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를 그림으로만 외우려니 한계가 있을 것 같아 기초 한자를 정리한 자료를 통해 조금 더 효율적으로 공부해보자
위키낱말사전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
중고등 필수한자 1800 - 네이버블로그
파고다 JLPT N3 최빈출 한자어휘 500자
1800단어로 150일간 나눠서 외운다고 치고 12자씩 정리해보자✍
샘 천(泉) : 白: 흰 백 水: 물 수
흰(白) 물(水)이 솟는 곳은?
‘흰 물‘ 즉 ‘맑은 물’이 솟는 곳은 ‘샘’이지요.

예시 : 원천(源泉: 물의 근원인 샘), 온천(溫泉), 황천(黃泉)
支出(ししゅつ - 지출) : 지탱할 지(支), 날 출(出)
손으로 나타내는 又자와 대나무 가지를 뜻하는 十자 부분이 조합된 회의자로 노인들이 대나무로 몸을 지탱하는 모습에서 지탱하다, 버티다의 의미로 파생되었다 한다.
事情(じじょう - 사정) : 일 사(事), 뜻 정(情)
自信(じしん - 자신) : 스스로 자(自), 믿을 신(信)
姿勢(しせい - 자세) : 맵시/모양 자(姿), 권세/형세 세(勢)
次: 버금 차 女: 여자 녀
버금(次)으로 여자(女)에게 중요한 것은?
마음씨 버금으로 여자에게 중요한 것은 ‘모양(模樣)’이지요.
예시 : 자태(姿態: 모양새), 자세(姿勢)
권세/형세 세(勢) : 埶: 심을 예 力: 힘 력
심어진(埶) 씨앗이 힘(力)써 갖추는 것은?
심어진 씨앗이 힘써 갖추는 것은 뿌리와 줄기의 ‘형세’이지요.
예시 : 형세(形勢: 식물이 뿌리와 줄기를 뻗는 모양/ 일이 되어 가는 형편), 자세(姿勢), 태세(態勢)
심을 예(埶) : 坴: 언덕 륙 丸: 둥글(알) 환
언덕(坴)에 알(丸)을 묻는 것은?
언덕에 알을 묻는 것은 씨앗을 ‘심음’이지요.
언덕 륙(坴) : 
自然(しぜん - 자연) : 스스로 자(自), 그러할 연(然)
肰: 개고기 연 灬: 불 화
개고기(肰)를 불(灬)로 그슬리는 것은?
털이 많은 개고기를 불로 그슬리는 것은 마땅히 ‘그러함(그럼)’이지요.
예시 : 당연(當然: 마땅히 그러함), 필연(必然), 본연(本然)
支度(したく - 준비, 채비) : 지탱할 지(支), 법도 도(度)
庶: 여러 서 又: 또(손) 우
여러(庶) 번 손(又)으로 재서 헤아리는 것은?
‘度’는 여러 번 손으로 재서 헤아리는 것인 ‘정도’를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무엇을 해도 되는 ‘정도’를 정해놓은 것인 ‘법도’를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법도(法度: 법률과 제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정도(程度), 한도(限度)
여러/무리 서(庶) :

서민(庶民: 여러 백성/ 아무 벼슬이 없는 평민을 이르는 말)
🔥 양반은 죽어도 곁불은 쬐지 않는다 하지요.
失業(しつぎょう - 실업) : 잃을 실(失), 업 업(業)

예시 : 상실(喪失: 잃음), 손실(損失), 실수(失手)
実力(じつりょく - 실력) : 열매 실(實)의 신자체(実), 힘 력(力)
指導(しどう - 지도) : 손가락 지(指), 인도할 도(導)
扌: 손 수 旨: 맛 지
손(扌)에서 맛(旨)볼 때 쓰는 곳은?
손에서, 음식을 맛볼 때 쓰는 곳은 음식을 집는 부위인 ‘손가락’이지요.
예시 : 식지(食指: 먹을 때 쓰는 손가락/ 집게손가락), 지적(指摘), 지휘(指揮)
👆👉 ‘指’는 손가락으로 대상을 가리킨다 하여, ‘가리킬 지’라고도 합니다.
맛 지(旨) : 匕: 숟가락 비 口: 입 구 一: 모양
숟가락(匕)으로 입(口)안의 혀(一)에 음식을 넣어 느끼는 것은?
숟가락으로 입안의 혀에 음식을 떠넣어 느끼는 것은 음식의 ‘맛’이지요.

인도할 도(導) : 道: 길 도 寸: 마디(손) 촌
길(道)에서 손(寸)으로 하는 것은?
길에서 손으로 하는 것은 남을 ‘인도함’이지요.

締め切り(しめきり - 마감) : 맺을 체(締), 끊을 절(切)
糸(가는실 멱)과 음을 나타내는 帝(임금 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예시 : 체결(締結), 체결국(締結國), 체교(締交), 체맹(締盟), 체맹국(締盟國)
끊을 절(切) : 七: 일곱 칠 刀: 칼 도
일곱(七) 번 칼(刀)질하는 것은?
일곱 번이나 칼질하는 것은 어떤 물체를 모두 ‘끊음’이지요.
예시 : 절단(切斷: 끊음), 절제(切除), 일체(一切)
🎯 ‘切’은 ‘모두 체’라고도 합니다.
地面(じめん - 지면) : 땅 지(地), 낯 면(面)

地元(じもと - 출신 지역, 고장, 현지) : 땅 지(地), 으뜸 원(元)
ㅡ: 한 일 兀: 우뚝할 올
제일(ㅡ) 우뚝한(兀) 것은?
제일 우뚝한 것은 ‘으뜸’이지요.
예시 : 원수(元首: 한 국가의 으뜸가는 우두머리), 원수(元帥), 장원(壯元)
集合(しゅうごう - 집합) : 모을 집(集), 합할 합(合)
収集(しゅうしゅう - 수집) : 거둘 수(收)의 신자체(収), 모을 집(集)
丩: 덩굴 구 攵: 칠 복
덩굴(丩)을 치는(攵) 것은?
덩굴을 막대로 치는 것은 덩굴에 매달린 열매를 ‘거둠’이지요.
예시 : 수확(收穫: 농작물을 거둠), 수익(收益), 수금(收金)
渋滞(じゅうたい - 정체/삽체/밀림) : 떫을 삽(澁)의 신자체(渋), 막힐 체(滯)의 신자체(滞)
물 수자와 그칠 지(止)를 합쳐서 만든 회의자로 물이 그칠대로 그쳐 '매끄럽지 않다', '뻑뻑하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떫을 삽자
막힐 체(滯) : 氵: 물 수 帶: 띠 대
물(氵)에 띠(帶)가 생기는 것은?
물에 부유물 따위로 이루어진 띠가 생기는 것은 물이 ‘막힘’이지요.

예시 : 정체(停滯: 멈추거나 막힘), 지체(遲滯), 체류(滯留)
集中(しゅうちゅう - 집중) : 모을 집(集), 가운데 중(中)
修理(しゅうり - 수리) : 닦을 수(修), 다스릴 리(理)
攸: 바(멀) 유 彡: 川(내 천)의 이형
멀리(攸) 흐르는 내(彡)에서 하는 것은?
멀리 흐르는 내에서 하는 것은 몸 따위를 ‘닦음’이지요.
예시 : 수신(修身: 몸을 닦음), 수도(修道), 수학(修學)
🚿🧼✍ 닦다: 1. 씻어 깨끗이 하다. 2. 문질러 윤기를 내다. 3. 배우고 익히다.
바(멀) 유(攸) : 亻: 사람 인 𐌠: 모양 攵: 칠 복
사람(亻)이 지팡이( 𐌠 )로 치며(攵) 가는 곳은?
‘攸’는 사람이 지팡이로 ‘치며’ 즉 ‘짚으며’ 가는 곳은 ‘멂’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바(所)’를 뜻하게 되었답니다.

멀 유(悠) : 攸: 바(멀) 유 心: 마음 심
멀다(攸)고 마음(心)으로 느끼는 것은?
멀다고 마음으로 느끼는 것은 ‘멂’이지요.
예시 : 유유(悠悠: 아득하게 멂), 유원(悠遠), 유구(悠久)
다스릴 리(理) : 王: 임금 왕 里: 마을 리
임금(王)이 마을(里)에 하는 것은?
임금이 마을에 하는 것은 ‘다스림’이지요.
예시 : 관리(管理: 주관하여 다스림), 처리(處理), 이치(理致)
🤴 ‘理’는 임금이 마을을 다스릴 때 따지는 것인 이치(理致: 사물의 정당한 조리)를 뜻하여, ‘이치 리’라고도 합니다.
縮小(しゅくしょう - 축소) : 오그라들/줄일 축(縮), 작을 소(小)
糸: 실 사 宿: 잘 숙
실(糸)이 잘(宿) 때 눌리는 것은?
이불의 부푼 실이 잘 때 몸에 눌리는 것은 ‘줆’이지요.
예시 : 축소(縮小: 작게 줆), 압축(壓縮), 수축(收縮)
잘 숙(宿) : 宀: 집 면 亻: 사람 인 百: 모양
집(宀)에서 사람(亻)이 잠자리(百)에 드는 것은?
집에서 사람이 잠자리에 드는 것은 ‘잠’이지요.

예시 : 숙박(宿泊: 잠을 자고 머무름), 숙소(宿所), 숙식(宿食)
手術(しゅじゅつ - 수술) : 손 수(手), 재주 술(術)
行: 다닐(거리) 행 朮: 삽주 출
거리(行)에서 삽주(朮)가 자라는 것은?
거리 한복판에서 삽주가 밟혀 죽지 않고 자라는 것은 ‘재주’이지요.
예시 : 예술(藝術: 재주), 기술(技術), 전술(戰術)

手段(しゅだん - 수단) : 손 수(手), 조각/층계 단(段)

예시 : 계단(階段: 층계), 단계(段階)
主張(しゅちょう - 주장) : 주인 주(主), 베풀 장(張)

예시 : 주인(主人: 주가 되는 사람), 주체(主體), 주역(主役)
베풀 장(張) : 弓: 활 궁 長: 길 장
활(弓)줄을 길게(長) 당기는 것은?
‘張’은 활줄을 길게 당기는 것인 ‘벌림’이나 ‘넓힘’이나 ‘폄’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일을 벌이는(≒벌리는) 것인 ‘베풂’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확장(擴張: 넓게 벌림), 신장(伸張), 긴장(緊張)
🤶🎅 베풀다: 1. 일을 차리어 벌이다. 2. 남에게 은혜를 입히다.
出張(しゅっちょう - 출장) : 날 출(出), 베풀 장(張)
首都(しゅと - 수도) : 머리 수(首), 도읍 도(都)
者: 놈(사람) 자 阝: 고을 읍
사람(者) 많은 고을(阝)은?
사람이 가장 많은 고을은 ‘도읍’이지요.
예시 : 도읍(都邑: 한 나라의 서울), 도시(都市), 수도(首都)
놈 자(者) : 耂: 늙을 로 白: 흰(말할) 백
늙은(耂)이가 말할(白) 때 쓰는 호칭은?
늙은이가 다른 이를 일컬어 말할 때 쓰는 호칭은 ‘놈’이지요.
예시 : 청자(聽者), 화자(話者), 관계자(關係者)
🙋♂️🙋♀️ ‘者’는 주로 ‘사람’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趣味(しゅみ - 취미) : 재미 취(趣), 맛 미(味)
走: 달릴 주 取: 가질 취
달려가(走) 취하는(取) 것은?
빨리 하고 싶어서, 달려가 취하는 것은 ‘취미’이지요.
취미(趣味: 재미에 뜻을 두고 하는 일), 취향(趣向), 취지(趣旨)
🔥✍ ‘趣’는 취미는 자기가 뜻을 둔 것이라 하여, ‘뜻 취’라고도 합니다.
順番(じゅんばん - 순번) : 순할 순(順), 차례 번(番)
川: 내 천 頁: 머리 혈
내(川)처럼 머리(頁)를 숙이는 것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내처럼 거스르지 않고 머리를 숙이는 것은 ‘순함’이지요.

예시 : 순함(順함: 거스르지 않는 성질을 지님), 순응(順應), 순종(順從)
차례 번(番) : 釆: 분별할 변 田: 밭 전
분별한(釆) 쌀을 밭(田)에 뿌릴 때 지키는 것은?
분별한 쌀을 밭에 뿌릴 때 지키는 것은 ‘차례(次例)’이지요.

예시 : 순번(順番: 차례/ 순서대로 매겨지는 번호), 번호(番號), 번지(番地)
분별할 별(釆) :

紹介(しょうかい - 소개) : 이을 소(紹), 끼일 개(介)
糸(가는실 멱)과 음을 나타내는 召(부를 소) ~ 실끼리 불러 이어준다
부를 소(召) : 刀: 칼 도 ㅁ: 입(말) 구
칼(刀)같이 말(ㅁ)하는 것은?
칼같이 날카롭게 말하는 것은 상대를 ‘부름’이지요.
예시 : 소환(召喚: 부름 *喚·1급·부를 환), 소집(召集)
끼일 개(介) : 
예시 : 개입(介入: 끼어듦), 중개(仲介), 매개(媒介)
商業(しょうぎょう - 상업) : 헤아릴/장사 상(商), 업 업(業)
높은 건물(商)이 많은 곳의 사람들이 하던 것은?
‘商’은 높은 건물이 많은 곳인 ‘상(商)나라’를 뜻하는 글자였으나, 후에 상나라 사람들이 여러 지역을 오가며 장사를 하던 데서 ‘장사’를 뜻하게 되었답니다.

条件(じょうけん - 조건) : 가지 조(條)의 신자체(条), 물건 건(件)
攸: 바(멀) 유 木: 나무 목
멀리(攸) 나무(木)에서 자라는 것은?
멀리까지 나무에서 자라는 것은 ‘가지’이지요.

예시 : 조(條: 가지/ 조건이나 조항의 뜻을 나타내는 말), 조건(條件), 조항(條項)
물건 건(件) : 亻: 사람 인 牛: 소 우
사람(亻)이 소(牛)로 나르는 것은?
사람이 소로 나르는 것은 ‘물건’이지요.

예시 : 물건(物件: 일정한 형체를 갖춘 모든 물질적 대상), 사건(事件)
🐮🐂🐃 ‘件’은 사람(亻)이 소(牛)한테 받힌 것인 ‘사건(事件: 문제가 되거나 주목을 받을 만한 뜻밖의 일)’을 뜻하기도 합니다.
머무를 류(留) : 卯: 토끼(가를) 묘 田: 밭 전
갈라서(卯) 밭(田)을 일군 곳에서 하는 것은?
쟁기로 땅을 갈라서 밭을 일군 곳에서 하는 것은 사람이 ‘머무름’이지요.
예시 : 체류(滯留: 머무름), 잔류(殘留), 억류(抑留)
토끼(가를) 묘(卯) :
긴 귀(卯)가 달린 동물은?

乗車(じょうしゃ - 승차) : 탈 승(乘)의 신자체(乗), 수레 차(車)
亻: 사람 인 北: 모양 木: 나무 목
사람(亻)이 양발(北)로 나무(木)에 오르는 것은?
사람이 양발로 나무에 오르는 것은 나무를 ‘탐’이지요.

예시 : 탑승(搭乘: 탐 *搭·1급·탈 탑), 승마(乘馬), 승차(乘車), 승강장(乘降場), 승무원(乘務員)
招待(しょうたい - 초대) : 부를 초(招), 기다릴 대(待)
扌: 손 수 召: 부를 소
손(扌)짓하며 부르는(召) 것은?
손짓하며 이리 오라고 부르는 것은 상대를 ‘부름’이지요.

예시 : 초청(招請: 사람을 청하여 부름), 초대(招待), 초빙(招聘)
商売(しょうばい - 장사) : 헤아릴/장사 상(商), 팔 매(賣)의 신자체(売)
士: 모양 買: 살 매
앉아 있는 사람(士)이 사라고(買) 하는 것은?
앉아 있는 사람인 장사꾼이 무엇을 사라고 하는 것은 ‘팖’이지요.

예시 : 판매(販賣: 팖), 매출(賣出), 매도(賣渡)
장사 상(商) : 말씀 언(言) + 빛날 경(冏)

상품에 대해 밝히(冏) 알 수 있도록 말(言)로 설명하는 것을 나타내어 '장사'라는 뜻
消費(しょうひ - 소비) : 꺼질 소(消), 쓸 비(費)
氵: 물 수 小: 작을 소 月: 고기(몸) 육
물(氵)의 몸(月)이 작아지는(小) 것은?
물의 몸이 작아지는 것은 물이 증발하여 ‘사라짐’이지요.
예시 : 소멸(消滅: 사라져 없어짐), 소진(消盡), 소실(消失)
쓸 비(費) : 弗: 아닐(떨어버릴) 불 貝: 조개(돈) 패
돈(貝)을 떨어버리는(弗) 것은?
돈을 떨어버리는 것은 돈을 ‘씀’이지요.
예시 : 소비(消費: 써서 없앰), 허비(虛費), 낭비(浪費)
商品(しょうひん - 상품) : 장사 상(商), 물건 품(品)
情報(じょうほう - 정보) : 뜻 정(情), 갚을/알릴 보(報)

예시 : 보은(報恩: 은혜를 갚음), 보답(報答), 보복(報復), 보고(報告), 정보(情報), 첩보(諜報)
다스릴 복 : 𠬝
🤴🕺 다스리다: 1. 관리하다 2. 통제하다 3. 죄에 대해 벌을 주다
証明(しょうめい - 증명) : 증거 증(證)의 신자체(証), 밝을 명(明)
言: 말씀(말) 언 登: 오를 등
말(言)을 올려(登) 주는 것은?
말을 ‘올려’ 주는, 즉 ‘받쳐’ 주는 것은 ‘증거’이지요.
예시 : 증거(證據: 어떤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증명(證明), 논증(論證)
正面(しょうめん - 정면) : 바를 정(正), 낯 면(面)
植物(しょくぶつ - 식물) : 심을 식(植), 만물 물(物)
木: 나무 목 直: 곧을 직
나무(木)를 곧게(直) 세우려고 하는 것은?
나무를 곧게 세우려고 하는 것은 나무를 ‘심음’이지요.
예시 : 식목(植木: 나무를 심음), 식물(植物), 이식(移植)
食器(しょっき - 식기) : 밥 식(食), 그릇 기(器)

예시 : 식기(食器: 밥그릇), 용기(容器), 기물(器物)
資料(しりょう - 자료) : 재물 자(資), 헤아릴/되질할 료(料)
米: 쌀 미 斗: 말 두
쌀(米)을 말(斗)로 되는 것은?
쌀을 말로 되는 것은 쌀의 양을 ‘헤아림’이지요.

예시 : 요량(料量: 헤아림), 요리(料理), 재료(材料)
進行(しんこう - 진행) : 나아갈 진(進), 다닐 행(行)
隹: 새 추 辶: 갈 착
새(隹)가 가는(辶) 것은?
새가 가는 것은 앞으로 ‘나아감’이지요.
예시 : 진행(進行: 나아감), 진출(進出), 전진(前進)
申請(しんせい - 신청) : 펼/납 신(申), 청할 청(請)
원숭이(申)는?
‘申’은 번개가 하는 것인 ‘폄’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지지(地支: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에서는 자형이 납(원숭이)의 옆모습 같다 하여 ‘납’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신고(申告), 신청(申請), 추신(追申)
청할 청(請) : 言: 말씀(말) 언 靑: 푸를 청
말(言)인데 푸른(靑) 희망을 담아 하는 것은?
말인데 푸른 희망을 담아 하는 것은 ‘청함’이지요.
예시 : 청함(請함: 남에게 무엇을 해 달라고 부탁함), 요청(要請), 간청(懇請)
進歩(しんぽ - 진보) : 나아갈 진(進), 걸음 보(步)

예시 : 보행(步行: 걸어감), 진보(進步), 퇴보(退步)
数字(すうじ - 숫자) : 數(셀 수)의 신자체(数), 글자 자(字)
宀: 집 면 子: 아들(아이) 자
집(宀)에서 아이(子)가 익히는 것은?
집에서 아이가 익히는 것은 ‘글자’이지요.

예시 : 글자(글字: 말을 나타내는 기호), 문자(文字), 한자(漢字)
頭痛(ずつう - 두통) : 머리 두(頭), 아플 통(痛)
疒: 병들어 기댈(병) 녁 甬: 솟을 용
병(疒)이 솟으면(甬)?
병이 솟으면 ‘아픔’이지요.
예시 : 고통(苦痛: 쓰리고 아픔), 진통(陣痛), 통증(痛症)
낯/얼굴 안(顔) : 彦: 선비 언 頁: 머리 혈
선비(彦)임이 머리(頁)에서 드러나는 곳은?
선비임이 머리에서 드러나는 곳은 하얀 ‘얼굴’이지요.
예시 : 안면(顔面: 얼굴), 안색(顔色), 동안(童顔)
👨💼 선비는 밖에서 일을 하지 않아 얼굴이 하얗지요.
선비 언(彦) : 产: 낳을 산 彡: 터럭(빛날) 삼
낳을(产) 때부터 빛나는(彡) 이는?
낳을 때부터 빛나는 이는 ‘선비’이지요.
낳을 산(産) : 产: 낳을 산 生: 날 생
낳아서(产) 생기게(生) 하는 것은?
낳아서 아이를 생기게 하는 것은 아이를 ‘낳음’이지요.
예시 : 출산(出産: 아이를 낳는 일), 생산(生産), 산아(産兒)

砂(すな - 모래) : 모래 사(砂)
모래 사(沙)의 속자이기도 하다. 일본에서는 두 한자 다 상용한자이나 주로 쓰이는 건 砂이다. 반대로 중국에서는 砂보다 沙가 훨씬 많이 쓰인다. 한국도 沙가 더 많이 쓰인다. 沙와 함께 혼용되는 경우가 있다.
正解(せいかい - 정답) : 바를 정(正), 풀 해(解)
角: 뿔 각 刀: 칼 도 牛: 소 우
소(牛)의 뿔(角)을 칼(刀)로 자르는 것은? 칼로 바르는 것?
소의 뿔을 칼로 자르는 것은 뿔을 ‘풂’이지요.
예시 : 해제(解除: 풀어 없앰), 해체(解體) , 분해(分解), 견해(見解), 독해(讀解), 이해(理解), 해설(解說), 화해(和解), 결자해지(結者解之)
🧶🗝 풀다: 묶이거나 얽히거나 합쳐진 것 따위를 그렇지 않은 상태로 되게 하다.
性格(せいかく - 성격) : 성품 성(性), 격식 격(格)
忄: 마음 심 生: 날 생
마음(忄)인데 날(生) 때부터 생기는 것은?
마음인데 태어날 때부터 생기는 것은 ‘성품’이지요.
예시 : 성품(性品: 타고난 마음씨), 성격(性格), 성질(性質)
격식 격(格) : 木: 나무 목 各: 각각 각
나무(木)가 각각(各) 지닌 것은?
나무가 종류별로 각각 지닌 것은 ‘격식’이지요.

税金(ぜいきん - 세금) : 세금 세(稅)의 신자체(税), 쇠 금(金)
禾: 벼(곡물) 화 兌: 바꿀 태
곡물(禾)로 바꾸어(兌) 내는 것은?
소득의 일부를 곡물로 바꾸어 정부에 내는 것은 ‘세금’이지요.
예시 : 세금(稅金: 정부가 국민으로부터 강제로 거두어들이는 금전), 조세(租稅), 납세(納稅)
바꿀/기쁠 태(兌) : 八: 여덟 팔 ㅁ: 입 구 儿: 사람 인
팔자주름(八)을 입(ㅁ) 위에 사람(儿)이 만드는 것은?
팔자주름을 입 위에 사람이 만드는 것은 표정을 ‘바꿈’이지요.
☺😆 ‘兌’는 팔자주름을 입 위에 사람이 만드는 것은 기쁜 것이라 하여, ‘기쁠 태’라고도 합니다.
制限(せいげん - 제한) : 억제할/절제할 제(制), 한정할 한(限)

✂📏📐마름질 : ‘옷감이나 종이 등을 치수대로 자르는 일’

예시 : 절제(節制: 알맞게 조절하여 제한함), 제한(制限), 제재(制裁)
한정할 한(限) : 阝: 언덕 부 艮: 그칠 간
언덕(阝)에서 그치는(艮) 것은?
언덕에서 오르다 그치는 것은 ‘한함’이지요.
예시 : 한함(限함: 어떤 범위로 제한되거나 국한됨), 한정(限定), 한계(限界)
그칠 간(艮) : 눈을 뜻하는 目자와 人의 뒤집힌 형상인 匕자가 합쳐진 회의자로 사람이 눈을 뒤로 향하게 한 모양이다.

어질 량(良) : 
예시 : 선량(善良: 착하고 어짊), 개량(改良), 양호(良好)
😄👨🦳👼 ‘良’은 비뚠 점을 그치면 좋다는 데서, ‘좋을 량’이라고도 합니다.
成功(せいこう - 성공) : 이룰 성(成), 공 공(功)
工: 장인 공 力: 힘 력
장인(工)이 들이는 힘(力)은?
장인이 작품을 만들 때 들이는 힘은 ‘공’이지요.
예시 : 공(功: 애써서 들이는 정성과 힘), 공로(功勞), 공적(功績)
正常(せいじょう - 정상) : 바를 정(正), 항상 상(常)
尙: 오히려(높을) 상 巾: 수건(천) 건
높은(尙) 집처럼 생긴 천(巾)을 두르는 때는?
높은 집처럼 생긴 천인 치마를 두르는 때는 ‘항상’이지요.
예시 : 항상(恒常: 늘/ 언제나), 일상(日常), 평상시(平常時)
오히려(높을) 상(尙) : 八: 모양 向: 모양
지붕(八)이 있는 집(向)은?
‘尙’은 八자 모양의 지붕이 있는 집은 ‘높음‘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의미가 발전되어 ‘오히려’를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고상(高尙: 높음), 숭상(崇尙)
成績(せいせき - 성적) : 이룰 성(成), 길쌈할 적(績)
糸: 실 사 責: 꾸짖을(책임) 책
실(糸)을 맡아 책임(責)지고 하는 것은?
배정된 실을 맡아 책임지고 하는 것은 ‘길쌈’이지요.
예시 : 방적(紡績: 길쌈 *紡·2급·길쌈 방), 실적(實績), 업적(業績)
🧵🧶👕🧣👗👘 길쌈: 실을 내어 옷감을 짜는 모든 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꾸짖을 책(責) : 主: 주인 주 貝: 조개(돈) 패
주인(主)이 돈(貝) 갚으라고 하는 것은?
주인이 돈을 갚으라고 하는 것은 채무자를 ‘꾸짖음’이지요.
책망(責望: 잘못에 대해 꾸짖고 원망함), 책임(責任), 책무(責務)
整理(せいり - 정리) : 가지런할 정(整), 다스릴 리(理)
束: 묶을 속 攵: 칠 복 正: 바를 정
묶고(束) 쳐서(攵) 바르게(正) 하면?
땔감 따위의 나무를 줄로 묶고 끝을 쳐서 바르게 하면 ‘가지런함’이지요.
예시 : 정리(整理: 흐트러진 것을 가지런하게 다스림), 정돈(整頓), 정렬(整列)
묶을 속(束) : 木: 나무 목 ㅁ: 모양
나무(木)를 줄로 감는(ㅁ) 것은?
땔감 따위의 나무를 줄로 감는 것은 ‘묶음’이지요.

예시 : 결속(結束: 한 덩어리가 되게 묶음), 구속(拘束), 단속(團束)
石油(せきゆ - 석유) : 돌 석(石), 기름 유(油)
選手(せんしゅ - 선수) : 가릴 선(選), 손 수(手)
巳: 모양 巳: 모양 共: 함께 공 辶: 갈 착
두 사람(巳巳) 중 함께(共) 갈(辶) 사람을 뽑는 것은?
두 사람 중에서 자기와 함께 갈 한 사람을 뽑는 것은 ‘가림’이지요.
🙋♂️🙋♀️🙇♀️🙇♂️ 巳巳: 고개 숙이고 허리 굽히고 무릎 꿇고 “저를 뽑아 데려가주세요.” 하는 두 사람을 나타낸 글자
洗濯(せんたく - 세탁, 빨래) : 씻을 세(洗), 씻을 탁(濯)
氵: 물 수 先: 먼저 선
물(氵)을 길어와 먼저(先) 하는 것은?
물을 길어와 요리나 청소보다 먼저 하는 것은 더러워진 몸을 ‘씻음’이지요.
예시 : 세수(洗手: 손이나 얼굴을 씻음), 세면(洗面), 세탁(洗濯)
씻을 탁(濯) : 氵: 물 수 翟: 꿩 적
물(氵)에서 꿩(翟)이 하는 것은?
물에서 꿩이 하는 것은 아름다운 깃을 ‘씻음’이지요.
예시 : 세탁(洗濯: 씻음)
꿩 적(翟) : 羽: 깃 우 隹: 새 추
깃(羽)이 아름다운 새(隹)는?
깃이 아름다운 새는 ‘꿩’이지요.
宣伝(せんでん - 선전) : 베풀 선(宣), 전할 전(傳)의 신자체(伝)
宀: 집 면 亘: 걸칠 긍
집(宀)에 어떤 내용을 걸쳐(亘) 두는 것은?
‘宣’은 어떤 내용을 종이 따위에 적어서 누구나 볼 수 있게 집에 걸쳐 두는 것인 ‘선포함’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어떤 내용을 선포함은 어떤 일을 벌이는 것이라 하여 ‘베풂’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선포(宣布: 어떤 내용을 널리 알림), 선언(宣言), 선서(宣誓)
🙋♂️🙋♀️ 베풀다: 1. 일을 벌이다 2. 남에게 혜택을 주다
걸칭 긍(亘) :
하늘( ̄)과 땅(__) 사이에 해(日)가 있는 것은?
하늘과 땅 사이에 해가 있는 것은 하늘과 땅 사이에 해가 ‘걸침’이지요.
전할 전(傳) : 亻: 사람 인 專: 오로지(실뭉치) 전
사람(亻)이 실뭉치(專)에 실을 감는 것은?
사람이 실뭉치에 실을 감는 것은 실뭉치에 실을 ‘전함’이지요.
예시 : 전함(傳함: 이곳에서 저곳으로 옮김), 전달(傳達), 전수(傳授)
専門(せんもん - 전문) : 오로지 전(專), 문 문(門)

예시 : 전문(專門: 오로지 한 부문만 연구함), 전공(專攻), 전업(專業)
想像(そうぞう - 상상) : 생각할 상(想), 형상 상(像)
相: 서로 상 心: 마음 심
서로(相) 마음(心)속으로 하는 것은?
서로 제각각 마음속으로 하는 것은 ‘생각’이지요.
예시 : 상념(想念: 생각), 상상(想像), 사상(思想)
모양 상(像) : 亻: 사람 인 象: 코끼리 상
사람(亻)이 코끼리(象)에 관해 궁금해 하는 것은?
후세 사람이 코끼리에 관해 궁금해 하는 것은 코끼리의 ‘모양(模樣)’이지요.
예시 : 형상(形像: 모양), 심상(心像), 상상(想像)
📌✍📍 ‘像’은 ‘象’이 ‘모양’이라는 뜻으로도 쓰이자, 뜻을 구분하려고 ‘亻’을 덧붙인 글자입니다. 하지만 구분이 확실히 이루어지지 않아, ‘모양’이라는 뜻으로는 ‘象’과 ‘像’을 서로 바꾸어 쓰기도 합니다.
早退(そうたい - 조퇴) : 일찍 조(早), 물러날 퇴(退)
日: 날(해) 일 十: 모양
해(日)가 풀(十) 위에 떠 있는 것은?
해가 풀 위에 떠 있는 것은 때가 ‘이름’이지요.

예시 : 조조(早朝: 이른 아침), 조기(早期)
相談(そうだん - 상담) : 서로 상(相), 말씀 담(談)
速度(そくど - 속도) : 빠를 속(速), 법도 도(度)
束: 묶을 속 辶: 갈 착
묶어서(束) 가면(辶)?
나무를 한 덩어리로 묶어서 가면 ‘빠름’이지요.
예시 : 속행(速行: 빠르게 감), 고속(高速), 쾌속(快速)
底(そこ - 바닥) : 밑 저(底)
广: 집 엄 氐: 근본(밑) 저
집(广)의 밑(氐)은?
집의 밑은 ‘밑’이지요.
예시 : 기저(基底: 기초가 되는 밑 부분), 근저(根底), 저변(底邊)
근본(밑) 저(氐) : 氏: 성씨(뿌리) 씨 __: 부분을 가리키는 선
뿌리(氏) 부분(__)은?
‘氐’는 뿌리 부분은 초목의 ‘밑’임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근본(根本)’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성씨 씨(氏) : 뿌리(氏) 같은 것은?
초목의 뿌리 같은 것은 사람의 뿌리인 ‘성씨’이지요.

예시 : 성씨(姓氏: 성(姓)을 높여 이르는 말), 씨족(氏族)
👨👩👧👧👩👩👧👦 ‘氏’는 김씨(金氏), 이씨(李氏), 박씨(朴氏) 할 때의 ‘씨’입니다.

存在(そんざい - 존재) : 있을 존(存), 있을 재(在)

재주껏 ‘아이’가, 즉 ‘씨앗’이 하는 것은 이 세상에 ‘있음’이지요.
예시 : 존재(存在: 있음), 존립(存立), 생존(生存)
있을 재(在) : 
재주껏 씨앗이 땅에서 하는 것은 이 세상에 ‘있음’이지요.
예시 : 존재(存在: 있음), 실재(實在), 현재(現在)
大会(たいかい - 대회) : 큰 대(大), 모일 회(會)의 신자체(会)
代金(だいきん - 대금) : 대신할 대(代), 쇠 금(金)
滞在(たいざい - 체재) : 막힐 체(滯)의 신자체(滞)
氵: 물 수 帶: 띠 대
물(氵)에 띠(帶)가 생기는 것은?
물에 부유물 따위로 이루어진 띠가 생기는 것은 물이 ‘막힘’이지요.

예시 : 정체(停滯: 멈추거나 막힘), 지체(遲滯), 체류(滯留)
띠 대(帶) : 
예시 : 요대(腰帶: 허리띠), 혁대(革帶), 지대(地帶)
台所(だいどころ - 부엌) : 대 대(臺)의 신자체(台) 혹은 약자(台, 별 태), 바 소(所)

예시 : 대(臺: 높이 쌓아 사방을 볼 수 있게 만든 곳), 무대(舞臺), 전망대(展望臺)
平安(へいあん,794년~1192년)시대에는 궁중이나 귀족의 집에서, 음식을 담는 그릇을 놓는 네 다리가 달린 직사각형 모양의 台(だい)를 台盤(だいばん)이라고 했고, 이 台盤(だいばん)을 두는 곳‘所’(ところ)이라는 의미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방을「台盤所(だいばんどころ)」라고 했는데, 여기서 ‘盤’(ばん)이 생략되어「台所(だいどころ)」가 되었다는 說이 유력하다.
또, ‘음식을 올려놓는 것’이나 ‘음식 그 자체’를 台(だい)라고도 했으므로, 여기에서 생겨난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바 소(所) : 戶: 집 호 斤: 근(도끼) 근
집(戶)에서 도끼(斤)를 두는 곳은?
‘所’는 집에서 도끼를 두는 곳인 일정한 ‘장소’를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바(일 또는 방법)’로 뜻이 바뀌었답니다.

예시 : 장소(場所: 무엇이 있거나 어떤 일이 일어난 곳), 처소(處所), 업소(業所)
台風(たいふう - 태풍) : 별 태(台), 바람 풍(風)
体力(たいりょく - 체력) : 몸 체(體)의 신자체(体), 힘 력(力)
他人(たにん - 타인) : 다를 타(他), 사람 인(人)
亻: 사람 인 也: 어조사(뱀) 야
사람(亻)과 뱀(也)은?
사람과 뱀은 몸의 구조가 ‘다름’이지요.
예시 : 타인(他人), 타국(他國), 배타(排他)
어조사 야(也) : 뱀(也)은?
‘也’는 똬리를 튼 뱀의 모양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어조사(語助辭)’로 뜻이 바뀌었답니다.

예시 : 야(也: 문장을 종결하거나 말의 흐름을 끊을 때 쓰는 어조사)
誕生(たんじょう - 탄생) : 태어날 탄(誕), 날 생(生)
言: 말씀(말) 언 延: 끌 연
말(言)을 끌면서(延) 하는 것은?
말을 “응애~ 응애~ 응애~”라고 끌면서(늘이면서) 하는 것은 ‘태어남’이지요.
예시 : 탄생(誕生: 태어남), 탄신(誕辰), 성탄(聖誕)
끌 연(延) : 
지연(遲延: 더디게 끎), 연기(延期), 연장(延長)
団体(だんたい - 단체) : 둥글 단(團)의 신자체(団), 몸 체(體)의 신자체(体)
囗: 모양 專: 오로지(실뭉치) 전
감은(囗) 실뭉치(專)의 모양은?
감은 실뭉치의 모양은 ‘둥긂’이지요.
예시 : 단결(團結: 둥글게 맺음/ 많은 사람이 마음과 힘을 한데 뭉침), 단합(團合), 집단(集團)
遅刻(ちこく - 지각) : 더딜/늦을 지(遲)의 신자체(遅), 새길 각(刻)

예시 : 지각(遲刻), 지지부진(遲遲不進), 지연(遲延), 지체(遲滯)
새길 각(刻) : 亥: 돼지(뼈) 해 刂: 칼 도
뼈(亥)에 칼(刂)로 하는 것은?
뼈에 칼로 하는 것은 문자 따위를 ‘새김’이지요.

예시 : 각골(刻骨: 뼈에 새김), 조각(彫刻), 음각(陰刻)
中古(ちゅうこ - 중고) : 가운데 중(中), 옛 고(古)
駐車(ちゅうしゃ - 주차) : 말 머물 주(駐), 수레 차(車)
예시 : 주둔(駐屯), 주재(駐在), 주차(駐車)
調子(ちょうし - (몸, 기계) 상태) : 고를 조(調), 아들 자(子)
言: 말씀(말) 언 周: 두루(두를) 주
말(言)을 둘러서(周) 하는 것은?
말을 둘러서 하는 것은 말마디의 수위를 ‘고름’이지요.
예시 : 조절(調節: 마디를 고름/ 적당하게 맞춤), 조정(調整), 조화(調和)
두루 주(周) : 冂: 모양 土: 흙(땅) 토 ㅁ: 모양
둘레(冂)가 땅(土)의 구역(ㅁ)을 두른 모양은?
둘레가 땅의 구역을 두른 모양은 ‘두루’이지요.

예시 : 주위(周圍: 둘레), 주변(周邊)
📍 ‘周’는 ‘둘레/두를 주’라고도 합니다.
朝食(ちょうしょく - 조식) : 아침 조(朝), 밥 식(食)
貯金(ちょきん - 저금) : 쌓을 저(貯), 쇠 금(金)
貝: 조개(돈) 패 宁: 쌓을 저
돈(貝)을 쌓는(宁) 것은?
돈을 쌓는 것은 ‘쌓음‘이지요.
예시 : 저축(貯蓄: 쌓음), 저금(貯金), 저장(貯藏)
쌓을 저(宁) : 
直接(ちょくせつ - 직접) : 곧을 직(直), 이을 접(接)
扌: 손 수 妾: 첩(계집종) 첩
손(扌)으로 계집종(妾)이 하는 것은?
손으로 계집종이 하는 것은 일거리에 손을 ‘이음’이지요.

예시 : 접촉(接觸: 이어서 닿음), 접착(接着), 접합(接合)
첩 첩(妾) : 立: 설 립 女: 여자 녀
서서(立) 시중드는 여자(女)는?
‘妾’은 서서 시중드는 여자인 ‘계집종’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첩’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첩(妾: 본처 외에 부부 관계를 맺은 여자), 첩실(妾室), 축첩(蓄妾)
通勤(つうきん - 통근) : 통할 통(通), 부지런할 근(勤)
通訳(つうやく - 통역) : 통할 통(通), 통변할/번역할 역(譯)의 신자체(訳)
言: 말씀(말) 언 睪: 엿볼 역
말(言)을 엿보며(睪) 하는 것은?
말을 사전 따위에서 엿보며 하는 것은 ‘번역함’이지요.
예시 : 번역(飜譯: 한 나라의 말을 다른 나라의 말로 옮김), 통역(通譯), 직역(直譯)
엿볼 역(睪) : 罒: 눈 목 幸: 다행(행복) 행
눈(罒)이 행복(幸)해지는 것은?
눈이 행복해지는 것은 남의 것을 ‘엿봄’이지요.
都合(つごう - 사정, 형편) : 도읍 도(都), 합할 합(合)
者: 놈(사람) 자 阝: 고을 읍
사람(者) 많은 고을(阝)은?
사람이 가장 많은 고을은 ‘도읍’이지요.
예시 : 도읍(都邑: 한 나라의 서울), 도시(都市), 수도(首都)
停電(ていでん - 정전) : 머무를 정(停), 번개 전(電)
亻: 사람 인 亭: 정자 정
사람(亻)이 정자(亭)에서 하는 것은?
사람이 정자에서 하는 것은 ‘머무름’이지요.
예시 : 정류(停留: 머무름), 정지(停止), 정차(停車)
정자 정(亭) : 
伝言(でんごん - 전언, 전하는 말, 메시지) : 전할 전(傳)의 신자체(伝), 말씀 언(言)
天井(てんじょう - 천정) : 하늘 천(天), 우물 정(井)
動作(どうさ - 동작) : 움직일 동(動), 지을 작(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