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LPT N3 2023 ~ 2016 기출어휘

Kiwoong Park·2024년 11월 13일
0

오답노트 기록용

1회독

2023년

  • 깜빡 : 웃카리
  • 좁다 : 호소이
  • 월말(끝 말末) : 게츠마츠
  • 소형(型) : 코가타
  • 거절하다(斷る) : 코토와루
  • 조간(朝刊) : 쵸우칸
  • 가능(可能) : 카노우
  • 깔끔히 : 키친토
  • 코이시이(사모할 련戀 \rarr 恋) : 그립다
  • 차, 차이(어긋날 차 差) : 사
  • 다루이 : 나른하다
  • 사귀다(부칠 부付, 합할 합合) : 츠키아우
  • 핥다 : 나메루
  • 흔들다(떨칠 진振) : 후루 ~ 꼬리/손/기/머리를 흔들다
  • 괜찮다(평평할 평平, 기운 기氣) : 헤이키다
  • 좋지 않은 점 : 요쿠나이토코로
  • 크기 : 오오키사
  • 입을 다물고 있었다 : 다맛테이타
  • 호통치지말고 : 도나라나이데
  • 큰소리(大声, 소리 성聲\rarr声)로 화내지 말고 : 오오고에데 오코라나이데
  • 배달하다 : 하이타츠스루
  • 보내다(이를 계届ける) : 토도케루
  • 피난하다(避難) : 히난스루
  • 가장 좋은 : 最모요이(못토모요이)
  • 공통 : 쿄우츠우
  • 교류 : 코우류우
  • 진찰(볼 진診, 살필 찰察) : 신사츠
  • 채우다, 담다(물을 힐/꾸질을 힐 詰) : 츠메루
  • 생긋생긋, 싱글벙글 : 니코니코
  • 말을 걸다 : 하나시카케루

2022년

  • 모퉁이(뿔 각角) : 카도
  • 비교하다(견줄 비比) : 쿠라베루
  • 석양 : 유우히
  • 용기 : 요우키
  • 위(밥통 위胃, 위장할 때 위) : 이
  • 회화, 그림(그림 회繪, 그림 화畵) : 카이가
  • 칠판(黑, 널 판板) : 코쿠반
  • 들이마시다(숨들이쉴 흡 吸) : 스우
  • 앞지르다, 추월하다 : 오이코스, 追い越す, 넘을 월 越
  • 마르다 : 카와쿠, 목마를 갈 渇 ~ 목이 마르다, 갈증이 나다
  • 분하다 : 쿠야시이, 늬우칠 회 悔
  • 친척(친할 친親, 겨레 척戚) : 신세키
  • 욱신욱신 : 즈키즈키
  • 타타쿠 : 두드리다
  • 의논하다 : 하나시아우
  • 짖다 : 호에루
  • 망설이다 : 마요우(미혹할 미 迷)
  • 주다, 부여하다 : 아타에루
  • 조카 : 오이
  • 언니(누나)의 아들 : 아네노무스코
  • 상세하다(詳しい, 자세할 상詳) : 쿠와시이
  • 지정된(가리킨 지指, 정할 정定) : 시테이노
  • 정해진(결단할 결決 決められた) : 키메라레타
  • 매우, 상당히(아닐 비非, 정상 상常) : 히죠우니
  • 예정 : 요테이
  • 쉽게 화내다 : 스구오코루
  • 평소 : 후단
  • 단념하다(살필 체 諦) : 아키라메루
  • 이상하다, 정상이 아니다(다를 이 異, 떳떳할 상常) : 이죠우다
  • 안다(팔,가슴에) : 다쿠

2021년

  • 남은 것, 나머지(殘) : 노코리
  • 증감(增減) : 조우겐
  • 우송(우편 우郵, 보낼 송送) : 유우소우
  • 딸(계집 낭娘 <-> 息子: 아들, 자식) : 무스메 <-> 무스코
  • 성격 : 세이"카쿠"
  • 예상(나 여予, 생각할 상想) : 요소우
  • 고가 : 코우카
  • 보고 : 호우코쿠
  • 쓸데없음, 헛됨(無실을 타馱) : 무다
  • 익일 : 요쿠지츠
  • 토지 : 도치
  • 일전, 지난번 : 코노아이다
  • 뿔뿔이, 제각기 다른 모양 : 바라바라
  • 수고하셨습니다 : 오츠카레사마

2019년

  • 허리 : 코시
  • 방위, 방향 : 호우가쿠
  • 허둥지둥 : 우로우로
  • 친하다 : 시타시이
  • 농담 : 죠우단
  • 청결(淸, 깨끗할 결潔) : 세이케츠
  • 적극적 : 셋쿄쿠테키
  • 녹다 : 도케루
  • 배가 고프다 : 오나카(배 복腹)가 페코페코다
  • 배가 고프다 : 오나카가 스이테이루
  • 감사(느낄 감感, 사례할 사謝) : 칸샤
  • 사례(예절 례, 예도 례お礼) : 오레이
  • 좋지 않은 점 : 요쿠나이토코로
  • 이대로 : 코노마마
  • 아무것도 바뀌지 않고 : 나니모"카(變, 변할 변)"에나이데
  • 마치고 : 스마세테(건널 제濟, 済ませる)
  • 치우다 : 카타즈케루(조각 편片, 줄 부付)
  • 말하지 않고 : 다맛테(말 없을 묵, 잠잠할 묵默)
  • 건강(굳셀 건健, 편안할 강康) : "켄"코우
  • 중순 : 츄우"쥰"

2018년

  • 주간지 : 슈우칸"시"
  • 넘치다 : 아후레루
  • 쌓다, 거듭하다 : 카사(무거울 중重)네루
  • 건조 : "칸"소우
  • 꽉 끼다, 힘들다, 빡빡하다 : 키츠이
  • 우연 : 구우젠
  • 꽉, 단단히 : 싯카리
  • 짜다(쥐어) : 시보루
  • 제한 : 세이겐
  • 헤매다 : 마요우(迷う)
  • 달려왔다 : 카(몰 구 駆)케테키타
  • 지도하고 : "시"도우시테(손가락 지指, 인도할 도導)
  • 수다떨지말고 : 샤베라나이데
  • 수단(조각 단段) : 슈단
  • 하는 법 : 야리카타
  • 지루했다 : 타이쿠츠(물러날 퇴退, 굽힐 굴屈)닷타
  • 재미없었다 : 츠마라나캇타 (詰まらない : 시시하다, 흥미가 없다)
  • 다소 : 타쇼우
  • 단체로 : 단타이데(둥글 단団, 몸 체体)
  • 연습 : 렌슈우(익힐 련 練)
  • 말할 수 있다 : 하나세마스
  • 겨우 : 요우야쿠
  • 겨우 : 얏토
  • 거리 : 쿄리(떨어질 거 距, 떠날 리離)

2017년

  • 더럽다 : 키타나이
  • 넘어지다 : 코로부
  • 주요 : 슈요우
  • 조퇴 : "소우"타이
  • 직접 : 쵸쿠세츠
  • 경유 : 케이유
  • 두통 : 즈츠우
  • 응모 : 오우"보"
  • 해결 : 카이"케"츠
  • 완성 : 칸세이
  • 정상이다 : 세이죠우다
  • 등장 : 토우"죠우"
  • 비교 : 히"카쿠"
  • 닦다 : 후쿠
  • 마루 : 유카
  • 마당 : 니와
  • 모든, 온갖 : 아라유루
  • 절대 : 젯타이(끊을 절絶, 대할 대對, 신자체 : 対)
  • 끝 : 오시마이, 오와리
  • 반대 : "한"타이
  • 돕다 : 테츠다우(手伝う, 전할 전)
  • 진짜라고 생각하다 : "혼토우"다토오모우
  • 예정 : 요테이
  • 혼났다, 야단 맞았다 : 도나라레타
  • 큰 소리로 : 오오고에데(소리 성聲)
  • 혼났다 : 오코라레타
  • 눈부시다 : 마부시이
  • 가난하다 : 마즈시이
  • 너무 밝다 : 아카루스기루(밝을 명明)
  • 대게, 대략 : 다이타이
  • 마르다, 시들다 : 카레루

2016년

  • 부러지다, 꺾이다(꺾을 절折) : 오레루
  • 관객 : 칸"캬"쿠
  • 더하다, 보태다 : 쿠와에루
  • 개인(낱 개個) : 코진
  • 노력 : "도"료쿠
  • 방향 : 호우"코우"
  • 승차 : 죠우샤
  • 잠자다(眠) : 네무루
  • 수출 : 유슈츠
  • 아깝다 : 오시이
  • 둘러싸다(圍의 신자체 囲) : 카코무
  • 텅텅 빈 모양 : 가라가라
  • 바싹 마른 모양, 바삭바삭함 : 카라카라
  • 자세(맵시 자姿, 형세 세勢) : 시세이
  • 의지하다(의지할 뢰賴의 신자체 : 頼) : 타요루
  • 용서하다, 허락하다 : 유루스
  • 남았습니다 : 노코리마시타
  • 나중의 다른날로 : "아토"노"베츠"노히니
  • 하게 되었다 : 스루코토니낫타
  • 횡단금지 : 오우단킨"시"
  • 건너서는(건널 도 渡) : 와탓테와
  • 빛나다 : 카가야쿠, 히카루
  • 실망했다 : 갓카리마시타
  • 규칙(결단할 결 決) : 키마리(決(ま)り), 키소쿠
  • 당연: 토우젠
  • 돌연(갑자기 돌突) : 토츠젠
  • 물론 : 모치론
  • 전혀 : 맛타쿠, 젠젠
  • 배우고 있다 : 마난데이루(まなぶ : 学ぶ)
  • 출장 : "슛"쵸우
  • 위로하다, 달래다(위로할 위慰) : 나구사메루
  • 비등,끓어오름 : "훗"토우
  • 굽히다, 구부리다 : 마게루

2회독

2023년

  • 월말 : 게츠마츠
  • 소형 : "코"가타
  • 조간 : 쵸우"칸"
  • 광장 : 히로"바"
  • 더럽히다 : 요고스
  • 깔끔히 : 키친토
  • 나른하다 : 다루이
  • 사귀다(줄 부付, 합할 합合) : 츠키아우
  • 동작 : 도우사
  • 핥다 : 나메루
  • 흔들다 : 후루(떨칠 진 振)
  • 괜찮다 : 헤이키다
  • 입을 다물고 있다 : 다맛테이타
  • 보내다(이를 계届) : 토도케루
  • 피난하다(피할 피避) : 히난스루
  • 공통 : 쿄우츠우
  • 진찰(볼 진診) : 신사츠
  • 채우다, 담다(물을 힐/꾸짖을 힐詰) : 츠메루

2023년 한자

  1. 줄 부(付) : 亻: 사람 인 寸: 모양
    사람(亻)이 손(🖐)에 든 무엇( ')을 건네는 것은?
    사람이 손에 든 무엇을 남에게 건네는 것은 ‘줌’이지요.
  1. 떨칠 진(振) : 扌: 손 수 辰: 별 진
    손(扌)재주가 별(辰)처럼 빛나면?
    손재주가 별처럼 빛나면 위세나 명성 따위를 ‘떨침’이지요.
    예시 : 진흥(振興: 떨쳐 일으킴), 진작(振作), 부진(不振)
  • 떨치다: 위세나 명성 따위를 널리 알려지다
  1. 별 진(辰) :
    언덕(厂) 밑에서 나오는 반짝이는(☆) 것은?
    언덕 밑에서 나오는 반짝이는 것은 ‘별’이지요.
    예시 : 성신(星辰: 많은 별), 생신(生辰)
  • ‘辰’은 별을 보고 헤아리는 것인 ‘때’를 뜻하여, ‘때 신’이라고도 합니다.
  • ‘辰’은 지지(地支: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에서 다섯째로 쓰여, ‘다섯째 지지 진’이라고도 합니다.
  1. 이를 계(屆, 신자체 : 届) :
    뜻을 나타내는 尸(주검 시)와 음을 나타내는 글자 凷(흙덩이 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사람은 결국엔 죽어서 흙덩이에 이르다. 다다르다
    한국에서는 잘 안 쓰이는 반면에 일본과 중국에서는 자주 쓰이며, 凷를 由로 바꿔 届로 쓴다. 일본어의 届く(とどく)는 '닿다, 다다르다', 届ける(とどける)는 '닿게 하다, 신청하다'라는 뜻이며, 중국어의 届는 '때가 되다', '(서수로서의) 회(回), 차(次)'라는 뜻이다.
  1. 피할 피(避) : 辟: 임금(가를) 벽 辶: 갈 착
    갈라져(辟) 가는(辶) 것은?
    상대와 갈라져 다른 데로 가는 것은 ‘피함’이지요.
    예시 : 피함(避함: 어떤 일을 당하지 않으려고 몸을 옮김), 도피(逃避), 회피(回避)

  2. 임금(가를) 벽(辟) :
    尸: 주검(몸) 시 ㅁ: 모양 辛: 매울(형벌칼) 신
    몸(尸)에서 살점(ㅁ) 떨어지게 형벌칼(辛)로 하는 것은?
    ‘辟’은 몸에서 살점 떨어지게 형벌칼로 하는 것인 ‘가름’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그렇게 하도록 형벌을 내리는 이인 ‘임금’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3. 진찰할 진(診) :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음을 나타내는 㐱(숱많고검을 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환자의 말을 듣고, 사람(㐱=사람人+터럭삼參)에 손을 짚어 보는 것
    예시 : 왕진(往診), 진단(診斷), 진료(診療), 진맥(診脈), 진찰(診察), 타진(打診), 확진(確診)

  4. 물을/꾸짖을 힐(詰) :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吉(길할 길)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어에서는 훈독해 (틈을) 메꾸다, 막다, 닫다 등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다만 발음이 달라지니 구별하기는 어렵지 않다. “힐난하다”는 의미로 음독할 경우 “키츠”로 발음하지만, 막는다는 의미로 훈독 시에는 “츠메”(つめ)로 읽는다. '꾸짖다'는 의미인 なじる로 훈독하기도 하지만 상용 독음은 아니다.

2022년

  • 모퉁이 : 카도
  • 계산 : 케이
  • 석양(저녁 석夕, 날 日) : 유우히
  • 위(밥통 위胃, 소화기관) : 이
  • 회화(그림 회繪, 신자체:絵) : 카이가
  • 칠판(검을 흑黑, 널조각 판板) : 코쿠반
  • 들이마시다(숨들이쉴 흡吸) : 스우
  • 앞지르다, 추월하다(따를 추追, 넘을 월越) : 오이
  • 마르다(목마를 갈渴) : 카와쿠
  • 우연히 : 구우
  • 분하다(뉘우칠 회悔) : 쿠야시이
  • 친척(겨레/친척 척戚) : 신세키
  • 욱신욱신 : 즈키즈키
  • 두드리다 : 타타쿠
  • 등장 : 토우죠우
  • 막다(막을 방防) : 후세구
  • 말리다(방패 간干, 젖은 것을 말리다) : 호스
  • 벗기다 : 무쿠
  • 주다, 부여하다 : 아타에루, 아게루
  • 조카 : 오이
  • 언니(누나, 손윗누이 자姉) : 아네
  • 운동장 : 운도우죠우
  • 상세하다(자세할 상詳) : 쿠와시이
  • 정해진(결단할 결決) : 메라레타
  • 매우, 상당히(아닐 비非, 항상 상常) : 히죠우
  • 쉽게 화내다 : 스구오코루
  • 평소 : 후단
  • 단념하다, 체념하다(살필 체, 울 제諦) : 아키라메루
  • 이상하다, 정상이 아니다(다를 이異, 항상 常) : 이죠우다
  • 안다 : 다쿠

2022년 한자

  1. 밥통 위(胃) : 田: 밭 전 月: 고기(몸) 육
    밭(田) 같은 몸(月)의 부위는?
    밭같이 주름진 몸의 부위는 ‘밥통’이지요.

  2. 그림 회(繪) : 糸: 가는 실 멱 會: 모을 회
    실 같은 선을 모아서 그림을 만듦

  3. 널빤지 판(板) : 木: 나무 목 反: 돌이킬(반대) 반
    나무(木)로 된 건데 반대(反)로 휘어지는 것은?
    나무로 된 건데 반대로 휘어질 만큼 유연한 것은 ‘널빤지’이지요.
    원래 나무였던 널빤지..?

  4. 마실 흡(吸) : ㅁ: 입 구 及: 미칠(이를) 급
    입(ㅁ)에 이르면(及) 하는 것은?
    기체나 액체 따위가 입에 이르면 하는 것은 ‘마심’이지요.

  5. 넘을 월(越) : 走: 달릴 주 戉: 도끼 월
    달리면서(走) 도끼(戉)를 휘두르는 것은?
    달리면서 도끼를 휘두르는 것은 병사가 국경을 ‘넘음’이지요.
    ☞ ‘戉’은 ‘戌’(도끼 술)이 변한 글자입니다.
    예시 : 월경(越境: 국경을 넘음), 초월(超越), 추월(追越)

  6. 목마를 갈(渴) : 氵: 물 수 曷: 어찌(빌) 갈
    물(氵)을 빌게(曷) 하는 것은?
    물을 빌어먹게 하는 것은 ‘목마름’이지요.
    예시 : 갈증(渴症: 목마른 증세), 갈망(渴望), 갈구(渴求)

  7. 어찌(빌) 갈 : 曰: 가로(말할) 왈 匃: 모양
    말(曰)을 허리 굽히고(勹) 무릎 꿇은(ㄴ) 사람(人)이 하는 것은?
    ‘曷’은 말을 허리 굽히고 무릎 꿇은 사람이 하는 것인 ‘빎(남에게 무엇을 공짜로 달라고 호소함)’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어찌’란 뜻으로 쓰이게 되었답니다.

  8. 뉘우칠 회(悔) : 忄: 마음 심 每: 매양(늘) 매
    마음(忄)이 늘(每) 하는 것은?
    마음이 어떤 일이 일어난 뒤에 늘 하는 것은 ‘뉘우침’이지요.
    예시 : 후회(後悔: 어떤 일이 일어난 뒤에 잘못을 뉘우침), 회한(悔恨), 회개(悔改)

  9. 친척 척(戚) : 戊: 천간(무성할) 무 尗: 콩 숙
    무성한(戊) 콩(尗) 같은 것은?
    무성한 콩 같은 것은 ‘친척’이지요.

  10. 천간 무(戊): / : 모양 戈: 창 과
    긴 날(/)이 달린 창(戈)은?
    ‘戊’는 긴 날이 달린 창은 날의 모양이 ‘무성함’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천간(天干: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에서 다섯째로 쓰여 다섯째 ‘천간(天干)’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11. 콩 숙(尗) :
    줄기(|)와 꼬투리(-)와 지면(一)과 뿌리(小)는?
    ‘尗’은 줄기와 꼬투리와 지면과 뿌리로 된 ‘콩’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12. 자세할 상(詳) : 言: 말씀(말) 언 羊: 양 양
    말(言)을 양(羊)떼처럼 하는 것은?
    말을 양떼처럼 길게 또는 줄줄이 하는 것은 ‘자세함(仔細함)’이지요.

  13. 결단할 결(決) : 氵: 물 수 夬: 터놓을 쾌
    물(氵)을 터놓는(夬) 것은?
    비가 많이 올 때 둑을 끊어 강물을 마을로 약간 터놓을지 아니면 더 두고 볼지를 고민하다가, 이러다 둑 무너지면 홍수 나겠다 싶어서, 물을 터놓는 것은 ‘결단함’이지요.

  14. 살필 체(諦) : 말씀 언(言) 임금 제(帝)
    백성을 살피기 위해 말하는 임금, 임금의 말로 인해 단념, 체념하게 되다.

  15. 다를 이(異) : 田: 모양 ㅛㅛ : 모양 人: 사람 인
    흉한 얼굴(田) 가면을 양손(ㅛㅛ)으로 사람(人)이 쓰면?
    흉한 얼굴 가면을 양손으로 사람이 쓰면 모습이 ‘다름’이지요.
    예시 : 차이(差異: 다름), 괴이(怪異), 이상(異常)

2021년

  • 남은 것, 나머지 : 노
  • 증감 : 조우겐
  • 나오다, 생겨나다(生) : 하에루
  • 우송(우편 우郵, 보낼 송送) : 유우소우
  • 딸(娘) : 무스메
  • 예상 : 요소우
  • 공을 맞히다 : 보루가아타루
  • 쓸데없음, 헛됨(無,실을 타馱) : 무다
  • 익일(다음날 익翌) : 요쿠지츠
  • 토지 : 도치
  • 일전, 지난번 : 코노아이다
  • 뿔뿔이, 제각기 다른 모양 : 바라바라
  • 고상함, 품질이 좋음 : 죠우힌
  • 방위, 방향(方角) : 호우가쿠
  • 정전 : 테이
  • 집중 : 슈우츄우
  • 농담 : 죠우
  • 적극적 : 셋쿄쿠테키
  • 녹다 : 토케루
  • 돌연 : 토츠
  • 이상한 : 오카시나, 헨나
  • 배가 고프다 : 오나카가스이테이루
  1. 아가씨 낭(娘) : 女: 여자 녀 良: 어질(좋을) 량
    여자(女)를 좋게(良) 이르는 것은?
    여자를 좋게 이르는 것은 ‘아가씨’이지요.
    예시 : 낭자(娘子: 아가씨를 높여 이르는 말)

  2. 보낼 송(送) : 关: 笑(웃음 소)의 이형 辶: 갈 착
    웃으며(关) 가게(辶) 하는 것은?
    웃으며 상대를 가게 하는 것은 상대를 먼 곳으로 ‘보냄’이지요.

  3. 짐실을 타(馱) :
    馬(말 마)와 소리를 나타내는 大(큰 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의 경우 大(큰 대)가 아닌 太(클 태)를 써서 오히려 획수가 하나 더 많은 駄를 쓴다.

    일본어 - 일본어권에서 뭔가 싣는다는 의미 외에 '변변치 않은'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접두어로도 쓰인다. 그래서 일본어에서 이 한자가 들어가는 낱말은 부정적인 경우가 많다. 한국어의 접두사 '개-'와 비슷한 뉘앙스라고 보면 된다.
    駄作 - 졸작이라는 뜻이다.
    無駄 - 소용없다, 어림없다라는 뜻. 무다무다가 여기서 유래되었다.
    駄目 - '안돼'라는 뜻. 어원은 바둑의 공배. 보통은 가타카나 ダメ로 표현한다.
    駄菓子 - 막과자.
    下駄 - 일본식 나막신.

2019년

  • 청결(깨끗할 결潔) : 세이게츠
  • 적극적 : 쿄쿠테키
  • 감사(느낄 감感, 사례할 사謝) : 칸샤
  • 사례(패 찰札) : 오레이
  • 무엇도 변하지 않고 : 나니모카에나이데
  • 마치고(건널 제濟, 신자체 : 済) : 스마세테
  • 치우다(조각 편片, 줄/부칠 부付) : 카타즈케루
  • 말하지 않고(잠잠할 묵默) : 다맛테

2019년 한자

  1. 깨끗할 결(潔) : 氵: 물 수 㓞/糸 : 무늬 결
    물(氵)로 무늬(㓞/糸)를 지우면?
    물로 더러운 무늬를 지우면 ‘깨끗함’이지요.

  2. 무늬 결(㓞/糸) : 糸: 실 사 㓞: 새길 갈
    실(糸)로 새기는(㓞) 것은?
    실로 새기는 것은 ‘무늬’이지요.

  3. 새길 갈(㓞) : 丰: 예쁠 봉 刀: 칼 도
    예쁘게(丰) 칼(刀)로 파는 것은?
    예쁘게 글씨나 무늬를 칼로 파는 것은 ‘새김’이지요.

  4. 사례할 사(謝) : 言: 말씀(말) 언 射: 쏠 사
    말(言)로 쏜다고(射) 하는 것은?
    말로, 한턱 쏜다고 하는 것은 ‘사례함’이지요.
    예시 : 사례(謝禮: 말이나 물품으로 상대에게 고마움을 전함), 사은(謝恩), 감사(感謝)

  5. 쏠 사(射) : 身: 몸 신 寸: 모양
    몸(身)이 활(寸)을 들고 하는 것은?
    몸이 활을 들고 하는 것은 화살을 ‘쏨’이지요.
    예시 : 발사(發射: 쏨), 사격(射擊), 사살(射殺)

  6. 건널 제(濟) : 氵: 물 수 齊: 가지런할(약초) 제
    물(氵)에서 가지런한(齊) 징검다리를 밟는 것은?
    물에서 보행자가 가지런한 징검다리를 밟는 것은 물을 ‘건넘’이지요.
    예시 : 제주도(濟州道), 구제(救濟), 경제(經濟)

  7. 가지런할 제(齊) :

    약초를 싸놓은 모양은 ‘가지런함’이지요.
    예시 : 정제(整齊: 가지런함), 제창(齊唱)

  8. 잠잠할 묵(默) : 黑: 검을 흑 犬: 개 견
    검은(黑) 개(犬)의 특징은?
    검은 개의 특징은 적에게 자신이 잘 보이지 않음을 알기에 ‘잠잠함(潛潛함)’이지요.
    예시 : 묵묵(默默: 잠잠함), 침묵(沈默), 과묵(寡默)

2018년 한자

  1. 몰 구(驅) : 馬: 말 마 區: 구분할 구
    말(馬)을 구분한(區) 지역으로 가게 하는 것은?
    말을 어떤 ‘구분한 지역’, 즉 어떤 ‘구역(區域)’으로 가게 하는 것은 ‘몲’이지요.
    예시 : 구사(驅使: 몰아서 부림), 구동(驅動), 구박(驅迫)

  2. 인도할 도(導) : 道: 길 도 寸: 마디(손) 촌
    길(道)에서 손(寸)으로 하는 것은?
    길에서 손으로 하는 것은 남을 ‘인도함’이지요.
    예시 : 인도(引導: 남을 이끎), 선도(先導), 지도(指導)

  3. 굽힐 굴(屈) : 尸: 주검 시 出: 날 출
    몸(尸)이 나갈(出) 때 하는 것은?
    사람의 몸이 굴집 등의 좁은 문을 나갈 때 하는 것은 ‘굽힘’이지요.
    예시 : 굴절(屈折: 굽히거나 꺾임), 굴곡(屈曲), 굴복(屈服)

  4. 둥글 단(團) : 囗: 모양 專: 오로지(실뭉치) 전
    감은(囗) 실뭉치(專)의 모양은?
    감은 실뭉치의 모양은 ‘둥긂’이지요.
    예시 : 단결(團結: 둥글게 맺음/ 많은 사람이 마음과 힘을 한데 뭉침), 단합(團合), 집단(集團)

2017년

  • 넘어지다(구를 전轉 - 신자체 : 転) : 코루
  • 조퇴(물러날 퇴退) : 소우타이
  • 직접 : 쵸쿠세츠
  • 타다(불탈 연燃) : 모에루
  • 관계(이을 계係) : 칸케이
  • 두통 : 즈츠우
  • 확실하다 : 카쿠지츠다
  • 완성(완전할 완完) : 칸세이
  • 고통스럽다, 난처하다 : 쿠루시이
  • 꽤, 몹시 : 즈이분
  • 정상이다 : 세이죠우다
  • 닦다 : 후쿠
  • 비교 : 히
  • 모든, 온갖 : 아라유루
  • 반대 : 타이
  • 돕다(手, 전할 전傳의 신자체:伝) : 테츠다우
  • 혼났다, 야단맞았다 : 도나라레타
  • 마르다, 시들다 : 카레루
  • 감소(덜 감減) : 겐쇼우

2016년

  • 관객 : 칸캬쿠
  • 공통 : 쿄우츠우
  • 더하다 : 쿠와에루
  • 노력 : 료쿠(장음X)
  • 방향 : 호우코우
  • 끼다, 짜다, 끄다(짤 조組) : 쿠무
  • 승차 : 죠우
  • 수출 : 유슈츠
  • 둘러싸다 : 카코무
  • 아깝다 : 오시이
  • 상처, 흠(다칠, 상처 상傷) : 키즈
  • 의지하다 : 타요루
  • 하게되었다 : 스루코토니낫타
  • 건너서는 : 와탓테와
  • 빛나다 : 카가야쿠
  • 실망했다 : 갓카리시타
  • 전혀 : 맛타쿠, 젠젠
  • 물론 : 모치론
  • 출장 : 쵸우
  • 끓어오름, 비등 : 토우
  • 굽히다, 구부리다 : 마게루

2016년 한자

  1. 짤 조(組) : 糸: 실 사 且: 또(여럿) 차
    실(糸) 여럿(且)으로 하는 것은?
    실 여러 가닥으로 하는 것은 베 따위를 ‘짬’이지요.
    예시 : 조직(組織: 짬), 조합(組合), 조립(組立)

  2. 또 차(且) :
    여럿(目)을 바닥(__)에 쌓은 것은?
    여러 물건을 바닥에 쌓은 것은 ‘또’ 쌓은 것이지요.
    예시 : 차치(且置), 구차(苟且), 중차대(重且大)

  1. 다칠 상(傷) : 亻: 사람 인 /ㅡ : 矢(화살 시)의 생략형 昜: 볕 양
    사람(亻)이 화살촉(/ㅡ)에 찔려 볕(昜)처럼 열이 나는 것은?
    사람이 화살촉에 찔려 햇볕처럼 열이 나는 것은 몸을 ‘다침’이지요.
    예시 : 상함(傷함: 다침), 상처(傷處), 부상(負傷)

3회독

2023년

  • 월말(끝 말末) : 게츠마츠
  • 광장 : 히로바
  • 좁다(가늘 세細) : 호소이
  • 회비 : 카이히
  • 깔끔히 : 키친토
  • 나른하다 : 다루이
  • 사귀다(줄 부付, 합할 합合) : 츠키아우
  • 핥다 : 나메루
  • 흔들다(떨칠 진振) : 후루
  • 괜찮다(平氣다) : 헤이키다
  • 입을 다물고 있었다 : 다맛테이타, 하나사나캇타
  • 배달하다 : 하이타츠스루
  • 보내다, 배달하다(이를 계屆) : 토도케루
  • 공통 : 우츠우
  • 정체 : 쥬우타이
  • 진찰 : 신사츠
  • 채우다, 담다 : 츠(물을 힐詰)메루

2023년 한자

  1. 끝 말(末) : 木: 나무 목  ̄: 끝 부분을 가리키는 선
    나무(木)의 끝 부분( ̄)은?
    ‘末‘은 나무의 끝 부분에 선을 길게 그어 나무의 ‘끝‘을 가리킨 글자입니다.
    예시 : 말단(末端: 맨 끝), 말미(末尾), 결말(結末)

2022년

  • 싸다, 포장하다 : 츠츠무
  • 용기 : 요우키
  • 석양(夕日) : 유우히
  • 회화 : 카이가
  • 앞지르다, 추월하다 : 오이코(넘을 월越)스
  • 마르다 : 카와(목마를 갈渴)쿠
  • 분하다 : 쿠야시이(뉘우칠 회悔)
  • 우연 : 구우
  • 친척 : 신세키
  • 즈키즈키 : 욱신욱신
  • 의논하다 : 하나시아우
  • 두드리다 : 타타쿠
  • 말리다 : 호스(방패 간干)
  • 벗기다 : 무쿠
  • 주다, 부여하다 : 아타에루
  • 조카 : 오이, 아네노무스코
  • 상세하다 : 쿠와(자세할 상詳)시이
  • 매우, 상당히 : 히죠우니(非常に, 아닐 비, 떳떳할 상)
  • 쉽게 화내다 : 스구오코루(直ぐ怒る)
  • 곧, 즉시, 곧바로 : 스구니
  • 평소 : 후단
  • 단념하다, 체념하다 : 아키라(살필 체諦)메루
  • 이상하다, 정상이 아니다 : 이죠우다
  • 발전 : 핫텐
  • 안다 : 다쿠
profile
You matter, never give u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