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락원 강의 발췌 공부용








우케루 ~ 피해를 받다, 혜택을 받다(추상적인 것을 받을 때 씀)





탁음이 있는 경우 다 적어도 됨

점으로 읽을지 가게로 읽을지 생각!
중간에 히라가나가 있으니까 훈독으로 읽기
앞의 한자를 한번 더 반복해서 읽어라
일본어의 동사는 첫음부터 탁음이 붙지 않음

같은 카행끼리 부딧쳣을 때 발음하기 어려우므로 작은 tsu로 바뀜
A+B합성어일시 두번째 첫음은 탁음으로

자주보는 사이
오야붕
나무에서 도끼로 새롭게 만듦


마을에 왕이 와서 보러간다 = 출현. 나타날 현
하행은 약한 발음이기 때문에 새는 발음으로 들려 탁음을 붙여 강하게 함
종이 지이지만 '시'로 읽음
뒷면 ~ 우라

손 + 작성 => 두 번째 탁음
昨 어제 작 ~ 사쿠
헤어질 별, 다를 별, 나눌 별
동음이의어 와카레루 나뉘다

이상할 변, 變
a ~ 거의 자동사
e ~ 거의 타동사


검/험자는 켄으로 읽음
강한 발음 : 타행, 카행, 사행

모형 형은 음독보다 훈독 활용이 많은 한자

보통 '반'자는 한으로 읽지만 돌이킬 반자만 헨으로 읽음

한글로 같은 '주'이지만 발음이 다 다름

실, 인연이라는 뜻도 있음. 길할 길(吉) ~ 인연을 통해 길해짐
결은 케츠로 읽음 ~ 결석 ~ 켓세키



개의 머리로 종류를 나눴음 ~ 무리 류(유, 類)
여자가 쌀을 한 알 두 알 세고 있음 ~ 헤아릴 수/셀 수 (數)


옷, 천, 돗자리

원 자를 3개 다 외우자


주변 주 ~ 주변을 살피면서 말하고 다님 ~ 조사할 조

걱정 우(憂) ~ 걱정하는 사람 ~ 훌륭한 사람 => 뛰어날 우

쉬울 이(易) ~ 난이도 할 때 이 ~ 야사

집에 왕이 왔음 ~ 온 가족 식구들이 다 모여 ~ 오로지 전

복 -> 후쿠
하라는 남자들이 주로 씀. 보통은 오나카
옷감을 나타냄 => 중복될 복, 겹칠 복

수로 끝나면 타동사 => 줄이다

사람 + 사촌지간의 촌 => 사촌들끼리 붙어 산다 => 부칠 부
전기제품이 켜지다 => 츠쿠(자동사)
아래의 부 자 역시 후로 읽음

타이가 얼마 없음.

집안을 바르게 지키는데는 규정이 있어야 함 => 정할 정
아닐 불자가 아님 틀렸다 부 => 히로 읽음

마스 + 스기루 = 너무 ~ 하다

마당 장은 훈독으로 읽는걸 조심해야됨

새파랑 : 아오 -> 사오로 변함
날일자가 붙으면 날짜, 시간, 해를 의미함

맑을 청, 요청 청은 음독은 다 세에

뜻 정자는 죠라고 읽어야 함

정신할 때 정자는 세에로 읽음!

해 년자가 혼자 있으면 토시로 읽음 -> 토시오토루 : 나이를 먹다
츠카레가 토레루 : 피로가 풀리다(자동사)
메루노 야리토리 : 메일 교환

취할 취 + 달리다 : 달려가서 내가 원하는걸 잡음 -> 뜻 취
못토 : 더욱, 못토모 : 가장

왕이 안 죽었으면 좋겠다고 달에게 빔 : 바랄 망
마음 안에서 기억이 죽었어요 : 잊을 망

나쿠나루 = 시누 = 죽다, 돌아가다


옷을 만들 때 처음 하는 것은 옷을 자름 => 처음 초


의 -> 기(탁음)로 발음함.
사람이 지켜야 할 의 -> 행동/거동 의

코끼리 상 : 모양, 형태를 나타냄
모양 상 : 어떤 것이 이미지화

나무 목 + 눈 목 => 서로 목이라 서로 상


가타가나 오 -> 오 문이 닫혔어 -> 닫을 폐
시마루 (a : 자동사) : 닫히다

오른쪽에 ~~ -> 경자
가벼울 경(輕)

내 마음의 소리 : 뜻 의
의랑 제일 비슷한 발음 : 이
화살을 당기는 데 땀이 뚝뚝 : 약할 약

참여할 참 : 석 삼자가 들어가 있으니 산으로 읽음
경어 : 내 행동을 낮출 때

벼슬 관 ~ 소방관, 경찰관 ~ 음독 : 칸
먹고 마시고 잘 수 있는 큰 건물 관 ~ 집 관 ~ 여관, 도서관 ~ 음독 : 칸
뜻 | 음 으로 한자를 만드는 경우가 많은
대나무 안이 비어있는 대롱 관 ~ 수도관, 배수관 ~ 음독 : 칸

들 교 ~ 들판이 있는 외곽 교
서로 교 + 힘 력 => 효과 효, 음독 : 코오

길쌈할 적 ~ 실을 엮어서 열심히 만든 업적, 일해서 만든 업적 ~ 음독 : 세키 ~ 공적, 성적, 실적,
공간을 매꾸는 쌓을 적 ~ 음독 : 세키 ~ 면적, 용적 ~ 훈독 : 츠무(쌓다), 츠모루(쌓이다)

문 사이로 해가 떳다 졌다 ~ 사이 간 ~ 음독 : 칸, 켄
히라가나 응 발음 뒤는 발음이 약해짐 -> 닌켄X 닌겐O
아이다는 혼자서 명사처럼 쓸 수 있음.
마는 다른 단어에 붙여서 써야 함
문과 문 사이에 두고 웃는 얼굴을 마주보며 있는 관계할 관, 빗장 관 ~ 음독 : 칸 ~ 관계, 관심 ~ 훈독 : 카카와루(연관되다)
문 문, 입구 - 물어볼 문, 귀가 들어가면 들을 문 짜

접시에 물을 담아두고 해쨍쨍 ~ 따뜻할 온 ~ 음독 : 온 ~ 온천(온센), 온단카(온난화), 타이온(체온), 키온(기온) ~ 훈독 : 아타타카이(따뜻하다)
해와 관련된 따뜻할 난 ~ 음독 : 단 ~ 치큐온단카(지구온난화) ~ 난방(단보오), 훈독 : 아타타카이(따뜻하다)

해도 있고 달도 있음 : 밝을 명 ~ 음독 : 메이 ~ 세츠메에(설명), 쇼오메에(증명), 하츠메에(발명) ~ 훈독 : 아카루이(빛이 밝다, 성격이 명랑하다, 아케루(날이 새다, 밝아지다) ~ 명일(아시타/아스)
쓸 고 ~ 음독 : 쿠 ~ 쿠로오(고생), 쿠죠오(불평, 불만, 고충) ~ 훈독 : 니가이(쓰다), 니가테(서툴다, 자신없다), 쿠루시이(괴롭다), 쿠루시무(괴로워하다)

옛 고 ~ 후루이 (오래되다)

가죽 피(카와)

피곤할 피 ~ 음독 : 히로오(피로) ~ 훈독 : 츠카레루(지치다, 피로해지다)
없을 무 ~ 가스불에 얼음을 넣은 그릇 ~ 음독 : 무 ~ 무료오(무료), 무리(무리), 무시(무시) ~ 음독 : 부 ~ 부레에(무례), 부지(무사), 부난(무난) ~ 훈독 : 나이 ~ 나이(없다), 나쿠스(없애다, 잃어버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