 지원(支援)
    🍆 ‘支’는 다른 글자에서 ‘가지’를 뜻하기도 합니다.

  4. 줄 급(給) : 糸: 실 사 合: 합할 합
    실(糸)을 합할(合) 때 하는 것은?
    실을 합할 때 하는 것은 섬유를 물레에 ‘줌’이지요.

    예시 : 공급(供給: 제공하여 줌), 보급(補給), 배급(配給)

  5. 資源(しげん - 자원) : 재물 자(資), 근원 원(源)
    次: 버금 차 貝: 조개(재물) 패
    버금(次)으로 중요한 재물(貝)은?
    사업할 때 사람 버금으로 중요한 재물은 ‘재물(財物)’이지요.
    예시 : 자본(資本: 사업의 밑천이 되는 재물), 자금(資金), 투자(投資)

  6. 버금 차(次) : 二: 두 이 欠: 하품(흠) 흠
    두(二) 번째가 될 흠(欠)이 있는 것은?
    첫 번째인 으뜸에 비해, 두 번째가 될 만한 흠이 있는 것은 ‘버금’이지요.

    예시 : 차선(次善: 버금으로 좋은 것), 차석(次席), 차례(次例)

  7. 근원 원(源) : 氵: 물 수 原: 근원 원
    물(氵)이 나오는 근원(原)은?
    물이 흘러나오는 근원은 ‘근원’이지요.
    예시 : 근원(根源: 물이 시작되는 곳), 기원(基源), 원천(源泉)
    📌 ‘근원(根原/ 根源)’이란 뜻으로는 ‘原’과 ‘源’을 서로 바꾸어 쓰기도 합니다.

8.15.목.(51일차)

  1. 샘 천(泉) : 白: 흰 백 水: 물 수
    흰(白) 물(水)이 솟는 곳은?
    ‘흰 물‘ 즉 ‘맑은 물’이 솟는 곳은 ‘샘’이지요.

    예시 : 원천(源泉: 물의 근원인 샘), 온천(溫泉), 황천(黃泉)
profile
You matter, never give u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