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LPT N3 DAY21 필수 단어 외우기

Kiwoong Park·2024년 9월 24일
0

2회독 단어를 보면서 안 외워지는 것 목록화

3회독 DAY01-21

DAY01

  • 질리다, 싫증나다
  • 맞다
  • 넘치다
  • 엮다, 뜨다
  • 나타내다(겉 표, 表)
  • 나타나다(나타날 현, 現)
  • 거품
  • 맞추다, (마음을) 합치다

DAY02

  • 이후(써 이, 以 / 내릴 강, 降)
  • 무심코, 깜빡, 멍청히(웃카리)
  • 뒤, 뒤쪽,
  • 허둥지둥(우로우로)

DAY03

  • 영향(에이쿄우, 쿄~탁음X)
  • 연주(엔소우)
  • 축하, 축하선물(오이와이)
  • 이상하다(오카시이)
  • 늦다(오쿠레루)
  • 아깝다(오시이)
  • 빠지다, 익사하다, 열중하다(오보레루)

DAY04

  • 접다(오루)
  • 해결(카이케츠, 탁음X)
  • 돌리다, 돌려주다(카에스)
  • (병에)걸리다(카카루)
  • 감추다, 숨기다(감추다, 숨기다, 숨을 은 隱)
  • 각지(카쿠치)
  • 겹치다, 포개다, 거듭하다(카사네루)

DAY05

  • 밑줄(카센 ~ 탁음X)
  • 단단하다, 굳다(카타이, 굳을 고 固)
  • 실망, 낙담하는 모양(갓카리) / 꼭 닮음 : 솟쿠리 / 웃카리 : 무심코, 깜빡, 멍청히
  • 가정(카테이)
  • 참음, 견딤(가만, 탁음O)
  • 바싹 마른 모양(카라카라)
  • 텅텅 빈 모양(가라가라)
  • 마르다, 건조하다(카와쿠)
  • 관객(칸캬쿠)
  • 관찰(칸사츠O, 세츠X)

Day 06

  • 상처, 흠(상처 상, 傷, 키즈)
  • 더럽다(키타나이, 더러울 오 汚)
  • 끼다(키츠이 ~ 헐렁하지 않다, 빡빡하다)
  • 알아채다, 깨닫다(키즈쿠)
  • 의문(기몬, 탁음O)
  • 급함, 갑작스러움(큐우)
  • 공통(쿄우츠우)

DAY 07

  • 거리(쿄리, 장음X)
  • 공석(쿠우세키)
  • 우연(구우젠, 장음O)
  • 버릇, 습관(쿠세)
  • 분하다(쿠야시이)
  • 괴롭다, 난처하다(쿠루시이)
  • 고생(쿠로우)
  • 외과(게카, 탁음O, 촉음X)

Day08

  • 혈액형(케츠에키가타, 가 탁음O)
  • 감소(겐쇼우, 겐 탁음O)
  • 건축(켄치쿠, 쌓을 축 築)
  • 합계(고우케이, 고 탁음O)
  • 호흡(코큐우, 코우X 코O)
  • 허리(코시)
  • 개인(코진, 낱 개 個)

Day09

  • 거절하다(코토와루)
  • 코보스(흘리다, 엎지르다)
  • 곤란하다(코마루)
  • 넘어지다, 구르다(코로부)
  • 번창하다(사칸다, 성할 성 盛)
  • 즉시(삿소쿠)
  • 참가(산카)
  • 지급(시큐우)
  • 자세(시세이, 형세 세 勢)

Day10

  • 꽉, 단단히(싯카리)
  • 실업, 실직(시츠교우)
  • 끈질기다(시츠코이)
  • 한동안, 오랫동안(시바라쿠)
  • 묶다(시바루)
  • 짜다(시보루)
  • 안에 넣다, 치우다(시마우)
  • 자랑(지만, 게으를 만慢)
  • 가리키다, 보이다, 나타내다(시메스, 보일 示)
  • 취직(슈우쇼쿠)
  • 정체, 밀림(쥬우타이, 떫을 삽 澁, 막힐 체滯)
  • 중대함(쥬우다이, 다 탁음O)
  • 수리(슈우리, 닦을 수修)

DAY11

  • 축소(슈쿠쇼우, 숙소 아님, 오그라들 축縮, 잘 숙宿)
  • 수술(슈쥬츠, 슈우X, 슈O)
  • 주장(슈쵸우, 슈우X, 슈O)
  • 출근(슛킨, 슈우킨X)
  • 출장(슛쵸우, 슈우쵸우X)
  • 수도(슈토, 슈우X, 토 - 탁음X)
  • 주요하다(슈요우다, 슈우X, 요우O)
  • 정직(쇼우지키, 세이지키X)
  • 승차(죠우샤, 슈우샤X)
  • 고상하다(죠우힌다O, 쇼우힌다X)
  • 정보(죠우호우O, 쇼우호우X)
  • 진보(신포, 신보X 반탁음!)
  • 꽤, 상당히(즈이분)
  • 두통(즈츠우, 스X)

DAY12

  • 성격(세이카쿠, 가쿠X, 카쿠O)
  • 제한(세이겐, 킨X, 켄X, 겐O)
  • 적극적이다(셋쿄쿠테키다)
  • 전후(젠고, 코우X, 코X, 고)
  • 기르다, 양육하다(소다테루, 소다O, 소타X)
  • 꼭 닮음(솟쿠리, 꼭 맞음 = 핏타리)

DAY13

  • 소로소로(이제 슬슬)
  • 대금(다이킨, 타이킨X)
  • 체재(타이자이, 진X, 자이O)
  • 대표적이다("다"이효우테키다)
  • 싸우다(타"타"카우)
  • (시간, 세월이)지나다(타츠)
  • 쌓이다(타마루)
  • (돈을)모으다(타메루)
  • 의지하다(타요루, 의지할 뢰 賴, 신자체: 頼)
  • 나른하다, 지루하다(다루이)
  • 중고(츄우"코", 고X)
  • 상태, 컨디션(쵸우시, 고를 조調, 아들 자子)
  • 중순(츄우쥰)
  • 단어("탄"고)

DAY14

  • 지구("치"큐우, 지큐X)
  • 저금(쵸킨, 쵸우X)
  • 직접(쵸"쿠"세츠, 쵸우X)
  • 통역(츠우야쿠, 에키X)
  • 전하다(츠타에루)
  • 전해지다(츠타와루)
  • 싸다, 포장하다(츠츠무, 츠무X)
  • 채워 넣다(츠메루, 물을/꾸짖을 힐 詰)
  • 통과하다(토"오"리스기루)
  • 자신이 있다, 잘하다(토쿠이다, 얻을 득得, 뜻 의意)
  • 전언(덴곤, 둘다 탁음)
  • 정전(테이덴)

DAY15

  • 당일(토우지츠)
  • 등장("도"우"죠"우)
  • 두근두근
  • 독신("도"쿠신)
  • 특장점(토쿠쵸우, 특별할 특特)
  • 녹다(토케루)
  • 돌연(토"츠"젠)
  • 고함치다, 호통치다(도나루)
  • 노력(도료쿠, 도우X)
  • 위로하다(나구사메루, 위로할 위慰)
  • 던지다(나게루)
  • 완만함(나다라카)
  • 그립다(나츠카시이)

DAY16

  • 어울리다(니아우, 닮을 사似)
  • 쥐다, 장악하다(쥘 악握, 니기루)
  • 잠자다(네"무"루)
  • 발전(핫"텐")
  • 말을 걸다(하나시카케루)

DAY17

  • 비교(히카쿠, 비교할 교 較)
  • (일, 역할을) 떠맡다(히키우케루)
  • 닦다(후쿠)
  • 비등,끓음(훗토우)

DAY18

  • 비틀비틀, 휘청휘청(후라후라)
  • 어슬렁어슬렁, 빈둥빈둥(부라부라)
  • 흔들다(후루, 떨칠 진 振)
  • 방위, 방향(호우"가"쿠)
  • 방향(호우코"우")
  • 보고(호우코"쿠")
  • 짖다(호에루)
  • 모집(보슈우)
  • 말리다(호스, 방패 간 干, 마를 건 乾)

DAY19

  • 망설이다, (길을) 헤메다(마요우, 미혹할 미 迷, まいご [迷子] : 미아)
  • 둥글다(마루이, 둥글 환 丸)
  • 회전하다, 돌리다(마와스)
  • 배웅하다(미오쿠루, 見, 보낼 송 送 = 見送る)
  • 잇다, 매다, 묶다(무스부, 맺을 결 結ぶ)
  • 신청서(모우시코미"쇼")

DAY20

  • 약국(약"쿄"쿠)
  • 찢어지다, 깨지다(야부레루, 깨뜨릴 파 破)
  • 우편(유우빈, 우편 우 郵, 편할 편便)
  • 마루(유카, 평상 상床)
  • 행선지, 목적지(유키사키, 行き先)
  • 수출(유슈츠, 실어낼 수 輸)
  • 데치다, 삶다(유데루)
  • 느슨하다, 헐렁하다(유루이, 느릴 완 緩)
  • 용기(요우키)
  • 호소하다(요비카케루)
  • 훌륭하다(릿파다)
  • 유행하고 있다(유"우"코"우"시테이루)

DAY21

  • 환전(료우"가에")
  • 비율(와리아이)
  • 갈라지다, 깨지다(와레루)

2회독 DAY01-21

DAY01

  • 취급하다(거둘 급, 扱)
  • 나타내다(겉 표, 表)
  • 나타나다(나타날 현, 現)
  • 거품
  • 맞추다, (마음을) 합치다(합할 합, 合)
  • 구멍(穴)

DAY02

  • 심다(심을 식, 植)
  • 무심코, 깜박, 멍청히
  • 허둥지둥

DAY03

  • 축하, 축하선물(빌 축,祝)
  • 따라잡다(쫒을 추, 追)
  • 좇다, 뒤따르다(쫒을 추, 追)
  • 응원, 응모, 응용(응할 응, 應 : 신자체 応)
  • 이상하다
  • 늦다(더딜 지, 遲 : 신자체 遅)
  • 아깝다
  • 서로(서로 호, 互)
  • 빠지다(~물에)

DAY04

  • 주로
  • 접다(꺾을 절, 折)
  • 부러지다, 꺾이다(자동사)
  • 돌리다, 돌려주다(돌이킬 반, 返)
  • (병에)걸리다
  • 감추다, 숨기다(숨을 은, 隱)
  • 각지(치)
  • 과거(장음X)
  • 둘러싸다, 에워싸다(둘레 위,圍 : 신자체 : 囲)
  • 겹치다, 포개다, 거듭하다(무거울 중, 重)

DAY05

  • 빌려주다(빌려줄/뀔 대, 貸)
  • 밑줄(줄 선, 線)
  • 단단하다, 굳다(굳을 고, 固)
  • 실망, 낙담하는 모양
  • 가정(거짓 가, 假 : 신자체 仮 / 정할 정, 定)
  • 참음(게으를 만, 慢)
  • 빔, 공(빌 공, 空)
  • 바싹 마른 모양
  • 텅텅 빈 모양
  • 마르다, 건조하다(마를 고, 枯)
  • 간격(사이 간, 間 / 사이 뜰 격, 隔)
  • 관객(볼 관, 觀)

DAY06

  • 완성(완전할 완, 完)
  • 건조(마를 건, 乾 / 마를 조, 燥)
  • 기한(탁음O, 기약할 기, 期)
  • 상처, 흠(탁음O)
  • 끼다(빡빡하다)
  • 알아채다, 깨닫다(기운 기, 氣)
  • 규칙(법 규, 規 / 법칙 칙, 則)
  • 의문(탁음O)
  • 반대, 거꾸로임(거스를 역, 逆)
  • 급함, 갑작스러움(급할 급, 急)
  • 휴일

DAY07

  • 거리(떨어질 거, 距 / 떠날 리, 離)
  • 기록(기록할 록, 錄)
  • 금연(금할 금, 禁 / 연기 연, 煙)
  • 긴장(긴할 긴, 緊 / 베풀 장, 張)
  • 공석
  • 우연(짝 우, 偶 / 그럴 연, 然)
  • 구분하다, 구분짓다(지경/구역 구, 區 : 신자체 区 / 끊을 절, 切)
  • 버릇, 습관
  • 분배하다, 배포하다(나눌 배, 配)
  • 짜다, 끼다(짤 조, 組)
  • 분하다(뉘우칠 회, 悔)
  • 괴롭다, 난처하다(괴로울 고, 苦)
  • 고생(일할 로, 勞)
  • 더하다, 보태다
  • 훈련(가르칠 훈, 訓 / 익힐 련, 練)
  • 예술(탁음O, 재주 예, 藝 : 신자체 芸)
  • 외과(탁음O)

DAY08

  • 원인(탁음)
  • 감소
  • 교환
  • 합계(탁음)
  • 호흡
  • 개인

DAY09

  • 거절하다
  • 흘리다, 엎지르다
  • 잘다, 작다
  • 곤란하다
  • 구르다
  • ~차
  • 최초
  • 비탈길, 언덕길
  • 번창하다
  • 즉시
  • 깨다, 눈이 뜨이다
  • ~산
  • 잔업(탁음)
  • 지급
  • 자원
  • 자신
  • 가라앉다, 지다
  • 자세

DAY10

  • 꽉, 단단히
  • 끈질기다
  • 실력(탁음)
  • 한동안, 오랫동안
  • 묶다
  • 짜다
  • 안에 넣다, 치우다
  • 자랑
  • 얼룩
  • 가리키다, 보이다, 나타내다
  • 자유(탁음)
  • 주간지
  • 취직
  • 정체, 밀림
  • 중대함
  • 수리

DAY11

  • 수술
  • 주장
  • 수도
  • 주요하다
  • 승차(탁음)
  • 정보(탁음)
  • 식기
  • 신청
  • 진보
  • 꽤, 상당히
  • 두통

DAY12

  • 성격
  • 제한
  • 청결하다
  • 성적
  • 정리
  • 적극적이다
  • 선수(장음X)
  • 바닥, 속
  • 키우다, 기르다(탁음)
  • 꼭 닮음

DAY13

  • 이제슬슬
  • 대금(탁음)
  • 체재, 체류
  • 대표적이다(탁음)
  • 대량
  • 확인하다
  • 쌓다, 개다
  • (시간, 세월이) 지나다
  • 쌓이다
  • (돈을) 모으다
  • 의지하다
  • 나른하다, 지루하다
  • 중고
  • 상태, 컨디션
  • 중순(탁음)
  • 단어

DAY14

  • 저금
  • 직접
  • 통지
  • 통역
  • 피로
  • 전해지다
  • 근무하다
  • 채워넣다
  • 도착
  • 지나가다, 통과하다
  • 자신이 있다, 잘하다
  • 전언(탁음)
  • 정전

DAY15

  • 동작(탁음)
  • 당일
  • 등장(장 - 탁음)
  • 두근두근, 울렁울렁
  • 독신(독-탁음)
  • 특별한 장점
  • 독립(독 - 탁음)
  • 닫다, 눈을 감다
  • 돌연
  • 고함치다, 호통치다
  • 묵다, 숙박하다
  • 비밀, 은밀
  • 흐르다
  • 위로하다, 달래다
  • 던지다
  • 완만함
  • 그립다
  • 눈물

DAY16

  • 가능한 한, 되도록
  • 어울리다, 잘 맞다
  • 쥐다, 장악하다
  • 뿌리
  • 바라다, 원하다
  • 잠자다
  • 연기하다, 연장하다
  • 잎, 잎사귀
  • ~배(倍)
  • 배달
  • (풀, 이, 머리 등이) 나다
  • 재다, 달다
  • 발견(탁음X)
  • 발생
  • 발전
  • 발표
  • 말을 걸다
  • 떼다, 간격을 벌리다

DAY17

  • 반일, 한나절
  • 차가워지다, 식다
  • 비교
  • (일, 역할을) 떠맡다
  • 낮다
  • 딱들어맞음
  • 깊다
  • 방어하다, 막다
  • 물가(탁음O)
  • 부딪치다, 맞부딪치다
  • 끓어오름, 비등

DAY18

  • 비틀비틀, 휘청휘청
  • 어슬렁어슬렁, 빈둥빈둥
  • 흔들다
  • 평일
  • 방위, 방향(탁음O)
  • 방향
  • 보고
  • 짖다
  • 모집
  • 말리다(빨래를 ~, 햇볕에 ~, 말린 생선)
  • 번역
  • 굽히다, 구부리다
  • 섞이다
  • 가난하다

DAY19

  • 섞다
  • 망설이다, (길을)헤매다
  • 둥글다
  • 돌리다, 회전시키다
  • 배웅하다
  • 익히다, 습득하다
  • ~향
  • 벗기다, 까다
  • 신청"서"
  • 타다(불에)

DAY20

  • 목표
  • 아깝다
  • 불만, 불평
  • 굽다, 태우다
  • 번역하다
  • 집세
  • 약국(탁음X)
  • 찢어지다, 깨지다
  • 우편
  • 마루
  • 행선지, 목적지
  • 수출
  • 데치다, 삶다
  • 느슨하다, 헐렁하다
  • 용서하다, 허락하다
  • 호소하다
  • 훌륭하다

DAY21

  • 환전(탁음O)
  • 열, 행렬
  • 헤어지다, 작별하다
  • 웃다
  • 비율
  • 갈라지다, 깨지다

DAY01

  • '24.9.24.(화) ~ '아'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合図(합할 합, 그림 도)あいず(눈짓, 몸짓, 소리) 신호
相手(서로 상, 손 수)あいて상대
飽きる(배부를 포)あきる질리다, 싫증나다
-あくび하품
浅い(얕을 천)あさい얕다
預ける(맡길 예/미리 예)あずける맡기다
汗(땀 한)あせ
遊ぶ(놀 유)あそぶ놀다
当(た)る(마땅할 당, 當)あたる맞다
厚い(두터울 후)あつい두껍다
扱う(거둘 급)あつかう취급하다
穴(굴 혈)あな구멍
溢れる(넘칠 일)あふれる넘치다
余る(나 여/남을 여)あまる남다
編む(엮을 편, 땋을 변)あむ엮다, 뜨다
表(わ)す(겉 표)あらわす나타내다
現(わ)れる(나타날 현)あらわれる나타나다
泡·沫(거품 포, 물거품 말)あわ거품
合(わ)せるあわせる맞추다, (마음을)합치다
暗記(어두울 암, 기록할 기)あんき암기
案内(책상 안)あんない안내
意外と(뜻 의, 바깥 외)いがいと의외로

DAY01 필수 한자

  1. 맡길 예(預) : 뜻을 나타내는 頁(머리 혈)과 소리를 나타내는 予(나 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이 한자는 豫(미리 예)의 통자로, 강희자전 등 옛 자전에서는 豫의 뜻 중 일부분으로 쓰이는 한자로 나온다. '맡기다'로 쓰는 것은 본래 일본에 국한된 것이었다.

  2. 얕을 천(淺, 신자체: 浅) : 氵: 물 수 戔: 쌓을 전
    물(氵)에서 쌓이는(戔) 곳은?
    물에서 퇴적물이 쌓이는 곳은 다른 데보다 수심이 ‘얕음’이지요.
    예시 : 천박(淺薄: 얕고 엷음/ 학문이나 생각이 얕고 엷음을 이르는 말), 천학(淺學), 천식(淺識)

  3. 땀 한(汗) : 氵: 물 수 干: 방패 간
    물(氵)인데 방패(干)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물인데 체온이 오르는 것을 방패같이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땀’이지요.
    예시 : 한적(汗滴: 땀방울), 발한(發汗), 다한증(多汗症)

  4. 놀 유(遊) :
    예시 : 유희(遊戱: 놂), 유흥(遊興), 유람(遊覽)

  5. 두터울 후(厚) : 厂: 기슭(벼랑) 엄 曰: 가로(말할) 왈 子: 아들(아이) 자
    벼랑(厂) 아래에서 말하는(曰) 아이(子)에게는?
    벼랑 아래에서, 낙상한 자기를 도와달라 말하는 아이에게는 인심이 ‘두터움’이지요.
    예시 : 후함(厚함: 인심 따위가 두터움), 후대(厚待), 온후(溫厚)

  6. 넘칠 일(溢) :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益(더할 익)이 합쳐진 형성자
    예시 : 해일(海溢)

  7. 더할 익(益) :

    예시 : 이익(利益: 이로움을 더함), 유익(有益), 수익(收益)

  8. 나 여(余) :

  9. 엮을 편(編) : 糸: 실 사 扁: 납작할 편
    실(糸)로 납작한(扁) 죽간에 하는 것은?
    실로 납작한 죽간에 하는 것은 ‘엮음’이지요.
    예시 : 편찬(編纂: 모아서 엮음 *纂·1급·모을 찬), 편성(編成), 개편(改編)

  10. 책상 안(案) : 安: 편안할 안 木: 나무 목
    편안하게(安) 나무(木)로 만든 것은?
    편안하게 책을 보려고 나무로 만든 것은 ‘책상(冊床)’이지요.
    예시 : 서안(書案: 예전에, 책을 얹던 책상), 안건(案件), 고안(考案)

  • ‘案’은 책상에서 처리하는 것인 ‘안건’을 뜻하기도 합니다.

DAY02

  • '24.9.25.(수) ~ '이, 우'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息(쉴 식)いき호흡, 숨
以後(써 이, 뒤 후)いご이후
以降(내릴 강, 항복할 항)いこう이후
意志(뜻 의, 뜻 지)いし의지
位置(자리 위, 둘 치)いち위치
移動(옮길 이, 움직일 동)いどうする이동하다
いわ바위
印象(도장 인, 코끼리 상)いんしょう인상
植える(심을 식)うえる심다
受け入れる(받을 수, 들 입)うけいれる받아들이다
受け取る(받을 수, 가질 취)うけとる수취하다, 받다
右折(오른 우, 꺾을 절)うせつ우회전
内側(안 내, 곁 측)うちがわ안쪽
-うっかり무심코, 깜빡, 멍청이
疑う(의심할 의)うたがう의심하다
美しい(아름다울 미)うつくしい아름답다
移す(옮길 이)うつす옮기다
移るうつる옮기다, 이동하다
旨い·甘い·美味い·上手い·巧いうまい맛있다, 솜씨가 좋다
埋めるうめる묻다, 메우다
裏(속 리)うら뒤쪽
-うろうろ허둥지둥, 우왕자왕

DAY02 필수한자

  1. 쉴 식(息): 自: 스스로(코) 자 心: 마음(심장) 심
    코(自)로 심장(心) 박동에 맞춰 하는 것은?
    코로, 심장이 박동하는 속도에 맞춰 하는 것은 숨을 ‘쉼’이지요.
    예시 : 휴식(休息: 쉼), 안식(安息), 탄식(歎息)

  2. 써 이(以) :
    예시 : 사군이충(事君以忠), 사친이효(事親以孝), 교우이신(交友以信)
    📌✍ 로써: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 조사.

  3. 자리 위(位) : 亻: 사람 인 立: 설 립
    사람(亻)이 서(立) 있는 곳은?
    사람이 서 있는 곳은 ‘자리’이지요.
    예시 : 위치(位置: 자리에 둠 또는 그 자리), 지위(地位), 순위(順位)

  4. 둘 치(置) : 罒: 그물 망 直: 곧을 직
    그물(罒)을 곧게(直) 펴놓는 것은?
    그물을 곧게 펴놓는 것은 그물을 어떤 곳에 ‘둠’이지요.

    예시 : 설치(設置: 어떤 기관이나 설비 등을 베풀어 둠), 장치(裝置), 방치(放置)

  1. 옮길 이(移) : 禾: 벼 화 多: 많을 다
    벼(禾)를 많이(多) 모으려고 하는 것은?
    ‘벼’ 즉 ‘볏단’을 한곳에 많이 모으려고 하는 것은 볏단을 ‘옮김’이지요.

    예시 : 이동(移動: 움직여 옮김), 이전(移轉), 이송(移送)

  2. 도장 인(印) :
    예시 : 인장(印章: 도장), 인감(印鑑), 인쇄(印刷)

  3. 꺾을 절(折) : 扌: 손 수 斤: 근(도끼) 근
    손(扌)에 도끼(斤) 들고 하는 것은?
    손에 도끼를 들고 하는 것은 나무를 ‘꺾음’이지요.
    예시 : 굴절(屈折: 휘어서 꺾임), 골절(骨折), 요절(夭折)
    😇 ‘折’은 ‘부러지다’, ‘죽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4. 묻을 매(埋) : 土: 흙(땅) 토 里: 마을 리
    땅(土)에 마을(里) 단위로 하는 것은?
    땅에 마을 단위로 하는 것은 토지신에게 바치려고 제물을 ‘묻음’이지요.
    예시 : 매장(埋葬: 땅에 묻어서 장사지냄), 매몰(埋沒), 매복(埋伏)
    🐑🐏🐂 상나라 시대의 황하 유역 마을에서는 땅에 소나 양 등을 제물로 묻는 의식을 통해 토지신에게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답니다.

  5. 속 리(裏) : 衣 : 옷 의 里: 마을 리
    옷(衣)에서 마을(里)처럼 생긴 곳은?
    옷에서 천과 이음매가 마을의 밭과 두둑처럼 생긴 곳은 ‘속’이지요.
    겉 표(表)와 반대되는 개념임.
    예시 : 이면(裏面: 속에 있는 면/ 안쪽에 있는 면), 뇌리(腦裏), 암암리(暗暗裡), 표리부동(表裏不同)

DAY03

  • '24.9.26.(목) ~ '에, 오'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所聞(바 소, 들을 문)うわさ소문
影響(그림자 영, 울릴 향)えいきょう영향
栄養(영화로울 영/꽃 영, 기를 양)えいよう영양
笑顔(웃음 소, 낯 안)えがお웃는 얼굴
延期(늘일/끌 연, 기약할 기)えんき연기
演奏(펼 연, 아뢸 주)えんそう연주
追(い)付く·追(い)着く(쫓을 추/따를 추, 부칠 부,붙을 착)おいつく따라잡다
お祝い(빌 축/빌 주)おいわい축하, 축하선물
追うおう좇다, 뒤따르다
横断(가로 횡, 끊을 단)おうだん횡단
応援(응할 응, 도울 원)おうえん응원
応募(응할 응, 모을 모/뽑을 모おうぼ응모
応用(응할 응, 쓸 용)おうよう응용
オーバー초과
お菓子(과자 과)おかし과자
可笑しいおかしい이상하다
起きる(일어날 기)おきる기상하다, 발생하다
遅れる(늦을 지, 더딜 지)おくれる늦다
惜しい(아낄 석)おしい아깝다
遅い(늦을 지, 더딜 지)おそい늦다
御互いに(거느릴 어, 서로 호)おたがいに서로
落(ち)着く(떨어질 락, 붙을 착)おちつく가라앉다, 침착하다, 정착하다
覚える(깨달을 각)おぼえる기억하다, 외우다
溺れる(빠질 닉, 오줌 뇨)おぼれる빠지다

DAY03 필수한자

  1. 그림자 영(影) : 景: 볕 경 彡: 터럭(무늬) 삼
    볕(景)이 가려질 때 생기는 무늬(彡)는?
    볕이 가려질 때 반대 쪽에 생기는 무늬는 ‘그림자’이지요.

  2. 울릴 향(響) : 鄕: 시골/마을 향 音: 소리 음
    마을(鄕)에서 소리(音)를 치면?
    마을에서 소리를 치면 마을에 소리가 ‘울림’이지요.
    예시 : 음향(音響: 소리와 그 울림), 반향(反響), 영향(影響)

  3. 시골 향/ 마을 향(鄕) : 幺: 작을 요 卽: 곧 즉
    작을(幺) 때 하면 곧(卽) 떠오르는 것은?
    ‘작을’ 때, 즉 ‘어릴’ 때 하면 곧 떠오르는 것은 태어나 자란 ‘시골’ ‘마을’이지요.
    예시 : 고향(故鄕: 태어나 자란 마을), 타향(他鄕), 귀향(歸鄕)

  4. 곧 즉(卽) : 白: 흰 백 匕: 숟가락 비 卩: 병부(무릎 굽힐) 절
    흰(白)밥과 숟가락(匕) 앞에 무릎 굽히는(卩) 이가 식사를 시작하는 때는?
    흰밥과 숟가락 앞에 무릎 굽혀 앉는 이가 식사를 시작하는 때는 ‘곧’이지요.
    예시 : 즉시(卽時: 곧), 즉각(卽刻), 즉석(卽席)

  5. 영화/꽃 영(榮, 신자체 : 栄) :
    예시 : 영화(榮華: 꽃핌/ 몸이 귀하게 되어 이름이 세상에 빛남), 영광(榮光), 번영(繁榮), 부귀영화(富貴榮華)

  6. 기를 양(養) : 羊: 양 양 食: 밥 식
    양(羊)에게 밥(食)을 먹이는 것은?
    양에게 밥을 먹이는 것은 양을 ‘기름’이지요.
    예시 : 양육(養育: 기름), 양성(養成), 부양(扶養)

  7. 얼굴 안(顔) : 彦: 선비 언 頁: 머리 혈
    선비(彦)임이 머리(頁)에서 드러나는 곳은?
    선비임이 머리에서 드러나는 곳은 하얀 ‘얼굴’이지요.
    예시 : 안면(顔面: 얼굴), 안색(顔色), 동안(童顔)
    🧛‍♀️🧛‍♂️ 선비는 밖에서 일을 하지 않아 얼굴이 하얗지요.

  8. 선비 언(彦) : 产: 낳을 산 彡: 터럭(빛날) 삼
    낳을(产) 때부터 빛나는(彡) 이는?
    낳을 때부터 빛나는 이는 ‘선비’이지요.

  9. 끌 연(延) :
    예시 : 지연(遲延: 더디게 끎), 연기(延期), 연장(延長)
    ⏳🕰 ‘延’은 시간을 끄는 것은 시간을 늘이는 것이라 하여, ‘늘일 연’이라고도 합니다.

  10. 기약할 기(期) : 其: 그(키) 기 月: 달 월
    키(其)질 된 달(月)이 나타내는 것은?
    ‘期’는 키질 된 달이 나타내는 것인 ‘기간’(其間: 어느 때부터 다른 때까지의 사이)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기간을 정하여 하는 것인 ‘기약함’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기약(期約: 기간을 정하여 약속함), 기간(期間), 시기(時期)

  11. 펼 연(演) : 氵: 물 수 寅: 범(펼) 인
    물(氵) 흐르듯 펴는(寅) 것은?
    물 흐르듯 펴는 것은 재주 따위를 ‘폄’이지요. 길게 흐르는 물이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
    예시 : 연기(演技: 구경꾼 앞에서 재주를 폄), 연주(演奏), 공연(公演)

  12. 아뢸 주(奏) : 泰 : 클 태 天: 하늘 천
    큰(泰) 하늘(天) 같은 이에게 하는 것은?
    큰 하늘 같은 이인 임금에게 신하가 하는 것은 ‘아룀’이지요.
    두 손으로 피리 같은 악기를 들고 있는 모습에서 유래된 것
    예시 : 주청(奏請: 임금에게 아뢰어 청함), 연주(演奏), 협주(協奏)
    🙇‍♀️🙇‍♂️ 아뢰다: 1. 말씀드려 알리다 2. 윗사람 앞에서 풍악을 들려주다

  13. 빌 축(祝) : 示: 보일(제단) 시 兄: 형 형
    제단(示)에서 형(兄)이 하는 것은?
    제단에서 형이 대표로 하는 것은 신에게 원하는 것을 ‘빎’이지요.
    예시 : 축원(祝願: 원하는 것을 빎), 축복(祝福), 축하(祝賀)

  14. 응할 응(應, 신자체 : 応) : 䧹: 매 응 心: 마음 심
    매(䧹)가 주인의 마음(心)에 하는 것은?
    매가 주인의 마음에 하는 것은 ‘응함’이지요.
    예시 : 응함(應함: 상대의 요구에 맞추어 행함), 응답(應答), 응대(應對)

  15. 매 응(䧹) : 广: 집 엄 亻: 사람 인 隹: 새 추
    집(广)에서 사람(亻)이 길들이는 새(隹)는?
    집에서 사람이 길들이는 새는 사냥용 ‘매’이지요.

  16. 도울 원(援) : 扌: 손 수 爰: 당길 원
    손(扌)으로 당기는(爰) 것은?
    손으로 높은 곳에서 벗을 당기는 것은 ‘도움’이지요.
    예시 : 지원(支援: 지지하여 도움), 구원(救援), 원조(援助)

  17. 모을 모(募) : 莫: 없을 막 力: 힘 력
    힘(力)쓸 이가 없을(莫) 때 하는 것은?
    힘쓸 이가 없을 때 하는 것은 힘쓸 이를 ‘모음’이지요.
    예시 : 모집(募集: 모음), 공모(公募), 응모(應募)

  18. 일어날 기(起) : 走: 달릴 주 己: 몸 기
    달릴(走) 때처럼 몸(己)을 펴는 것은?
    달릴 때처럼 몸을 위로 펴는 것은 ‘일어남’이지요.
    예시 : 기립(起立: 일어나 섬), 기상(起床), 융기(隆起)

  19. 더딜 지(遲, 신자체 : 遅) :
    예시 : 지연(遲延: 더디게 끎), 지체(遲滯), 지각(遲刻)

  20. 아낄 석(惜) : 忄: 마음 심 昔: 옛 석
    마음(忄)인데 옛(昔)날을 떠올릴 때 드는 것은?
    마음인데 사라진 옛날을 떠올릴 때 드는 것은 ‘아까움(아낌)’이지요.
    예시 : 애석(哀惜: 슬프고 아까움), 석별(惜別), 석패(惜敗)

  21. 거느릴 어(御) : 彳: 모양 午: 낮(말) 오 止: 그칠(발) 지 卩: 병부(무릎 굽힐) 절
    거리(彳)에서 말(午)이 발(止)로 다니도록 무릎 굽힌 사람(卩)이 하는 것은?
    거리에서 말이 발로 다니도록 무릎 굽힌 사람인 마부가 하는 것은 말을 ‘거느림’이지요.

    예시 : 제어(制御: 대상을 통제하여 마음대로 다스림)

  22. 서로 호(互) :
    예시 : 상호(相互: 서로), 호환(互換), 호각(互角)

  23. 약할 약(弱) :
    예시 : 약함(弱함: 튼튼하지 못함), 연약(軟弱), 허약(虛弱)

  24. 빠질 닉(溺) :
    깃털을 가진 새가 물에 빠진 한자
    예시 : 익몰(溺沒), 익사(溺死), 익애(溺愛), 침닉(沈溺), 탐닉(耽溺)

DAY04

  • '24.9.30.(월) ~ '오, 카'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主に(주인 주)おもに주로
折るおる접다
折れるおれる접히다, 부러지다, 꺾이다
解決(풀 해, 맺을 결)かいけつ해결
改札(고칠 개, 편지 찰)かいさつ개찰구
回収(돌아올 회, 거둘 수)かいしゅう회수
香り(향기 향)かおり향기
外食がいしょく외식
返す(돌이킬 반)かえす돌리다, 돌려주다
替える·換える(바꿀 체, 바꿀 환)かえる바꾸다, 교환하다
価格(값가, 격식 격)かかく가격
罹る(걸릴 리)かかる(병, 재난 따위에) 걸리다
かき混ぜる(섞을 혼, 오랑캐 곤)かきまぜる뒤섞다
確実(굳을 확, 열매 실)だかくじつだ확실하다
隠す(숨길 은, 숨을 은)かくす감추다, 숨기다
各地(각각 각, 땅 지)かくち각지
家具(집 가, 갖출 구)かぐ가구
過去(지날 과, 갈 거)かこ과거
囲む(둘레 위)かこむ둘러싸다, 에워싸다
重ねる(무거울 중)かさねる겹치다, 포개다, 거듭하다

DAY04 필수한자

  1. 편지/패 찰(札) : 뜻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乙(새 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예시 : 개찰(改札), 낙찰(落札), 명찰(名札), 입찰(入札), 현찰(現札)

  2. 돌/돌아올 회(回) : 바퀴(回)가 하는 것은?
    바퀴가 하는 것은 ‘돎’이지요.
    예시 : 회전(回轉: 돌아서 구름), 회귀(回歸), 회독(回讀)

  3. 거둘 수(收) : 丩: 덩굴 구 攵: 칠 복
    덩굴(丩)을 치는(攵) 것은?
    덩굴을 막대로 치는 것은 덩굴에 매달린 열매를 ‘거둠’이지요.
    예시 : 수확(收穫: 농작물을 거둠), 수익(收益), 수금(收金)

  4. 덩굴 구(丩) : 덩굴(丩)은?
    ‘丩‘는 갈라지며 위로 뻗어오르는 줄기인 ‘덩굴’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5. 바꿀 환(換) :
    예시 : 교환(交換: 무엇을 서로 바꿈), 호환(互換), 변환(變換)

  6. 값 가(價, 신자체 : 価) : 亻: 사람 인 賈: 장사 고
    사람(亻)이 장사(賈)할 때 정하는 것은?
    사람이 장사할 때 정하는 것은 ‘값’이지요.
    예시 : 가격(價格: 값), 가치(價値), 물가(物價)

  7. 장사 고(賈) : 賈 : 덮을 아 貝: 조개(재물) 패
    덮여(賈) 있는 재물(貝)을 파는 것은?
    ‘덮여 있는’ 즉 ‘포장되어 있는’ 재물을 파는 것은 ‘장사’이지요.

  8. 격식 격(格) : 木: 나무 목 各: 각각 각
    나무(木)가 각각(各) 지닌 것은?
    나무가 종류별로 각각 지닌 것은 ‘격식’이지요.
    예시 : 격식(格式: 격에 맞는 일정한 양식이나 방식), 품격(品格), 성격(性格)

  9. 걸릴 리(罹) : 뜻을 나타내는 网(그물 망)과 음을 나타내는 惟(생각할 유)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그물과 같은 병이나 재난에 걸려버린 것을 나타내는 한자
    예시 : 이병(罹病), 이재(罹災), 이재민(罹災民), 이재지(罹災地), 이환(罹患)

  10. 섞을 혼(混) : 섞을 혼(混)
    混.4급 氵: 물 수 昆: 벌레 곤
    물(氵)에 벌레(昆)가 들어 있는 것은?
    물에 벌레가 들어 있는 것은 깨끗한 물에 더러운 벌레가 ‘섞임(섞음)’이지요.
    예시 : 혼탁(混濁: 불순물이 섞여 흐림), 혼잡(混雜), 혼합(混合)

  11. 벌레 곤(昆) :

  12. 굳을 확(確) : 石: 돌 석 隺: 두루미 각
    돌(石)처럼 두루미(隺)가 서 있는 것은?
    다가오는 물고기를 부리로 낚아채려고, 돌처럼 두루미가 가만히 서 있는 것은 ‘굳음’이지요.
    예시 : 확고(確固: 굳음), 확립(確立), 확정(確定)

  13. 숨을 은(隱) : 阝: 언덕 부 㥯: 조심할 은
    언덕(阝)에서 조심히(㥯) 지내는 것은?
    언덕에서 들키지 않게 조심히 지내는 것은 ‘숨음’이지요.
    예시 : 은거(隱居: 숨어 삶), 은신(隱身), 은자(隱者)

  14. 조심할 은(㥯) : 爫: 손톱(손) 조 工: 장인 공 ∋ : 또(손) 우 心: 마음 심
    양손(∋)으로 공구(工)를 잡는 마음(心)은?
    양손으로 공구를 단단히 잡는 마음은 ‘조심함’이지요.

  15. 갖출 구(具) : 目: 모양 廾: 양손 공
    여럿(目)을 양손(廾)으로 들고 있는 것은?
    여러 물건을 양손으로 들고 있는 것은 ‘갖춤’이지요.

    예시 : 구비(具備: 고루 다 갖춤), 구현(具現), 기구(器具)

  16. 에워쌀/둘레 위(圍, 신자체 : 囲) : 囗: 모양 韋: 어긋날(에울) 위
    에워(韋) 싸는(囗) 것은?
    에워 싸는 것은 ‘에워쌈’이지요.
    예시 : 포위(包圍: 에워쌈), 주위(周圍), 범위(範圍)

DAY05

  • '24.9.30.(월) ~ '카, 가'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貸す(빌려줄/꿜 대)かす빌려주다(↔借りる)
下線(아래 하, 줄 선)かせん밑줄
固い(굳을 고)かたい굳다, 단단하다
片方(조각 편, 모 방)かたほう한 쪽, 한 편, 한 짝
勝つ(이길 승)かつ이기다
-がっかり실망, 낙담하는 모양
活動(살 활, 움직일 동)かつどう활동
悲しい(슬플 비)かなしい슬프다
仮定(거짓 가, 정할 정)かてい가정(suppose)
我慢(나 아, 거만할 만)がまん참음, 견딤, 자제
空(빌 공)から빔, 공
-からから바싹 마른 모양, 바삭바삭, 보송보송함
-がらがら텅텅 빈 모양
借りる(빌 차, 빌릴 차)かりる빌리다
枯れる(마를 고)かれる(식물이) 마르다, 시들다
乾く(하늘 건, 마를 건)かわく마르다, 건조하다
間隔(사이 간, 사이 뜰 격)かんかく간격
関係(관계할/빗장 관, 맬 계)かんけい관계
観客(볼 관, 손님 객)かんきゃく관객
観光(빛 광)かんこう관광
観察(살필 찰)かんさつ관찰

DAY05 필수한자

  1. 빌려줄 대(貸) : 亻: 사람 인 弋: 주살 익 貝: 조개(재물) 패
    사람(亻)이 주살(弋)처럼 재물(貝)을 사용하는 것은?
    사람이 주살처럼 재물을 사용하는 것은, 재물을 다른 이에게 보냈다가 도로 자기에게 거두어들이는 것인 ‘빌려줌’이지요.
    예시 : 대여(貸與: 빌려줌), 대부(貸付), 대출(貸出)

  2. 줄 선(線) : 糸: 실 사 泉: 샘 천
    실(糸) 같은 건데 샘(泉)처럼 생긴 것은?
    실 같은 건데 샘의 물줄기처럼 생긴 것은 ‘줄’이지요.
    예시 : 선(線: 줄), 직선(直線), 곡선(曲線)

  3. 조각 편(片):
    예시 : 목편(木片: 나뭇조각), 파편(破片), 편지(片紙)

  4. 이길 승(勝) :

  5. 살 활(活) : 氵: 물 수 舌: 혀 설
    물(氵)기가 혀(舌)에 있는 것은?
    ‘물기’가 즉 ‘침’이 혀에 있는 것은 ‘삶’이지요.
    예시 : 활기(活氣: 살아 있는 기운), 활력(活力), 생활(生活)

  6. 거짓 가(假, 신자체 : 仮) : 亻: 사람 인 叚: 빌릴 가
    사람(亻)이 빌려서(叚) 쓰는 것은?
    사람이 빌려서 쓰는 남의 얼굴은 ‘거짓’이지요.
    예시 : 가짜(假짜: 거짓을 참처럼 꾸민 것), 가면(假面), 가장(假裝)

  7. 정할 정(定) : 宀: 집 면 正 : 正(바를 정)의 이형
    집(宀)을 바르게(正) 하는 것은?
    집을 바르게 하는 것은 물건의 자리를 ‘정함’이지요.
    예시 : 정함(定함: 선택하거나 판단하여 뜻을 굳힘), 선정(選定), 결정(決定)

  8. 거만할 만(慢) : 忄: 마음 심 曼: 늘어질 만
    마음(忄)이 늘어지는(曼) 것은?
    마음이 남 앞에서 크게 늘어지는 것은 ‘거만함’이지요.
    예시 : 거만(倨慢: 잘난 체하며 남을 업신여김 *倨·1급·거만할 거), 오만(傲慢), 자만(自慢)

  9. 늘어질 만(曼) : 曰: 덮을 모 罒: 눈 목 又: 또(손) 우
    덮인(曰) 눈(罒)을 손(又)으로 벌리면?
    덮인 눈을 손으로 벌리면 위아래로 길게 ‘늘어짐’이지요.

  10. 빌릴 차(借) : 亻: 사람 인 昔: 옛 석
    옛(昔)날부터 알던 사람(亻)에게 하는 것은?
    옛날부터 알던 사람에게 하는 것은 무엇을 ‘빌림’이지요.
    예시 : 차용(借用: 빌려 씀), 임차(賃借), 대차(貸借)

  11. 마를 고(枯) : 木: 나무 목 古: 옛(오랠) 고
    나무(木)가 오래(古) 살면?
    나무가 오래 살면 ‘마름’이지요.
    예시 : 고사(枯死: 말라 죽음), 고목(枯木), 고엽(枯葉)

  12. 마를 건/ 하늘 건(乾) : 乾 : 햇살 간 乙: 새 을
    햇살(乾)이 퍼질 때 새(乙)가 날아오르는 곳은?
    아침에 햇살이 퍼질 때 새가 날아오르는 곳은 ‘마른’ ‘하늘’이지요.
    예시 : 건조(乾燥), 건기(乾期), 건곤(乾坤)

  13. 사이 뜰 격(隔) : 阝: 언덕 부 鬲: 솥 력
    언덕(阝) 모양으로 솥(鬲)에 있는 것은?
    언덕 모양으로 솥의 다리(ㅅㅅ)에 있는 것은 ‘사이 뜸’이지요.

  14. 맬 계(繫, 물리적 연결) : 毄 : 부딪칠 격 糸: 실(줄) 사
    부딪침(毄)을 대비하여 줄(糸)로 하는 것은?
    부딪침을 대비하여 줄로 하는 것은 짐 따위를 ‘맴’이지요.
    예시 : 계류(繫留: 매어서 머무르게 함), 연계(連繫)

  15. 맬 계(係, 논리적 연결) : 亻: 사람 인 系: 이어 맬 계
    사람(亻)이 이어 맨(系) 것은?
    사람이 둘 이상의 것을 이어 맨 것은 ‘맴’이지요.
    예시 : 관계(關係: 둘 이상의 것이 서로 관련을 맺음)

  16. 볼 관(觀, 신자체 : 観) : 雚: 부엉이 관 見: 볼 견
    부엉이(雚)처럼 보는(見) 것은?
    부엉이처럼 두 눈 부릅뜨고 목표물을 보는 것은 ‘봄’이지요.
    예시 : 관찰(觀察: 자세히 살펴봄), 관람(觀覽), 관측(觀測), 가치관(價値觀)

  17. 살필 찰(察) : 宀: 집 면 祭: 제사 제
    집(宀)에서 제사(祭) 지낼 때 하는 것은?
    집에서 제사 지낼 때 하는 것은 제사상이 제대로 차려졌는지 ‘살핌’이지요.
    예시 : 고찰(考察: 깊이 생각하여 살핌), 관찰(觀察), 통찰(洞察)

DAY06

  • '24.10.01.(화) ~ '카, 키'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完成(완전할 완, 이룰 성)かんせい완성
乾燥(하늘/마를 건, 마를 조)かんそう건조
期限(기약할 기, 한할 한)きげん기한
傷(다칠 상)きず상처, 흠
帰宅(돌아갈 귀, 집 택)きたく귀가
汚い(더러울 오)きたない더럽다
-きつい끼다, 심하다, 굳건하다, 헐렁하지 않다
気づく(기운 기)きづく깨닫다, 눈치채다, 알아채다
規則(법 규, 법칙 칙)きそく규칙
記念(기록할 기, 생각 념)きねん기념
疑問(의심할 의, 물을 문)ぎもん의문
逆(거스를 역)ぎゃく반대, 거꾸로임, 역
急(급할 급)きゅう급함, 갑작스러움
教師(가르칠 교, 스승 사)きょうし교사
共通(한가지 공, 통할 통)きょうつう공통
興味(일 흥, 맛 미)きょうみ흥미

DAY06 필수한자

  1. 마를 조(燥) : 火: 불 화 喿: 울(새) 소
    불(火) 옆에 새(喿)를 놓는 것은?
    불 옆에 새를 놓는 것은 새고기를 ‘말림(마름)’이지요.
    예시 : 건조(乾燥: 마름)

  2. 울 소(喿) : 口: 입 구 口: 입 구 口: 입 구 木: 나무 목
    입들(品)을 벌리고 나무(木) 위에서 하는 것은?
    새 떼가 입들을 벌리고 나무 위에서 하는 것은 ‘욺’이지요.
    🕊🦜 ‘喿’는 다른 글자에서, 입들(品)을 벌리고 나무(木) 위에서 우는 ‘새’를 뜻하기도 합니다.

  3. 다칠 상(傷) : 傷.4급 亻: 사람 인 : 矢(화살 시)의 생략형 昜: 볕 양
    사람(亻)이 화살촉(矢)에 찔려 볕(昜)처럼 열이 나는 것은?
    사람이 화살촉에 찔려 햇볕처럼 열이 나는 것은 몸을 ‘다침’이지요.
    예시 : 상함(傷함: 다침), 상처(傷處), 부상(負傷)

  4. 집 택(宅) : 宀: 집 면 乇: 의지할 탁
    집(宀)인데 의지하는(乇) 곳은?
    집인데 몸을 의지하는 곳은 ‘집’이지요.
    예시 : 주택(住宅: 사는 집), 자택(自宅), 고택(古宅)

  5. 법 규(規) : 夫: 지아비(사내) 부 見: 볼 견
    사내(夫)가 보는(見) 것은?
    사내가 시비 따위를 명확히 가리려고 보는 것은 ‘법(法)’이지요.
    예시 : 법규(法規: 일반 국민의 권리와 의무에 관계있는 법 규범), 규칙(規則), 규정(規定)

  6. 생각 념(念) : 今: 이제(지금) 금 心: 마음 심
    지금(今) 마음(心)으로 하는 것은?
    지금 마음속으로 하는 것은 ‘생각’이지요.
    예시 : 상념(想念: 생각), 염려(念慮), 염두(念頭)

  1. 거스를 역(逆) : 屰: 거꾸로 역 辶: 갈 착
    거꾸로(屰) 가는(辶 ) 것은?
    거꾸로 가는 것은 ‘거스름’이지요.
    예시 : 역행(逆行: 거슬러 감), 역류(逆流), 반역(反逆)

  2. 거꾸로 역(屰) :

  3. 함께 공(共) : 廾: 양손 공 廾: 양손 공
    양손(廾)과 양손(廾)을 모으는 것은?
    양손과 양손을 모으는 것은 ‘함께’이지요.

    예시 : 공동(共同: 함께 같이), 공조(共助), 공유(共有)

  4. 일 흥(興) : [ ] : 舁(함께 여)의 이형 同: 한가지(같을) 동
    함께(舁) 같은(同) 것을 하면?
    여럿이서 함께 같은 것을 하면 즐거움 따위가 ‘읾’이지요.
    예시 : 흥겨움(興겨움: 즐거움 따위가 읾), 흥미(興味), 흥분(興奮)

DAY07

  • '24.10.01.(화) ~ '키, 쿠, 케'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協力(화합할 협)きょうりょく협력
距離(상거할/떨어질 거, 떠날/산신 리)きょり거리
記録(기록할 기, 기록할 록)きろく기록
禁煙(금할 금, 연기 연)きんえん금연
緊張(긴할 긴, 베풀 장)きんちょう긴장
空席(빌 공, 자리 석)くうせき공석
偶然(짝 우, 그럴 연)ぐうぜん우연히, 뜻밖에
区切る(지경/구역 구, 끊을 절)くぎる구분하다, 구획짓다
癖(버릇 벽)くせ버릇, 습관
配る(나눌 배)くばる분배하다, 배포하다
区別(지경/구역 구, 다를/나눌 별)くべつ구별
組む(짤 조)くむ짜다, 끼다
首(머리 수)くび
悔しい(뉘우칠 회)くやしい분하다, 억울하다
苦しい(쓸 고)くるしい괴롭다, 난처하다
苦労(쓸 고, 일할 로)くろう고생
加える(더할 가)くわえる더하다
暮(ら)す(저물 모)くらす살다, 생활하다, 지내다
訓練(가르칠 훈, 익힐 련)くんれん훈련
経営(날/지날 경, 경영 영)けいえい경영
経営学けいえいがく경영학
計算(셀 계, 셈 산)けいさん계산
芸術(재주 예, 재주 술)げいじゅつ예술
経由(날/지날 경, 말미암을 유)けいゆ경유, 거쳐지나가는 것
外科(바깥 외, 과목 과)げか외과

DAY07 필수한자

  1. 화합할 협(協) : 十: 열(여러) 십 劦: 힘 합할 협
    여럿(十)이 힘을 합하는(劦) 것은?
    여럿이 힘을 합하는 것은 ‘화합함(和合함)’이지요.
    예시 : 협력(協力: 힘을 합하여 서로 도움), 협조(協助), 협동(協同)

  2. 떨어질 거(距) : 足 : 발 족 巨: 클 거
    발(足)로 재는 크기(巨)는?
    발로 재는 보(步) 따위의 크기는 ‘떨어짐’이지요.
    예시 : 거리(距離: 서로 떨어져 있는 정도), 장거리(長距離), 단거리(短距離)
    🦶 보(步): 발걸음으로 재는 거리의 단위. 1보는 한 걸음 정도의 거리임.

  • ‘距’는 ‘상거(相距: 서로 떨어짐)할 거’라고도 합니다.
  1. 떠날 리(離) : 离: 짐승 리 隹: 새 추
    짐승(离)이 다가올 때 새(隹)가 하는 것은?
    짐승이 다가올 때 새가 하는 것은 ‘떠남’이지요.
    예시 : 이륙(離陸: 뭍을 떠남), 이탈(離脫), 이별(離別)

  2. 짐승 리(离) :
    뿔 난 머리(亠)와 흉한 얼굴(凶)과 다리(冂)와 꼬리(厶)는?
    뿔 난 머리와 흉한 얼굴과 다리와 꼬리로 된 것은 ‘짐승’이지요.

  3. 기록할 록(錄) : 金: 쇠 금 彔: 나무 깎을 록
    쇠(金)를 나무 깎듯이(彔) 깎는 것은?
    쇠를 나무 깎듯이 깎는 것은 쇠에 글 따위를 ‘기록함’이지요.
    예시 : 기록(記錄: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수록(收錄), 등록(登錄)

  4. 금할 금(禁) : 林: 수풀(숲) 림 示: 보일(제단) 시
    숲(林)에서 제단(示)이 있는 곳은?
    숲에서 신성한 제단이 있는 곳은 일반인의 출입을 ‘금함’이지요.
    예시 : 금함(禁함: 무엇을 하지 못하게 함), 금지(禁止), 금기(禁忌)

  5. 연기 연(煙) : 火: 불 화 垔: 막을 인
    불(火)을 막으면(垔) 생기는 것은?
    불을 막으면 생기는 것은 ‘연기’이지요.

  6. 막을 인(垔) : 西: 서녘(둥지) 서 土: 흙 토
    둥지(西)를 흙(土)으로 쌓는 것은?
    둥지를 흙으로 쌓는 것은 주위를 ‘막음’이지요.

  7. 굳게 얽을/긴할 긴(緊) : 臤 : 굳을 간 糸: 실(줄) 사
    굳게(臤) 줄(糸)을 당겨서 하는 것은?
    ‘굳게’ 즉 ‘팽팽하게’ 줄을 당겨서 하는 것은 줄을 ‘굳게 얽음’이지요.
    예시 : 긴축(緊縮: 굳게 얽어 길이를 바짝 줄임), 긴장(緊張), 긴밀(緊密)

  8. 굳을 간(臤) : 臣: 신하 신 又: 또(손) 우
    신하(臣)의 손(又)이 하는 것은?
    왕 앞에서 신하의 손이 하는 것은 ‘굳음’이지요.
    👐 손이 굳어 있으면 몰래 무기를 들거나 쓸 수가 없지요.

  9. 베풀 장(張) : 弓: 활 궁 長: 길 장
    활(弓)줄을 길게(長) 당기는 것은?
    ‘張’은 활줄을 길게 당기는 것인 ‘벌림’이나 ‘넓힘’이나 ‘폄’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일을 벌이는(≒벌리는) 것인 ‘베풂’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확장(擴張: 넓게 벌림), 신장(伸張), 긴장(緊張)

  10. 짝 우(偶) : 亻: 사람 인 禺: 원숭이 우
    사람(亻)과 원숭이(禺)는?
    사람과 원숭이는 수많은 동물들 중에서 한 ‘짝’이지요.
    예시 : 배우자(配偶者), 우연(偶然), 우상(偶像)
    🐒💁‍♂️* ‘偶’는 사람이 원숭이를 만나는 것인, ‘우연(뜻하지 않게 일어난 일)’을 뜻하기도 합니다.

  • ‘偶’는 사람을 원숭이(🐒) 모양으로 만든 것인 ‘허수아비’를 뜻하기도 합니다.
  1. 구분할 구(區, 신자체 : 区) : 匚: 모양 品: 물건 품
    굴방(匚)에 물건(品)들을 넣을 때 하는 것은?
    굴방에 물건들을 넣을 때 하는 것은 물건들을 종류별로 ‘구분함’이지요.
    예시 : 구분(區分: 따로따로 갈라 나눔), 구별(區別), 구획(區劃)

  2. 버릇 벽(癖) : 뜻을 나타내는 疒(병들어기댈 녁)과 소리를 나타내는 辟(물리칠 벽)이 합쳐진 형성자
    안좋은 버릇은 물리쳐야될 병이다.
    예시 : 결벽(潔癖), 결벽증(潔癖症), 낭비벽(浪費癖), 도벽(盜癖), 방랑벽(放浪癖), 성벽(性癖)

  3. 물리칠 벽(辟) : 卩(병부 절)과 辛(매울 신)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이후 卩 아래에 동그라미가 추가되고, 이 형태가 尸 아래에 口가 있는 형태로 변하여 현재의 자형이 되었다.
    매운 것으로 병을 물리치자

  4. 짝 배(配) : 酉: 닭(술) 유 己: 몸 기
    술(酉)을 몸(己)을 굽혀 따르는 이는?
    술을 몸을 굽혀 나에게 따르는 이는 ‘짝’이지요.
    예시 : 배필(配匹: 부부로서의 짝), 배우(配偶), 분배(分配)
    🥂🍻 ‘配’는 술을 몸을 굽혀 따르는 것은 술을 나누는 것이라 하여, ‘나눌 배’라고도 합니다.

  5. 짤 조(組) : 糸: 실 사 且: 또(여럿) 차
    실(糸) 여럿(且)으로 하는 것은?
    실 여러 가닥으로 하는 것은 베 따위를 ‘짬’이지요.
    예시 : 조직(組織: 짬), 조합(組合), 조립(組立)

  6. 뉘우칠 회(悔) : 忄: 마음 심 每: 매양(늘) 매
    마음(忄)이 늘(每) 하는 것은?
    마음이 어떤 일이 일어난 뒤에 늘 하는 것은 ‘뉘우침’이지요.
    예시 : 후회(後悔: 어떤 일이 일어난 뒤에 잘못을 뉘우침), 회한(悔恨), 회개(悔改)

  7. 일할 로(勞) : 火火冖: 찬란할 형 力: 힘 력
    찬란한(火火冖) 업적을 위해 힘(力)쓰는 것은?
    찬란한 업적을 위해 힘쓰는 것은 ‘일함’이지요.
    예시 : 노동(勞動: 움직여 일함), 노무(勞務), 근로(勤勞)

  8. 찬란할 형 :火: 불 화 火: 불 화 冖: 덮을 멱
    불들(火火)이 덮으면(冖)?
    불들이 무엇을 뒤덮으면 ‘찬란함’이지요.
    🧨✨ 찬란하다: 밝게 빛나다

  9. 저물 모(暮) : 莫: 없을 막 日: 날(해) 일
    해(日)가 없어지는(莫) 것은?
    해가 없어지는 것은 날이 ‘저묾’이지요.
    예시 : 일모(日暮: 날이 저묾), 조삼모사(朝三暮四)
    🤝🐕 조삼모사(朝三暮四):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란 뜻으로,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10. 가르칠 훈(訓) : 言: 말씀(말) 언 川: 내 천
    말(言)하는 건데 내(川) 같은 것은?
    말하는 건데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내 같은 것은 ‘가르침’이지요.
    예시 : 훈화(訓話: 가르치는 말), 훈계(訓戒), 교훈(敎訓)

  11. 익힐 련(練) : 糸: 실 사 柬: 가려낼 간
    실(糸)처럼 가려내는(柬) 것은?
    실처럼 연이어, 오점을 가려내는 것은 무엇을 ‘익힘’이지요.
    예시 : 연습(練習: 되풀이하여 익힘), 훈련(訓練), 수련(修練)

  12. 가려낼 간(柬) :

  13. 날 경(經, 신자체 : 経 ) : 糸: 실 사 巠: 베틀 경
    실(糸)인데 베틀(巠)에 걸려 있는 것은?
    실인데 베틀에 걸려 있는 것은 ‘날’이지요.
    예시 : 경사(經絲: 날실), 경과(經過), 경로(徑路)

  • 날: 날실(피륙을 짤 때 세로로 놓는 실)
  • ‘經’은 날실 사이로 씨실이 하는 것인 지남을 뜻하여, ‘지날 경’이라고도 합니다.
  1. 경영할 영(營) : 火火冖: 찬란할 형 呂: 등뼈 려
    찬란한(火火冖) 업적을 위해 등뼈(呂)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찬란한 업적을 위해 등뼈같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경영함’이지요.
    예시 : 경영(經營: 기업이나 사업 따위를 관리하고 운영함), 운영(運營), 영업(營業)

  2. 셈 산(算) : 竹: 대 죽 目: 눈 목 廾: 양손 공
    댓(竹)가지를 눈(目)으로 보며 양손(廾)으로 하는 것은?
    ‘댓가지’, 즉 ‘산가지’를 눈으로 보며 양손으로 하는 것은 ‘셈’이지요.
    예시 : 산수(算數: 셈), 계산(計算), 합산(合算)

  3. 재주 예(藝, 신자체 : 芸) : 艹: 풀 초 埶: 심을 예 云: 이를 운
    풀(艹)을 심어진(埶) 씨앗이 틔우는 능력을 이르는(云) 말은?
    ‘풀’을, 즉 ‘싹’을 심어진 씨앗이 틔우는 능력을 이르는 말은 ‘재주’이지요.
    예시 : 예술(藝術: 재주), 예능(藝能), 기예(技藝)

  4. 말미암을 유(由) : | : 모양 田: 밭 전
    식물(|)이 밭(田)으로부터 한 것은?
    ‘由’는 식물을 밭에서 ‘뽑아냄’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뽑아낸 식물이 밭으로부터 한 것인 ‘말미암음’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유래(由來: 말미암아 옴), 이유(理由), 자유(自由)

  5. 과목 과(科) : 禾: 벼(곡물) 화 斗: 말 두
    곡물(禾)을 말(斗)로 되놓은 것은?
    쌀·보리·콩 등의 곡물을 종류에 따라 말로 되놓은 것은 ‘과목’이지요.

DAY08

  • '24.10.02.(수) ~ '케, 코'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消す(사라질 소)けす(불,전기 등을) 끄다
血圧(피 혈, 누를 압)けつあつ혈압
血液(피 혈, 진 액)けつえき혈액
血液型けつえきがた(모형 형)혈액형
欠席(이지러질 결/하품 흠, 자리 석)けっせき결석
欠点(점 점)けってん결점
件(물건 건)けん건, 사항
券(문서 권)けん권, 표
原因(근원 원, 인할 인)げんいん원인
検査(검사할 검, 조사할 사)けんさ검사
健康(굳셀 건, 편안 강)けんこう건강
現在(나타날 현, 있을 재)げんざい현재
減少(덜 감, 적을 소)げんしょう감소
建設(세울 건, 베풀 설)けんせつ건설
建築(세울 건, 쌓을 축)けんちく건축
原料(근원 원, 되질할 료)げんりょう원료
恋しい(사모할 련)こいしい그립다
効果(본받을 효, 열매 과)こうか효과
交換(사귈 교, 바꿀 환)こうかん교환
合計(합할 합, 셀 계)ごうけい합계
広告(넓을 광, 고할 고)こうこく광고
交流(사귈 교, 흐를 류)こうりゅう교류
呼吸(부를 호, 마실 흡)こきゅう호흡
腰(허리 요)こし허리
個人(낱 개)こじん개인

DAY08 필수한자

  1. 누를 압(壓, 신자체 : 圧) : 厭: 싫을 염 土: 흙(땅) 토
    싫은(厭) 상대를 땅(土)쪽으로 미는 것은?
    싫은 상대를 땅쪽으로 미는 것은 ‘누름’이지요.
    예시 : 압박(壓迫: 내리눌러 핍박함), 압축(壓縮), 강압(強壓)

  2. 진 액(液) : 氵: 물 수 夜: 밤 야
    물(氵)인데 밤(夜) 같은 것은?
    물인데 밤같이 어두운 것은 ‘진(津)’이지요.
    예시 : 진액(津液: 진/ 풀이나 나무의 껍질 등에서 분비되는 점액 *津·2급·나루/진액 진), 수액(水液), 액체(液體)

  3. 이지러질 결(缺) : 缶: 장군 부 夬: 터놓을 쾌
    장군(缶)이 터놓아(夬)지는 것은?
    밀폐 용기인 장군이 내용물의 압력으로 인해 ‘터놓아지는’ 즉 ‘터지는’ 것은 ‘이지러짐’이지요.
    예시 : 결함(缺陷: 이지러지거나 빠짐 또는 그런 부분), 결손(缺損), 결점(缺點)
    ✍ 이지러지다: 어느 한 곳이 떨어져 나가다

  1. 물건 건(件) : 亻: 사람 인 牛: 소 우
    사람(亻)이 소(牛)로 나르는 것은?
    사람이 소로 나르는 것은 ‘물건’이지요.
    예시 : 물건(物件: 일정한 형체를 갖춘 모든 물질적 대상), 사건(事件)
    🧍‍♂️🦏🐃 ‘件’은 사람(亻)이 소(牛)한테 받힌 것인 ‘사건(事件: 문제가 되거나 주목을 받을 만한 뜻밖의 일)’을 뜻하기도 합니다.

  2. 문서 권(券) : : 말 권 刀: 칼 도
    마는() 건데 칼(刀)로 나누어 가지는 것은?
    마는 건데 계약을 맺은 사람들이 칼로 나누어 가지는 것은 ‘문서(文書)’이지요.
    예시 : 증권(證券: 계약의 증거가 되는 문서), 채권(債券), 복권(福券)

  3. 검사할 검(檢) : 木: 나무 목 僉: 여러 첨
    나무(木)를 여럿(僉) 붙인 곳에서 하는 것은?
    나무를 여럿 붙인 곳인 목책(木柵)에서 하는 것은 ‘검사함’이지요.

  4. 편안할 강(康) : 广: 집 엄 隶: 미칠(잡을) 이
    집(广)에서 짐승을 잡으면(隶)?
    집에서 쥐 따위의 해로운 짐승을 잡으면 심신이 ‘편안함(便安함)’이지요.

  5. 세울 건(建) : 聿: 붓 율 廴: 길게 걸을 인
    붓(聿)을 길게 걷게(廴) 하려고 하는 것은?
    필기할 때 붓을 길게 걷게 하려고 하는 것은 붓을 똑바로 ‘세움’이지요.
    예시 : 건립(建立: 세움), 건설(建設), 건축(建築)

  6. 베풀 설(設) : 言: 말씀(말) 언 殳: 몽둥이/창 수
    말(言)로 지시하고 몽둥이(殳)로 치면서 하는 것은?
    말로 일을 지시하고 몽둥이로 일꾼을 치면서 하는 것은 ‘베풂’이지요.
    예시 : 건설(建設: 건물 등을 만들어 세움), 설립(設立), 설비(設備)

  • 베풀다: 1. 일을 차리어 벌이다. 2. 남에게 돈을 주거나 일을 도와주어서 은혜를 입게 하다.
  1. 쌓을 축(築) : 竹: 대 죽 工: 모양 凡: : 무릇(공기) 범 木: 나무 목
    대(竹)나무(木)의 공기(凡) 든 마디(工)들이 하는 것은?
    대나무의 공기 든 마디들이 하는 것은 차곡차곡 ‘쌓음’이지요.
    예시 : 축조(築造: 쌓아서 지음), 건축(建築), 구축(構築)

  2. 본받을 효(效) : 交: 사귈(교차할) 교 攵: 칠(때릴) 복
    교차하여(交) 때리면(攵)?
    몸에 매를 교차하여 때리면 스승의 가르침을 ‘본받음(本받음)’이지요.
    예시 : 효과(效果), 효험(效驗), 효능(效能)

  • ‘效’는 몸에 매를 교차하여 때리면 생기는 것인 ‘효과’(보람 있는 결과)를 주로 뜻합니다.
  1. 고할 고(告) :

  2. 낱 개(個) : 亻: 사람 인 固: 굳을 고
    사람(亻)이 굳은(固) 것을 세는 단위는?
    사람이 한 덩어리로 굳은 것을 세는 단위는 ‘낱’이지요.
    예시 : 개(個: 낱으로 된 물건을 세는 단위), 개체(個體), 개수(個數)

DAY09

  • '24.10.03.(목) ~ '코, 사'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断(わ)る(끊을 단)ことわる거절하다
零す(떨어질 령)·溢す(넘칠 일)こぼす흘리다, 엎지르다
細かい(가늘 세)こまかい잘다, 작다
困る(곤할 곤)こまる곤란하다
転ぶ(구를 전)ころぶ넘어지다, 구르다
~差(다를 차)~さ~차
坂道(고개/언덕 판, 길 도)さかみち비탈길, 언덕길
盛ん(성할 성)ださかんだ번창하다
雑誌(섞일 잡, 기록할 지)ざっし잡지
早速(이를 조, 빠를 속)さっそく즉시
覚める(깨달을 각)さめる깨다, 눈이 뜨이다
~産(낳을 산)~さん(지역, 나라) ~산
残業(해칠/잔인할/남을 잔)ざんぎょう잔업
塩(소금 염)しお소금
支給(지탱할 지, 줄 급)しきゅう지급
資源(재물 자, 근원 원)しげん자원
事情(일 사, 뜻 정)じじょう사정
沈む(잠길 침)しずむ가라앉다, 지다(해, 달이)
姿勢(모양 자, 형세 세)しせい자세

DAY09 필수한자

  1. 떨어질 령(零) : 雨: 비 우 令: 하여금(명령) 령
    비(雨)가 명령(令)처럼 하는 것은?
    비가 명령처럼 하는 것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짐’이지요.
    예시 : 영세(零細), 영상(零上), 영하(零下)
  • ‘零’은 바닥까지 떨어진 수(數)인 ‘영(0)’을 뜻하기도 합니다.
  1. 곤란할 곤(困) : 口: 모양 木: 나무 목
    갇힌(囗) 나무(木)는?
    갇힌 나무는 자라기가 ‘곤란함’이지요.

    예시 : 곤란(困難: 사정이 몹시 딱하고 어려움), 곤궁(困窮), 곤경(困境)

  2. 다를 차(差) : : 羊(양 양)의 이형 工: 장인(만들) 공
    양(羊)탈을 만들어(工) 쓰면?
    양탈을 만들어 쓰면 모습이 ‘다름’이지요.

  3. 성할 성(盛) : 成: 이룰 성 皿: 그릇 명
    이룬(成) 음식을 그릇(皿)에 담은 모양은?
    ‘이룬’ 즉 ‘완성한’ 음식을 그릇에 가득 담은 모양은 ‘성함’이지요.
    예시 : 성함(盛함: 기운이나 세력 따위가 크거나 많아짐), 성대(盛大), 풍성(豊盛)

  4. 피 혈(血) : ´ : 모양 皿: 그릇 명
    한 방울( ´ )씩 그릇(皿)에 받는 것은?
    한 방울씩 그릇에 받는 것은 사체에서 떨어지는 ‘피’이지요.

  5. 섞일 잡(雜, 신자체 : 雑) : : 衣(옷 의)의 이형 木: 나무 목 隹: 새 추
    옷(衣)처럼 나무(木)에 새(隹)들이 모이는 것은?
    옷처럼 알록달록하게 나무에 여러 새들이 모이는 것은 ‘섞임’이지요.

  6. 기록할 지(誌) : 言: 말씀(말) 언 志: 뜻 지
    말(言)을 뜻(志)글자로 적는 것은?
    말을 뜻글자인 한자로 적는 것은 ‘기록함(記錄함)’이지요.
    예시 : 잡지(雜誌), 주간지(週刊誌), 학술지(學術誌)

  7. 빠를 속(速) : 束: 묶을 속 辶: 갈 착
    묶어서(束) 가면(辶)?
    나무를 한 덩어리로 묶어서 가면 ‘빠름’이지요.

  8. 남을 잔(殘) : 歹: 부서진 뼈(죽을) 알 戔: 쌓을 전
    죽은(歹) 이에게 수거하여 쌓아(戔)놓는 창은?
    죽은 이에게 수거하여 쌓아놓는 창은 전투에서 ‘남음’이지요.
    예시 : 잔여(殘餘: 남은 것), 잔존(殘存), 잔재(殘在)

  9. 지탱할 지(支) : 十: 모양 又: 또(손) 우
    가지(十)를 손(又)으로 잡고 있는 것은?
    가지를 손으로 잡고 있는 것은 ‘지탱함’이지요.
    예시 : 지탱(支撐: 오래 배겨 내거나 버팀 *撐·1급·버틸 탱), 지지(支持), 지원(支援)

  10. 줄 급(給) : 糸: 실 사 合: 합할 합
    실(糸)을 합할(合) 때 하는 것은?
    실을 합할 때 하는 것은 섬유를 물레에 ‘줌’이지요.

    예시 : 공급(供給: 제공하여 줌), 보급(補給), 배급(配給)

  11. 잠길 침(沈) : 氵: 물 수 冘: 머무를 유
    물(氵)속에서 머무르는(冘) 것은?
    물속에서 머무르는 것은 물에 ‘잠김’이지요.
    예시 : 침잠(沈潛: 잠김), 침몰(沈沒), 심청전(沈淸傳)

  12. 형세 세(勢) : 埶: 심을 예 力: 힘 력
    심어진(埶) 씨앗이 힘(力)써 갖추는 것은?
    심어진 씨앗이 힘써 갖추는 것은 뿌리와 줄기의 ‘형세’이지요.
    예시 : 형세(形勢: 식물이 뿌리와 줄기를 뻗는 모양/ 일이 되어 가는 형편), 자세(姿勢), 태세(態勢)

  13. 모양 자(姿) : 次: 버금 차 女: 여자 녀
    버금(次)으로 여자(女)에게 중요한 것은?
    마음씨 버금으로 여자에게 중요한 것은 ‘모양(模樣)’이지요.
    예시 : 자태(姿態: 모양새), 자세(姿勢)

DAY10

  • '24.10.04.(금) ~ '코, 사'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自然しぜん자연
親しいしたしい친하다
確り(굳을 확)しっかり꽉, 단단히
失業(잃을 실)しつぎょう실업
-しつこい끈질기다
実力じつりょく실력
暫く(잠깐 잠)しばらく한동안, 오랫동안
縛る(얽을 박)しばる묶다
絞る(목맬 교), 搾る(짤 착)しぼる짜다
島(섬 도)しま
-しまう안에 넣다, 치우다
自慢(스스로 자, 거만할 만)じまん자랑
染み(물들 염)しみ얼룩
締(め)切(り)(맺을 체, 끊을 절)しめきり마감
示すしめす가리키다, 보이다, 나타내다
知(り)合いしりあい서로 알게 되다
~者~しゃ~자
自由じゆう자유
週刊誌(주일 주, 새길 간, 기록할 지)しゅうかんし주간지
就職(나아갈 취, 직분 직)しゅうしょく취직
渋滞(떫을 삽, 막힐 체)じゅうたい정체, 밀림
重大(무거울 중)じゅうだい중대
集中(모을 집)しゅうちゅう집중
修理(닦을 수, 다스릴 리)しゅうり수리

DAY10 필수 한자

  1. 잠깐 잠(暫) : 斬: 벨 참 日: 날(시간) 일
    베는(斬) 데 걸리는 시간(日)은?
    목 따위를 베는 데 걸리는 시간은 ‘잠깐’이지요.
    예시 : 잠시(暫時: 잠깐 동안), 잠정(暫定)

  2. 벨 참(斬) : 車: 수레 차 斤: 근(도끼) 근
    수레(車)로 잡아당긴 후 도끼(斤)로 치는 것은?
    수레로 잡아당긴 후 도끼로 치는 것은 죄인을 ‘벰’이지요.
    예시 : 참형(斬刑), 참살(斬殺), 참수(斬首)

  • 거열(車裂): 수레로 죄인의 머리·팔·다리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잡아당긴 후 토막 쳐 죽이던 형벌.
  1. 얽을 박(縛) : 훈을 나타내는 糸(가는 실 멱)과 음을 나타내는 尃(펼 부)가 합쳐진 형성자
    실을 펴서 무언가를 얽음
    예시 : 결박(結縛), 속박(束縛), 주박(呪縛): 일본에서만 쓰는 말이다. 주술로 속박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포박(捕縛), 자승자박(自繩自縛)

  2. 짤 착(搾) :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窄(좁을 착)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손으로 무언가를 좁게해서 짜는 모습을 형상화
    예시 : 압착(壓搾), 착즙(搾汁), 착취(搾取)

  3. 좁을 착(窄) : 뜻을 나타내는 穴(구멍 혈)과 소리를 나타내는 乍(잠깐 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구멍에 잠깐 들어가도 좁게 느껴진다.

  4. 거만할 만(慢) : 忄: 마음 심 曼: 늘어질 만
    마음(忄)이 늘어지는(曼) 것은?
    마음이 남 앞에서 크게 늘어지는 것은 ‘거만함’이지요.
    예시 : 거만(倨慢: 잘난 체하며 남을 업신여김 *倨·1급·거만할 거), 오만(傲慢), 자만(自慢)

  5. 물들일 염(染) : 氵: 물 수 九: 아홉(길) 구 木: 나무 목
    물(氵)에 길게(九) 담그는 건데 나무(木)로 저어줘야 하는 것은?
    물에 천을 ‘길게’ 즉 ‘오래’ 담그는 건데, 천에 얼룩이 지지 않게 나무 장대로 계속 저어줘야 하는 것은 천을 ‘물들임’이지요.
    예시 : 염색(染色: 물들임), 염료(染料), 오염(汚染)

  6. 맺을 체(締) : 뜻을 나타내는 糸(가는실 멱)과 음을 나타내는 帝(임금 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임금과 실과 같이 서로 연결하여 계약을 맺는 모습
    체결(締結)

  1. 돌 주(週) : 周: 두루(두를) 주 辶: 갈 착
    둘러서(周) 가는(辶) 것은?
    둘러서 가는 것은 ‘돎’이지요.
    예시 : 일주(一周: 한 바퀴를 돎), 주기(週期), 주일(週日)

  2. 나아갈 취(就) : 京: 서울 경 尤: 모양
    서울(京)로 사람(尢)이 짐(') 싸들고 가는 것은?
    서울로 사람이 짐 싸들고 가는 것은 일 따위를 하러 서울로 ‘나아감’이지요.
    예시 : 취임(就任: 맡은 자리에 처음으로 나아감), 취직(就職), 취업(就業)

  3. 직분 직(職) : 耳: 귀 이 戠: 새길 시
    귀(耳)에 새겨(戠)들으며 하는 일은?
    귀에 새겨들으며 하는 일은 ‘직분’이지요.
    예시 : 직분(職分: 직업상 주어진 일), 직업(職業), 직무(職務)

  4. 떫을 삽(澁, 신자체 : 渋) : 물 수 + 그칠 지(止)로
    수분이 매우 없어서(止) 떫은 것을 형상화

  5. 막힐 체(滯, 신자체 : 滞) : 氵: 물 수 帶: 띠 대
    물(氵)에 띠(帶)가 생기는 것은?
    물에 부유물 따위로 이루어진 띠가 생기는 것은 물이 ‘막힘’이지요.

    예시 : 정체(停滯: 멈추거나 막힘), 지체(遲滯), 체류(滯留)

  6. 닦을 수(修) : 攸: 바(멀) 유 彡: 川(내 천)의 이형
    멀리(攸) 흐르는 내(彡)에서 하는 것은?
    멀리 흐르는 내에서 하는 것은 몸 따위를 ‘닦음’이지요.
    예시 : 수신(修身: 몸을 닦음), 수도(修道), 수학(修學)

  • 닦다: 1. 씻어 깨끗이 하다. 2. 문질러 윤기를 내다. 3. 배우고 익히다.
  1. 바 유(攸) : 亻: 사람 인 𐌠: 모양 攵: 칠 복
    사람(亻)이 지팡이( 𐌠 )로 치며(攵) 가는 곳은?
    ‘攸’는 사람이 지팡이로 ‘치며’ 즉 ‘짚으며’ 가는 곳은 ‘멂’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바(所)’를 뜻하게 되었답니다.

DAY11

  • '24.10.05.(토) ~ '사, 시, 수'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縮小(줄일 축)しゅくしょう축소
主張(주인 주, 베풀 장)しゅちょう주장
出勤(날 출, 부지런할 근)しゅっきん출근
種類(씨 종, 무리 류)しゅるい종류
首都(머리 수, 도읍 도)しゅと수도
主要(주인 주, 요긴할 요)しゅよう주요
順番(순할 순, 차례 번)じゅんばん순번
商業(장사 상, 업 업)しょうぎょう상업
正直(바를 정, 곧을 직)しょうじき정직
乗車(탈 승, 수레 차)じょうしゃ승차
冗談(쓸데없을 용, 말씀 담)じょうだん농담
消費(사라질 소, 쓸 비)しょうひ소비
商品(장사 상, 물건 품)しょうひん상품
上品だじょうひんだ고상하다
情報(뜻 정, 갚을/알릴 보)じょうほう정보
食器(먹을 식, 그릇 기)しょっき식기
申請(납 신, 청할 청)しんせい신청
新鮮(새 신, 고울 선)しんせん신선
進歩(나아갈 진, 걸음 보)しんぽ진보
随分(따를 수, 나눌 분)ずいぶん꽤, 상당히
頭痛(머리 두, 아플 통)ずつう두통

DAY11 필수한자

  1. 줄 축(縮): 糸: 실 사 宿: 잘 숙
    실(糸)이 잘(宿) 때 눌리는 것은?
    이불의 부푼 실이 잘 때 몸에 눌리는 것은 ‘줆’이지요.
    예시 : 축소(縮小: 작게 줆), 압축(壓縮), 수축(收縮)

  2. 잘 숙(宿) : 宀: 집 면 亻: 사람 인 百: 모양
    집(宀)에서 사람(亻)이 잠자리(百)에 드는 것은?
    집에서 사람이 잠자리에 드는 것은 ‘잠’이지요.

  3. 씨 종(種) : 禾: 벼(곡물) 화 重: 무거울 중
    곡물(禾) 중 무거운(重) 것은?
    벼나 보리 따위의 곡물 중 무거운 것은 가려져 ‘씨’가 되지요.

  4. 도읍 도(都) : 者: 놈(사람) 자 阝: 고을 읍
    사람(者) 많은 고을(阝)은?
    사람이 가장 많은 고을은 ‘도읍’이지요.
    예시 : 도읍(都邑: 한 나라의 서울), 도시(都市), 수도(首都)

  5. 순할 순(順) : 川: 내 천 頁: 머리 혈
    내(川)처럼 머리(頁)를 숙이는 것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내처럼 거스르지 않고 머리를 숙이는 것은 ‘순함’이지요.
    예시 : 순함(順함: 거스르지 않는 성질을 지님), 순응(順應), 순종(順從)

  6. 탈 승(乘, 신자체 : 乗) : 亻: 사람 인 北: 모양 木: 나무 목
    사람(亻)이 양발(北)로 나무(木)에 오르는 것은?
    사람이 양발로 나무에 오르는 것은 나무를 ‘탐’이지요.

  7. 일없을/번잡할 용(宂, 신자체 : 冗) : 宀(집 면)과 儿(어진사람 인)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일 없이 집에 있어 번잡하기만 한 백수..?!

  8. 갚을 보(報) : 幸: 다행(행복) 행 𠬝 : 다스릴 복
    행복(幸)을 다스리는(𠬝) 방법은?
    행복을 다스리는 방법은 세상으로부터 받은 은혜를 도로 ‘갚음’이지요.
    예시 : 보은(報恩: 은혜를 갚음), 보답(報答), 보복(報復)

  9. 고울 선(鮮) : 魚: 물고기 어 羊: 양 양
    물고기(魚)인데 양(羊)고기 같은 것은?
    ‘鮮‘은 물고기인데 양고기같이 맛있는 것인 ‘생선‘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생선은 때깔이 곱다 하여 ‘고움’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10. 걸음 보(步) : 止: 그칠(발) 지 少 : 少(적을 소)의 이형
    발(止)을 적게(少) 움직이는 것은?
    발을 적게 움직이는 것은 ‘걸음’이지요.

DAY12

  • '24.10.06.(일) ~ '수, 세'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性格(성품 성, 격식 격)せいかく성격
制限(절제할 제, 한할 한)せいげん제한
税金(세금 세, 쇠 금)ぜいきん세금
清潔(맑을 청, 깨끗할 결)せいけつ청결하다
正常(바를 정, 떳떳할/항상 상)せいじょう정상이다
成績(이룰 성, 길쌈할 적)せいせき성적
制服(절제할 제, 옷 복)せいふく제복
整理(가지런할 정, 다스릴 리)せいり정리
席(자리 석)せき자리
積極的(쌓을 적, 극진할/다할 극)せっきょくてき적극적
線(줄 선)せん
全-(온전 전)ぜん-전-, 전부
前後(앞 전, 뒤 후)ぜんご앞뒤
選手(가릴 선, 손 수)せんしゅ선수
専門家(오로지 전, 문 문, 집 가)せんもんか전문가
想像(생각 상, 모양 상)そうぞう상상
早退(이를 조, 물러날 퇴)そうたい조퇴
相談(서로 상, 말씀 담)そうだん상담
育てる(기를 육)そだてる기르다, 양육하다
底(밑 저)そこ바닥, 속
-そっくり꼭 닮음
卒業(마칠 졸, 업 업)そつぎょう졸업
-そっと살짝

DAY12 필수 한자

  1. 성품 성(性) : 忄: 마음 심 生: 날 생
    마음(忄)인데 날(生) 때부터 생기는 것은?
    마음인데 태어날 때부터 생기는 것은 ‘성품’이지요.

  2. 절제할 제(制) :

  3. 세금 세(稅) : 禾: 벼(곡물) 화 兌: 바꿀 태
    곡물(禾)로 바꾸어(兌) 내는 것은?
    소득의 일부를 곡물로 바꾸어 정부에 내는 것은 ‘세금’이지요.

  4. 바꿀 태(兌) : 八: 여덟 팔 ㅁ: 입 구 儿: 사람 인
    팔자주름(八)을 입(ㅁ) 위에 사람(儿)이 만드는 것은?
    팔자주름을 입 위에 사람이 만드는 것은 표정을 ‘바꿈’이지요.
    🤣 ‘兌’는 팔자주름을 입 위에 사람이 만드는 것은 기쁜 것이라 하여, ‘기쁠 태’라고도 합니다.

  5. 깨끗할 결(潔) : 氵: 물 수 (糸: 실 사 + 㓞: 새길 갈) : 무늬 결
    물(氵)로 무늬((糸: 실 사 + 㓞: 새길 갈))를 지우면?
    물로 더러운 무늬를 지우면 ‘깨끗함’이지요.
    깨끗할 결
    청결(淸潔: 맑고 깨끗함), 정결(淨潔), 순결(純潔)

  6. 새길 갈(㓞) : 丰: 예쁠 봉 刀: 칼 도
    예쁘게(丰) 칼(刀)로 파는 것은?
    예쁘게 글씨나 무늬를 칼로 파는 것은 ‘새김’이지요.

  7. 항상 상(常) : 尙: 오히려(높을) 상 巾: 수건(천) 건
    높은(尙) 집처럼 생긴 천(巾)을 두르는 때는?
    높은 집처럼 생긴 천인 치마를 두르는 때는 ‘항상’이지요.
    예시 : 항상(恒常: 늘/ 언제나), 일상(日常), 평상시(平常時)

  8. 옷 복(服) :

  9. 가지런할 정(整) : 束: 묶을 속 攵: 칠 복 正: 바를 정
    묶고(束) 쳐서(攵) 바르게(正) 하면?
    땔감 따위의 나무를 줄로 묶고 끝을 쳐서 바르게 하면 ‘가지런함’이지요.
    예시 : 정리(整理: 흐트러진 것을 가지런하게 다스림), 정돈(整頓), 정렬(整列)

  10. 다할 극(極) : 木: 나무 목 亟: 빠를 극
    나무(木)에서 빠르게(亟) 움직이는 곳은?
    ‘極’은 바람이 불거나 할 때 나무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곳인 ‘끝’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끝’은 무엇이 다한 곳이라 하여 ‘다함’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극단(極端: 맨 끝), 극한(極限), 궁극(窮極)

  11. 빠를 극(亟) :  ̄: 모양 亻: 사람 인 ㅁ: 입 구 又: 또(손) 우 : 모양
    하늘( ̄)과 땅(
    ) 사이를 차지한 사람(亻)이 입(ㅁ)과 손(又)을 발달시킨 속도는?
    하늘과 땅 사이를 차지한 사람이 ‘말을 하는 입’과 ‘기술을 쓰는 손’을 발달시킨 속도는 다른 동물들보다 ‘빠름’이지요.

  12. 줄 선(線) : 糸: 실 사 泉: 샘 천
    실(糸) 같은 건데 샘(泉)처럼 생긴 것은?
    실 같은 건데 샘의 물줄기처럼 생긴 것은 ‘줄’이지요.
    예시 : 선(線: 줄), 직선(直線), 곡선(曲線)

  13. 가릴 선(選) : 巳: 모양 巳: 모양 共: 함께 공 辶: 갈 착
    두 사람(巳巳) 중 함께(共) 갈(辶) 사람을 뽑는 것은?
    두 사람 중에서 자기와 함께 갈 한 사람을 뽑는 것은 ‘가림’이지요.
    ☞ 巳巳: 고개 숙이고 허리 굽히고 무릎 꿇고 “저를 뽑아 데려가주세요.” 하는 두 사람을 나타낸 글자

  14. 밑 저(底) : 广: 집 엄 氐: 근본(밑) 저
    집(广)의 밑(氐)은?
    집의 밑은 ‘밑’이지요.
    예시 : 기저(基底: 기초가 되는 밑 부분), 근저(根底), 저변(底邊)

DAY13

  • '24.10.07.(월) ~ '소, 타, 치'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そろそろ이제 슬슬
退院(물러날 퇴, 집 원)たいいん퇴원
大会たいかい대회
代金(대신할 대, 쇠 금)だいきん대금
滞在(막힐 체, 있을 재)たいざい체재
代表的だいひょうてき대표적
大量(큰 대, 헤아릴 량)たいりょう대량
体力(몸 체)たいりょく체력
確かたしか확실히
確かめるたしかめる확실히 하다, 확인하다
助ける(도울 조)たすける돕다, 구조하다, 살리다
戦う(싸울 전)たたかう싸우다, 전투하다
畳む(겹쳐질 첩)たたむ접다, 개다
経つ(지날 경)たつ(시간, 때가)지나다, 경과하다
溜まる(처마물 류)たまる쌓이다
溜めるためる(돈을) 모으다
頼る(의지할/의뢰할 뢰)たよる의지하다
-だるい나른하다, 지루하다
中古ちゅうこ중고
調子(고를 조, 아침 주)ちょうし상태, 컨디션
中旬(열흘 순)ちゅうじゅん중순
単語(홑 단, 말씀 어)たんご단어
違う(다를 위)ちがう다르다

DAY13 필수한자

  1. 헤아릴 량(量) : 旦: 아침 단 里: 마을 리
    아침(旦)마다 마을(里) 사람들이 하는 것은?
    공동체 사회에서 아침마다 마을 사람들이 하는 것은 밥을 지으려고 곡식의 양을 ‘헤아림’이지요.
    예시 : 측량(測量: 재어 헤아림), 계량(計量), 분량(分量)

  2. 도울 조(助) : 且: 또(여럿) 차 力: 힘 력
    여럿(且)이 힘(力)을 모으는 것은?
    여러 사람이 힘을 모으는 것은 남을 ‘도움’이지요.
    예시 : 조력(助力: 힘써 도움), 협조(協助), 원조(援助)

  3. 싸움 전(戰) : 單: 홑(그물) 단 戈: 창 과
    그물(單)로 잡아 창(戈)으로 찌르는 것은?
    그물로 상대를 잡아 창으로 빈 곳을 찌르는 것은 ‘싸움’이지요.
    예시 : 전투(戰鬪: 싸움), 전쟁(戰爭), 전술(戰術)

  4. 거듭 첩(疊, 신자체 : 畳) :
    밭 갈피 뢰(畾)와 마땅 의(宜)가 합쳐진 회의자로, 본래 옛날에는 재판관이 판결하는 데 3일간 평의하여 결정하였기 때문에 날 일(日) 세 개가 합쳐진 맑을 정(晶)과 마땅 의(宜) 합하여 만들었다. 훗날 晶이 畾로 가차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예시 : 중첩(重疊), 첩석(疊石), 첩어(疊語), 첩첩(疊疊), 첩첩산중(疊疊山中), 첩출(疊出), 다다미(畳)

  5. 처마물 류(溜) :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留(머무를 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처마물', '낙숫물', '(물방울이) 떨어지다' 등을 뜻한다.
    처마에서 머물다가 떨어지는 처마물을 의미
    예시 : 유출(溜出), 잔류(殘溜), 증류(蒸溜), 분별증류(分別蒸溜)

  6. 의뢰할 뢰(賴, 신자체 : 頼) : 束: 묶을 속 刀: 칼 도 貝: 조개(돈) 패
    묶어놓은(束) 칼(刀)이나 돈(貝)에 하는 것은?
    몸에 묶어놓은 칼이나 돈에 하는 것은 ‘의뢰함’이지요.
    '의뢰(依賴)하다'라는 훈은 '신뢰한다', '의지한다' 또는 '믿는다'라는 뜻으로 쓰였다. 원래는 이득, 또는 이득을 얻는다는 뜻이지만, 신뢰한다, 또는 의지한다는 뜻도 있고, 남을 속인다거나 무뢰하다, 나쁘다는 뜻도 있다.
    예시 : 의뢰(依賴: 의지함), 신뢰(信賴), 무뢰한(無賴漢)

  7. 고를 조(調) : 言: 말씀(말) 언 周: 두루(두를) 주
    말(言)을 둘러서(周) 하는 것은?
    말을 둘러서 하는 것은 말마디의 수위를 ‘고름’이지요.
    예시 : 조절(調節: 마디를 고름/ 적당하게 맞춤), 조정(調整), 조화(調和)

  8. 열흘 순(旬) : 勹: 쌀 포 日: 날 일
    싸인(勹) 날(日)들은?
    한 덩어리로 싸인 날들은 ‘열흘’이지요.
    예시 : 상순(上旬), 중순(中旬), 하순(下旬)

  • 상순(上旬): 한 달 가운데 1일(초하루)에서 10일까지의 동안. 중순(中旬): 한 달 가운데 11일에서 20일까지의 동안. 하순(下旬): 한 달 가운데 21일에서 말일(그믐날)까지의 동안.
  1. 말씀 어(語) : 言: 말씀(말) 언 吾: 나 오
    말(言)인데 내(吾)가 습득한 만큼 하는 것은?
    말인데 저마다 내가 습득한 만큼 하는 것은 ‘말씀(말)’이지요.
    예시 : 언어(言語: 말/ 음성이나 문자로 사상이나 감정을 전달하는 수단), 국어(國語), 단어(單語)

  2. 나 오(吾) : 五: 다섯 오 ㅁ: 입(말) 구
    다섯(五)으로 가리키며 하는 말(ㅁ)은?
    다섯 손가락으로 자기를 가리키며 하는 말은 ‘나’이지요.
    예시 : 오비삼척(吾鼻三尺)

  • 오비삼척(吾鼻三尺): 내 코가 석 자/ 내 콧물이 석 자나 흘러내려 남의 사정을 돌볼 겨를이 없음

DAY14

  • '24.10.08.(화) ~ '치, 츠, 토'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地球(땅 지, 공 구)ちきゅう지구
昼食(낮 주, 밥 식)ちゅうしょく중식, 점심식사
貯金(쌓을 저, 쇠 금)ちょきん저금
直接(곧을 직, 이을 접)ちょくせつ직접
通勤(통할 통, 부지런할 근)つうきん통근
通知(알 지)つうち통지
通訳(통번역할 역)つうやく통역
疲れ(피곤할 피)つかれ피로
疲れるつかれる피곤하다
伝える(전할 전)つたえる전하다
伝わるつたわる전해지다, 알려지다
包む(쌀 포)つつむ싸다, 포장하다
続き(계속 속)つづき계속, 연결
勤めるつとめる근무하다
詰める(물을 힐, 꾸짖을 힐)つめる채우다, 채워넣다
到着(이를 도, 붙을 착)とうちゃく도착
通り過ぎる(통할 통, 지날 과)とおりすぎる통과하다, 지나가다
得意(얻을 득, 뜻 의)だとくいだ자신이 있다, 잘하다
伝言(전할 전, 말씀 언)でんごん전언
停電(머무를 정, 번개 전)ていでん정전

DAY14 필수한자

  1. 공 구(球) : 王: 구슬 옥 求: 구할(짐승가죽) 구
    구슬(王)인데 짐승가죽(求)으로 만든 것은?
    구슬인데 짐승가죽으로 만든 것은 ‘공’이지요.
    예시 : 구(球: 공같이 생긴 둥근 물체), 축구(蹴球 *蹴·2급·찰 축), 야구(野球)

  2. 낮 주(晝, 신자체 : 昼) : 聿: 붓 율 旦: 모양
    붓(聿) 들기 좋게 해가 뜬(旦) 때는?
    붓 들기 좋게 해가 뜬 때는 ‘낮’이지요.
    속자로 위쪽의 聿을 尺(자 척)으로 바꾼 형태(昼)가 있는데, 일본 신자체와 중국 간체자에서는 이 형태를 정식으로 채택했다.
    예시 : 백주(白晝: 환한 낮), 주간(晝間), 주야(晝夜)

  3. 자 척(尺) : 尸: 주검(몸) 시 \ : 모양
    몸(尸)의 무릎길이()는?
    몸의 무릎길이는 한 ‘자’이지요.

    예시 : 1척(一尺: 한 자/ 약 30cm), 척도(尺度)

  • 무릎길이: 무릎마디에서부터 발뒤축까지의 길이.
  • ‘尺’은 길이측정기구인 ‘자’를 뜻하기도 합니다.
  1. 쌓을 저(貯) : 貝: 조개(돈) 패 宁: 쌓을 저
    돈(貝)을 쌓는(宁) 것은?
    돈을 쌓는 것은 ‘쌓음‘이지요.
    예시 : 저축(貯蓄: 쌓음), 저금(貯金), 저장(貯藏)

  2. 쌓을 저(宁) :
    지붕(宀)과 들보(ㅡ)를 기둥(亅) 위에 올리는 것은?
    지붕과 들보를 기둥 위에 올리는 것은 ‘쌓음’이지요.

  3. 이을 접(接) : 扌: 손 수 妾: 첩(계집종) 첩
    손(扌)으로 계집종(妾)이 하는 것은?
    손으로 계집종이 하는 것은 일거리에 손을 ‘이음’이지요.
    첩(妾)을 가까이 두고 수발(手)을 들게 하였다는 데서 '접대하다', '접하다'라는 뜻이 생겨났다는 회의자식의 풀이도 볼 수 있다.
    예시 : 접촉(接觸: 이어서 닿음), 접착(接着), 접합(接合), 간접(間接), 접대(接待), 직접(直接)

  4. 알 지(知) : 矢: 화살 시 口: 입 구
    화살(矢)처럼 입(口)으로 맞히는 것은?
    목표물을 맞히는 화살처럼 입으로 정답을 맞히는 것은 ‘앎’이지요.
    예시 : 지식(知識: 아는 것/ 어떤 대상에 대하여 알게 된 명확한 이해나 인식), 지능(知能), 인지(認知)

  5. 번역할 역(譯, 신자체 : ) : 言: 말씀(말) 언 睪: 엿볼 역
    말(言)을 엿보며(睪) 하는 것은?
    말을 사전 따위에서 엿보며 하는 것은 ‘번역함’이지요.
    에시 : 번역(飜譯: 한 나라의 말을 다른 나라의 말로 옮김), 통역(通譯), 직역(直譯)

  6. 피곤할 피(疲) : 疒: 병들어 기댈(병) 녁 皮: 가죽 피
    병(疒)이 가죽(皮)에 나는 것은?
    병이 가죽에 나는 것은 몸이 ‘피곤함’이지요.

  7. 전할 전(傳, 신자체 : 伝) : 亻: 사람 인 專: 오로지(실뭉치) 전
    사람(亻)이 실뭉치(專)에 실을 감는 것은?
    사람이 실뭉치에 실을 감는 것은 실뭉치에 실을 ‘전함’이지요.

  8. 이을 속(續, 신자체 : 続) : 糸: 실 사 賣: 팔 매
    실(糸)을 팔기(賣) 위해 하는 것은?
    실을 팔기 위해 하는 것은 실을 길게 ‘이음’이지요.
    예시 : 계속(繼續: 이음), 연속(連續), 지속(持續)

  9. 물을/꾸짖을 힐(詰) :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吉(길할 길)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어에서는 훈독해 (틈을) 메꾸다, 막다, 닫다 등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예시 : 힐난(詰難), 힐문(詰問), 힐주(詰誅), 힐책(詰責)

  10. 이를 도(到) : 至: 이를 지 刂: 칼 도
    이르러(至) 칼(刂)처럼 박히는 것은?
    목표에 화살이 이르러 화살촉이 칼처럼 박히는 것은, 목표에 화살이 ‘이름’이지요.
    예시 : 도착(到着: 이르러 붙음), 도달(到達), 당도(當到)

  11. 얻을 득(得) : 彳: 조금 걸을(걸을) 척 旦: 아침 단 寸: 마디(손) 촌
    걸어(彳) 다니며 아침(旦)부터 손(寸)으로 하는 것은?
    걸어 다니며 부지런히 아침부터 손으로 하는 것은 세상에 널린 재물을 ‘얻음’이지요.
    예시 : 획득(獲得: 얻음), 취득(取得), 이득(利得)

  12. 머무를 정(停) : 亻: 사람 인 亭: 정자 정
    사람(亻)이 정자(亭)에서 하는 것은?
    사람이 정자에서 하는 것은 ‘머무름’이지요.
    예시 : 정류(停留: 머무름), 정지(停止), 정차(停車)

DAY15

  • '24.10.09.(수) ~ '토, 나'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動作(움직일 동, 지을 작)どうさ동작
当日(마땅 당)とうじつ당일
登場(오를 등, 마당 장)とうじょう등장
独身(홀로 독, 몸 신)どくしん독신
特長(특별할 특, 긴 장)とくちょう특별한 장점
独立(홀로 독)どくりつ독립
溶ける(녹을 용)とける녹다
閉じる(닫을 폐)とじる닫다,(눈을)감다
突然(갑자기 돌, 그럴 연)とつぜん돌연
怒鳴る(성낼 노, 울 명)どなる고함치다
飛ぶ(날 비)とぶ날다
泊(ま)る(머무를 박)とまる묵다, 숙박하다
取(り)消す(취할 취, 사라질 소)とりけす취소하다
努力(힘쓸 노)どりょく노력
内緒(안 내, 실마리 서)ないしょ비밀, 은밀함
内容(얼굴 용)ないよう내용
流れる(흐를 유)ながれる흐르다
泣く(울 읍)なく울다
慰める(위로할 위)なぐさめる위로하다
投げる(던질 투)なげる던지다
-なだらか완만함
懐かしい(품을 회)なつかしい그립다
涙(눈물 루)なみだ눈물
波(물결 파)なみ파도, 물결

DAY15 필수한자

  1. 홀로 독(獨, 신자체 : 独) : 犭: 개 견 蜀: 애벌레 촉
    개(犭)가 애벌레(蜀)처럼 된 것은?
    개가, 어릴 때부터 홀로 사는 애벌레처럼 된 것은 ‘홀로’이지요.
    예시 : 독거(獨居: 홀로 삶), 독립(獨立), 고독(孤獨)

  2. 특별할 특(特) : 牛: 소 우 寺: 절(관청) 사
    소(牛)를 관청(寺)이 잡는 것은?
    소를 관청 사람들이 잡아 고사를 지내는 것은 고을의 상황이 ‘특별함’이지요.
    예시 : 특별(特別: 보통과 아주 다름), 특수(特殊), 특이(特異)

  3. 녹을 용(溶) :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容(얼굴 용)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영어로 풀어쓰자면 溶은 solve, 鎔(=熔)은 melt이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溶으로 통일되어 있다.
    예시 : 용매(溶媒), 빈용매(貧溶媒), 양용매(良溶媒), 용매제(溶媒劑), 용명(溶明), 용암(溶暗), 용액(溶液)

  4. 닫을 폐(閉) : 門: 문 문 才: 모양
    문(門)의 빗장(-)을 빗장걸이(|)에 걸고 막대(/)를 꽂는 것은?
    문의 빗장을 빗장걸이에 걸고 막대를 빗장과 빗장걸이의 구멍에 꽂는 것은 문을 ‘닫음’이지요.

  1. 갑자기 돌(突) : 穴: 굴(구멍) 혈 犬: 개 견
    굴(穴)에서 개(犬)가 튀어나오는 것은?
    굴이나 구멍에서 개가 튀어나오는 것은 ‘갑자기’이지요.
    예시 : 돌출(突出: 갑자기 나옴), 돌연(突然), 돌발(突發)

  2. 성낼 노(怒) : 奴: 종 노 心: 마음 심
    종(奴)이 마음(心)으로 하는 것은?
    종이 마음속으로 하는 것은 ‘성냄’이지요.
    예시 : 분노(憤怒: 분하여 성냄), 격노(激怒), 노기(怒氣)

  3. 실마리 서(緖) : 糸: 실 사 者: 놈(사람) 자
    실(糸)에서 사람(者)이 찾는 것은?
    실에서 사람이 찾는 것은 ‘실마리’이지요.
    예시 : 두서(頭緖: 실마리/ 일의 단서), 단서(端緖)
    🧶 실마리: 실의 머리

  1. 울 읍(泣)
    泣.3급 氵: 물 수 立: 설 립
    물(氵)이 서는(立) 것은?
    눈물이 얼굴에서 서는 것은 ‘욺’이지요.

    예시 : 감읍(感泣: 감격하여 욺), 읍소(泣訴)

  2. 위로할 위(慰) : 尉: 벼슬 위 心: 마음 심
    벼슬(尉)하는 이가 마음(心)을 달래주는 것은?
    벼슬하는 이가 병사들의 마음을 달래주는 것은 ‘위로함’이지요.
    예시 : 위로(慰勞: 따뜻한 말이나 행동으로 괴로움을 덜어 줌), 위안(慰安), 위문(慰問)

  3. 벼슬 위(尉) : 尸: 주검(몸) 시 示: 보일(제단) 시 寸: 마디(손) 촌
    몸(尸)을 제단(示)에 손(寸)으로 올리는 이가 하는 것은?
    제물의 몸을 제단에 손으로 올리는 이인 장수(將帥)가 하는 것은 ‘벼슬’이지요.
    예시 : 소위(少尉), 중위(中尉), 대위(大尉)

  4. 던질 투(投) : 扌: 손 수 殳: 몽둥이/창 수
    손(扌)에 창(殳)을 들고 하는 것은?
    손에 창을 들고 하는 것은 창을 ‘던짐’이지요.
    예시 : 투창(投槍: 창을 던짐 *槍·1급·창 창), 투기(投棄)

  5. 품을 회(懷) : 忄: 마음 심 褱: 품을 회
    마음(忄)속에 품는(褱) 것은?
    마음속에 어떤 생각을 품는 것은 ‘품음’이지요.
    예시 : 회포(懷抱: 마음속에 품은 생각이나 정), 회의(懷疑), 회유(懷柔)

  6. 품을 회(褱) : 衣: 옷 의 罒: 눈 목 氺: 물 수
    옷(衣)에 눈(罒)물(氺)을 떨구는 이에게 하는 것은?
    옷에 눈물을 떨구는 이에게 하는 것은 따뜻하게 ‘품음’이지요.
    👫 품다: 1. 품속에 넣다 2. 가슴에 대어 안다

  7. 눈물 루(淚) : 氵: 물 수 戾: 어그러질 려
    물(氵)인데 어그러질(戾) 때 나는 것은?
    물인데 어떤 일이 어그러질 때 나는 것은 ‘눈물’이지요.
    예시 : 누액(淚液: 눈물), 혈루(血淚), 최루탄(催淚彈)

  8. 어그러질 려(戾) : 戶: 집 호 犬: 개 견
    집(戶)에서 개(犬)가 나오면?
    집에서 개가 튀어나오면 행인의 경로가 ‘어그러짐’이지요.
    🐕🏡* 어그러지다: 계획이나 예상 따위가 빗나가 틀어지다.

  9. 물결 파(波) : 氵: 물 수 皮: 가죽 피
    물(氵)의 가죽(皮)에 생기는 것은?
    물의 가죽에 생기는 것은 ‘물결’이지요.

  10. 배 댈/머무를 박(泊) : 氵: 물 수 白: 흰(박을) 백
    물(氵)에서 배를 박는(白) 것은?
    물에서 어떤 곳에 배를 박는 것은 ‘배 댐’이지요.
    예시 : 정박(碇泊: 닻을 내려 배를 댐 *碇·1급·닻 정), 숙박(宿泊), 외박(外泊)

DAY16

  • '24.10.10.(목) ~ '나, 니, 누, 네, 노, 하'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成る可く(이룰 성, 옳을 가)なるべく가능한 한, 되도록
似合う(닮을 사, 합할 합)にあう어울리다, 잘 맞다
握る(쥘 악)にぎる쥐다, 장악하다
逃げる(도망할 도)にげる도망치다
荷物(멜 하, 물건 물)にもつ짐, 화물
根(뿌리 근)(식물)뿌리
願う(원할 원)ねがう원하다, 바라다
熱心だ(더울 열)ねっしんだ열심이다
眠る(잘 면)ねむる잠자다
農業(농사 농)のうぎょう농업
延ばす(늘일/끌 연)のばす연기하다, 연장하다
葉(잎 엽)잎, 잎사귀
歯(이 치)이, 이빨
~倍(곱 배)~ばい
配達(나눌 배, 통달할 달)はいたつ배달
生えるはえる(풀, 이, 머리 등이) 나다
測るはかる재다, 달다
発見(필/쏠 발)はっけん발견
発生はっせい발생
発展(필/쏠 발, 펼 전)はってん발전
発表(겉 표)はっぴょう발표
話しかける(말씀 화)はなしかける말을 걸다
離す(떠날 리, 산신 리)はなす떼다, 간격을 벌리다

DAY16 필수한자

  1. 헤아릴 측(測) : 氵: 물 수 則: 법칙 칙
    물(氵)을 법칙(則)대로 재는 것은?
    물의 양을 정해진 법칙대로 재는 것은 ‘헤아림’이지요.
    예시 : 측정(測定: 헤아려 정함), 측량(測量), 계측(計測)

  2. 통달할 달(達)
    達.4급Ⅱ 土: 모양 羊: 양 양 辶: 갈 착
    사람(土)이 양(羊)을 몰아가는(辶) 것은?
    사람이 양떼를 길에서 몰아가는 것은 길을 ‘통달함’이지요.
    예시 : 통달(通達: 막힘없이 환히 통함), 도달(到達), 전달(傳達)

  3. 떠날 리(離) : 离: 짐승 리 隹: 새 추
    짐승(离)이 다가올 때 새(隹)가 하는 것은?
    짐승이 다가올 때 새가 하는 것은 ‘떠남’이지요.
    예시 : 이륙(離陸: 뭍을 떠남), 이탈(離脫), 이별(離別)

  4. 필 발(發, 신자체 : 発) : 癶: 나아갈 발 弓: 활 궁 殳: 몽둥이/창 수
    활(弓)이나 창(殳)을 나아가게(癶) 하는 것은?
    ‘發’은 활이나 창을 나아가게 하는 것인 ‘쏨’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의미가 확장되어 ‘핌’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5. 펼 전(展) : 尸: 몸 시 ++ : (양손)의 이형 : 衣(옷 의)의 이형
    몸(尸)을 굽히고 양손(++)으로 접힌 옷(衣)에 하는 것은?
    몸을 굽히고 양손으로 위쪽과 왼쪽이 접힌 옷에 하는 것은 옷을 ‘폄’이지요.
    예시 : 전개(展開: 펴서 엶), 전시(展示), 발전(發展)

  6. 곱 배(倍) : 亻: 사람 인 咅: 가를 부
    사람(亻)이 가르면(咅) 생기는 것은?
    사람이 무엇을 가르면 생기는 것은 ‘곱(곱절)’이지요.

  7. 가를 부(咅) :
    사람(ㅊ)이 땅(一)에 구역(ㅁ)을 정하는 것은?
    사람이 땅에 구역을 정하는 것은 땅을 ‘가름’이지요.

  8. 이 치(齒, 신자체 : 歯) 止: 그칠 지 |ㅅㅅ|ㅅㅅ| : 모양
    그쳐(止) 있는 이(|ㅅㅅ|ㅅㅅ|)는?
    뿌리가 잇몸에 그쳐 있는 이는 ‘이’이지요.

  9. 잘 면(眠) : 目: 눈 목 民: 백성 민
    눈(目)을 백성(民)처럼 안 보이게 하는 것은?
    눈을 백성처럼 안 보이게 하는 것은 눈을 감고 ‘잠’이지요.
    눈을 꼬챙이로 찔린 사람처럼 오랫동안 잠 속으로 빠진 상태를 그려냄. 잠시 앉아서 조는 것(睡, 잘 수)이 아니라 한밤중에 긴 잠을 자는 것을 면
    예시 : 수면(睡眠: 잠), 숙면(熟眠), 영면(永眠)

    민사소송법을 한자로 하면 民事訴訟法인데 하도 과목이 지루하고 졸린지라, 법대생들 가운데선 백성 민(民) 자 왼쪽에 눈 목(目)을 넣어 면사소송법(眠事訴訟法)이라고 농담하기도 한다.

  10. 잘 수(睡) : 目: 눈 목 垂: 드리울 수
    눈(目)을 드리우는(垂) 것은?
    눈꺼풀을 아래로 드리우는 것은 ‘잠’이지요. 누워서 자는 것이 아니라 눈 위의 눈꺼풀을 늘어뜨리고 잠시 졸음에 빠진 모양을 나타냄.
    예시 : 수면(睡眠: 잠), 혼수(昏睡), 오수(午睡)

  11. 닮을 사(似) : 亻: 사람 인 以: 써 이
    사람(亻)이 쓰는(以) 모습은?
    사람이 괭이 따위의 도구를 쓰는 모습은 서로 ‘닮음’이지요.
    예시 : 유사(類似: 서로 비슷하거나 닮음), 근사(近似), 흡사(恰似)

  12. 쥘 악(握) :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음을 나타내는 屋(집 옥)이 합쳐진 형성자다.
    집처럼 손으로 꼭 쥐어야 하는 것을 나타냄
    예시 : 把握(파악), 掌握(장악), 握斧(악부), 握手(악수), 握力(악력)

  13. 원할 원(願) : 原: 근원 원 頁: 머리 혈
    근원(原)처럼 머리(頁)에서 계속 생각나는 것은?
    물이 계속 나오는 근원처럼 무엇이 머리에서 계속 생각나는 것은 그 무엇을 ‘원함’이지요.
    예시 : 원함(願함: 무엇을 바라거나 하고자 함), 염원(念願), 소원(所願)

  14. 농사 농(農) : 曲: 굽을 곡 辰: 별 진
    굽힌(曲) 채로 별(辰) 뜰 때까지 하는 일은?
    몸을 굽힌 채로 별 뜰 때까지 하는 일은 ‘농사’이지요.

DAY17

  • '24.10.11.(금) ~ '하, 히, 후'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速く(빠를 속)はやく빨리
早めに(이를 조)はやめに빨리, 일치감치
払う(떨칠 불)はらう내다, 지불하다
半日(반 반)はんにち반일, 한나절
-パンフレット팸플릿, 소책자
冷える(찰 랭/냉)ひえる차가워지다, 식다
比較(견줄 비, 견줄/비교할 교)ひかく비교
引(き)受ける(끌 인, 받을 수)ひきうける(일, 역할을)떠맡다
低い(낮을 저)ひくい낮다
-ぴったり딱 들어맞음
表面(겉 표, 낯 면)ひょうめん표면
~秒(분초 초)~びょう
夫婦(지아비 부, 며느리 부)ふうふ부부
深い(깊을 심)ふかい깊다
拭く(씻을/닦을 식)ふく닦다
複雑(겹칠 복, 섞일 잡)だふくざつだ복잡하다
復習(회복할 복, 익힐 습)ふくしゅう복습
複数(겹칠 복, 셀 수)ふくすう복수(둘 이상의 수)
防ぐ(막을 방)ふせぐ막다, 방어하다
普通(넓을 보, 통할 통)ふつう보통
物価(물건 물, 값 가)ぶっか물가
打付ける(칠 타, 부칠 부)ぶつける부딪히다, 맞부딪히다
沸騰(끓을 비, 오를 등)ふっとう끓어오름, 비등

DAY17 필수한자

  1. 떨칠 불(拂, 신자체 : 払) : 扌: 손 수 弗: 아닐(떨어버릴) 불
    손(扌)으로 떨어버리는(弗) 것은?
    손으로 무엇을 떨어버리는 것은 ‘떨침’이지요.
    예시 : 불식(拂拭: 먼지 따위를 떨치고 닦음 *拭·1급·닦을 식), 지불(支拂), 환불(還拂)

  2. 찰 랭(冷) : 冫: 얼음 빙 令: 하여금(명령) 령
    얼음(冫)같이 명령(令)은?
    얼음같이 윗사람의 명령은 아랫사람에게 ‘참’이지요.

  3. 견줄 교(較) : 車: 수레(차) 차 交: 사귈(교차할) 교
    차(車)가 교차할(交) 때 하는 것은?
    차가 교차할때 하는 것은 내 차와 남의 차를 ‘견줌’이지요.

  4. 끌 인(引) : 弓: 활 궁 ㅣ: 모양
    활(弓)의 시위(ㅣ)를 벌리는 것은?
    활의 시위를 벌리는 것은 시위를 ‘끎’이지요.
    예시 : 견인(牽引: 끌어당김), 인상(引上), 인하(引下)

  5. 낮을 저(低) : 亻: 사람 인 氐: 근본(밑) 저
    사람(亻)이 밑(氐)에 있는 것은?
    사람이 밑에 있는 것은 계급 따위가 ‘낮음’이지요.

    예시 : 저급(低級: 급이 낮음), 저질(低質), 저렴(低廉)

  6. 초 초(秒) : 禾: 벼 화 少: 적을 소
    벼(禾)의 적은(少) 까끄라기 같은 초침이 가리키는 것은?
    벼의 적은 까끄라기 같은 초침이 가리키는 것은 ‘초’이지요.

    🌾🌾 까끄라기: 벼, 보리 따위의 낟알 껍질에 붙은 깔끄러운 수염.

  • ‘秒’는 ‘까끄라기 묘’라고도 합니다.
  1. 아내 부(婦) : 女: 여자 녀 帚: 비 추
    여자(女)인데 비(帚)를 드는 이는?
    여자인데 비를 들어 청소하는 이는 ‘아내’이지요.
    예시 : 부인(婦人: 아내가 된 사람), 주부(主婦), 신부(新婦)
  • ‘婦’는 ‘며느리 부’라고도 합니다.
  1. 비 추(帚) :

  2. 깊을 심(深) : 氵: 물 수 罙: 깊을 심
    물(氵)이 깊은(罙) 것은?
    물이 깊은 것은 ‘깊음’이지요.
    예시 : 심화(深化: 정도나 경지가 깊어짐), 심층(深層), 심해(深海)

  3. 씻을/닦을 식(拭) :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음을 나타내는 式(법 식)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법칙 같이 손을 관리하는 법은 손을 씻고 닦음

  4. 섞일 잡(雜, 신자체 : 雑)
    雜.4급 ㅊㅊ : 衣(옷 의)의 이형 木: 나무 목 隹: 새 추
    옷(ㅊㅊ)처럼 나무(木)에 새(隹)들이 모이는 것은?
    옷처럼 알록달록하게 나무에 여러 새들이 모이는 것은 ‘섞임’이지요.

  5. 겹칠 복(複) : 衤: 옷 의 复: 풀무 복
    옷(衤)이 풀무(复)에서 하는 것은?
    ‘옷’이, 즉 ‘공기주머니’가 풀무에서 하는 것은 ‘겹침’이지요.
    예시 : 중복(重複: 겹침), 복합(複合), 복식(複式)

  6. 셈 수(數, 신자체 : 数) : 婁: 겹칠 루 攵: 칠 복
    쳐서(攵) 겹치는(婁)것은?
    돈꿰미의 돈을 하나씩 여자가 쳐서 겹치는 것은 돈을 ‘셈’이지요.
    예시 : 수학(數學), 수치(數値), 개수(個數)

  7. 넓을 보(普) : 並: 나란히 병 日: 날(해) 일
    나란히(並) 햇(日)살이 퍼지는 범위는?
    나란히 햇살이 퍼지는 범위는 온 세상을 비출 만큼 ‘넓음’이지요.
    예시 : 보편(普遍: 넓게 두루 미침), 보급(普及), 보통(普通)

  8. 나란히 병(竝) : 立: 설 립 立: 설 립
    둘이 서 있는 모습(竝)은?
    둘이 가지런하게 서 있는 모습은 ‘나란히’이지요.
    예시 : 병렬(竝列: 나란히 늘어섬), 병립(竝立), 병행(竝行)

  9. 칠 타(打) : 扌: 손 수 丁: 넷째 천간(못) 정
    손(扌)으로 못(丁)질을 하는 것은?
    손으로 못질을 하는 것은 못을 ‘침’이지요.
    예시 : 타격(打擊: 침), 강타(強打), 난타(亂打)

  10. 끓을 비, 용솟음할 불(沸) :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弗(아닐 불)이 합쳐진 형성자
    끓어서 물이 아니게 되어버린 것을 나타냄
    예시 : 비등(沸騰), 비탕(沸湯)

DAY18

  • '24.10.12.(토) ~ '후, 헤, 호, 마'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部分(떼 부, 나눌 분)ぶぶん부분
不満(찰 만)ふまん불만
-ふらふら비틀비틀, 휘청휘청
-ぶらぶら어슬렁어슬렁, 빈둥빈둥
振る(떨칠 진)ふる흔들다
文章(글 장)ぶんしょう문장
分類(무리 류)ぶんるい분류
平均(평평할 평, 고를 균)へいきん평균
平日へいじつ평일
別別べつべつ따로따로
-ぺらぺら줄줄, 술술
変化(변할 변, 될 화)へんか변화
方角(모 방, 뿔 각)ほうがく방위, 방향
方向(향할 향)ほうこう방향
報告(갚을/알릴 보, 고할 고)ほうこく보고
方法(법 법)ほうほう방법
法律(법칙 률)ほうりつ법률
訪問(찾을 방, 물을 문)ほうもん방문
吠える(짖을 폐)ほえる짖다
募集(모을 모, 모을 집)ぼしゅう모집
干す(방패 간, 마를 건)ほす말리다
翻訳(날 번/뒤칠 번, 통번역할 역)ほんやく번역
曲げる(굽을 곡)まげる굽히다, 구부리다
交ざるまざる섞이다
貧しい(가난할 빈)まずしい가난하다

DAY18 필수한자

  1. 떼 부(部) : 咅: 가를 부 阝: 고을 읍
    갈라놓은(咅) 고을(阝)에서 사는 이들은?
    다른 곳들과 갈라놓은 고을에서 사는 이들은 ‘떼’이지요.
    예시 : 부족(部族: 떼로 사는 겨레), 부류(部類), 부분(部分)

  2. 찰 만(滿) : 氵: 물 수 㒼: 평평할 만
    물(氵)로 평평해지는(㒼) 것은?
    물로 어떤 곳이 평평해지는 것은 물이 ‘참’이지요.
    예시 : 만수(滿水: 물이 참), 만조(滿潮), 충만(充滿)

  3. 떨칠 진(振) : 扌: 손 수 辰: 별 진
    손(扌)재주가 별(辰)처럼 빛나면?
    손재주가 별처럼 빛나면 위세나 명성 따위를 ‘떨침’이지요.
    예시 : 진흥(振興: 떨쳐 일으킴), 진작(振作), 부진(不振)
    🦾🤴* 떨치다: 위세나 명성 따위를 널리 알려지다

  4. 별 진/ 때 신(辰) :
    언덕(厂) 밑에서 나오는 반짝이는() 것은?
    언덕 밑에서 나오는 반짝이는 것은 ‘별’이지요.

    예시 : 성신(星辰: 많은 별), 생신(生辰)

  • ‘辰’은 별을 보고 헤아리는 것인 ‘때’를 뜻하여, ‘때 신’이라고도 합니다.
  1. 글 장(章) : 音: 소리(말소리) 음 十: 열(여러) 십
    말소리(音) 여러(十) 개를 써놓은 것은?
    말소리 여러 개를 써놓은 것은 ‘글’이지요.
    예시 : 문장(文章: 글월), 인장(印章), 견장(肩章)

  2. 고를 균(均) : 土: 흙 토 勻: 고를 균
    흙(土)이 고른(勻) 것은?
    흙이 고른 것은 ‘고름’이지요.
    예시 : 균등(均等: 고르고 가지런하여 차이가 없음), 균형(均衡), 평균(平均)

  • ‘均’은 ‘勻’이 다른 뜻으로도 쓰이자, 후에 ‘土’를 덧붙여 원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1. 고를 균(勻) : 勹: 쌀 포 二: 두 이
    싸인(勹) 흙덩이를 둘(二)로 가르면?
    싸인 흙덩이를 둘로 가르면 흙의 높낮이나 크기나 양 따위가 ‘고름’이지요.

  2. 향할 향(向) : 宀: 집 면 ㅁ: 모양
    집(宀)의 입구(ㅁ)를 정할 때 고려하는 것은?
    집의 입구를 정할 때 고려하는 것은 ‘향함’이지요. 집이 남향이냐 동향이냐 할 때의 향
    예시 : 향함(向함: 어느 한쪽을 정면이 되게 함), 방향(方向), 남향(南向)

  3. 법 률(律) : 彳: 조금 걸을(걸을) 척 聿: 붓 율
    걷다가(彳) 보도록 붓(聿)으로 써놓은 것은?
    걷다가 국민들이 보도록, 길거리에 붓으로 써놓은 것은 ‘법(法)’이지요.
    예시 : 법률(法律: 법/ 국민이 따라야 하는 강제적인 규범), 규율(規律), 율령(律令)

  4. 찾을 방(訪) : 言: 말씀(말) 언 方: 모(방) 방
    말(言)을 방(方) 앞에서 하는 것은?
    “안에 개똥이 있는가?”처럼 말을 방 앞에서 하는 것은 누구를 ‘찾음’이지요.
    예시 : 방문(訪問: 찾아가서 안부 따위를 물음), 탐방(探訪), 순방(巡訪)

  5. 짖을 폐(吠) : 입 구 + 개 견
    형성자 그대로 개가 입으로 하는것은 짖음이지요.

  6. 뒤칠 번(飜, 신자체 : 翻) : 番: 차례 번 飛: 날 비
    차례(番)대로 날(飛) 때 하는 것은?
    차례대로, 새가 날 때 하는 것은 날개를 ‘뒤침’이지요.

    예시 : 번복(飜覆: 뒤침/ 뒤집음), 번역(飜譯)

  • 뒤치다: 뒤로 젖히다.
  1. 굽을 곡(曲) :
    광주리(曲)의 모양은?
    대를 엮어 만든 광주리의 모양은 ‘굽음’이지요.

    예시 : 곡면(曲面: 굽은 면), 곡선(曲線), 굴곡(屈曲)

  2. 가난할 빈(貧) : 分: 나눌 분 貝: 조개(재물) 패
    재물(貝)을 나누면(分)?
    재물을 나누면 자기 몫이 적어지니 ‘가난함’이지요.
    예시 : 빈곤(貧困: 가난하여 괴로움), 빈궁(貧窮), 극빈(極貧)

DAY19

  • '24.10.13.(일) ~ '마, 미, 무, 메, 모'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混ぜる(섞을 혼/오랑캐 곤)まぜる섞다
待ち合(わ)せるまちあわせる시간, 장소를 미리 정하고 만나기로 하다
豆(콩 두)まめ
守る(지킬 수)まもる지키다
迷う(미혹할 미)まよう망설이다, 헤매다
回す(돌아올 회)まわす돌리다, 회전시키다
満員(찰 만, 인원 원)まんいん만원
満足まんぞく만족
見送る(볼 견, 보낼 송)みおくる배웅하다
湖(호수 호)みずうみ호수
緑(초록빛 록, 푸를 록)みどり녹색
短い(짧을 단)みじかい짧다
身に付ける(부칠 부)みにつける익히다, 습득하다
~向き~むき~향
剥く·剝く(벗길 박)むく벗기다, 까다
結ぶ(맺을 결)むすぶ잇다, 매다, 묶다
命令(목숨 명, 하여금 령)めいれい명령
面倒臭い(낯 면, 넘어질 도, 냄새 취)めんどうくさい귀찮다
申込書(납 신, 담을 입, 글 서)もうしこみしょ신청서
燃える(불탈 연)もえる타다
申(し)込みもうしこみ신청
目的(눈 목, 과녁 적)もくてき목적

DAY19 필수한자

  1. 지킬 수(守) : 宀: 집 면 寸: 마디(손) 촌
    집(宀)에서 손(寸)으로 막는 것은?
    집에서 외부인 따위를 못 들어오게 손으로 막는 것은 집을 ‘지킴’이지요.

  2. 미혹할 미(迷) : 米: 쌀(팔방) 미 辶: 갈 착
    팔방(米)으로 왔다 갔다(辶) 하는 것은?
    팔방으로 왔다 갔다 하는 것은 ‘미혹함’이지요.
    예시 : 미혹(迷惑: 정신이 헷갈려 갈팡질팡 헤맴), 미로(迷路), 미아(迷兒)

  3. 인원 원(員) : ㅁ: 입 구 貝: 조개(재물) 패
    입(ㅁ)으로 재물(貝)을 바치라고 하는 이는?
    ‘員’은 입으로 재물을 바치라고 말하는 이인 ‘관원’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의미가 확장되어 ‘인원’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인원(人員: 단체를 이루고 있는 사람들), 관원(官員), 공무원(公務員)

  4. 보낼 송(送) : 关: 笑(웃음 소)의 이형 辶: 갈 착
    웃으며(关) 가게(辶) 하는 것은?
    웃으며 상대를 가게 하는 것은 상대를 먼 곳으로 ‘보냄’이지요.
    예시 : 송별(送別: 떠나는 이를 보냄), 송출(送出), 이송(移送)

  5. 호수 호(湖) : 氵: 물 수 古: 옛(오랠) 고 月: 달 월
    물(氵)인데 오랜(古) 세월(月) 고인 것은?
    물인데 오랜 세월 고인 것은 넓고 깊게 고인 물인 ‘호수’이지요.

  6. 푸를 록(綠) : 糸: 실 사 彔: 나무 깎을 록
    실(糸)인데 나무 깎을(彔) 때 나오는 것은?
    실인데 생나무 껍질을 깎을 때 나오는 것은 ‘푸름’이지요.

  7. 벗길 박(剝, 신자체 : 剥) : 뜻을 나타내는 刀(칼 도)와 소리를 나타내는 彔(새길 록)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나무에 칼로 새기기 위해서는 먼저 껍질을 벗겨야 하지요.
    예시 : 박리(剝離), 박제(剝製), 박탈(剝奪), 박탈감(剝奪感), 박편(剝片), 박피(剝皮)

  8. 넘어질 도(倒) : 亻: 사람 인 到: 이를 도
    사람(亻)한테 화살이 이르면(到)?
    사람한테 화살이 이르러 화살촉이 칼처럼 박히면 사람이 ‘넘어짐’이지요.
    예시 : 졸도(卒倒: 정신을 잃고 넘어짐), 타도(打倒), 압도(壓倒)

  9. 냄새 취(臭) : 自: 스스로(코) 자 犬: 개 견
    코(自)로 개(犬)가 잘 맡는 것은?
    코로 개가 잘 맡는 것은 ‘냄새’이지요.

  10. 込(담을 입) : 한국과 중국 등 다른 한자문화권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일본어 고유의 한자이다.
    이외에도 '신청'을 '신입(申込)'이라고 한다든가, 음반에 곡을 넣는 것을 '취입(吹込)'이라고 하는 식의 용례들은 전부 일본식 한자어이다.

  11. 글 서(書) : 聿: 붓 율 曰: 가로(말할) 왈
    붓(聿)으로 말(曰)을 써놓은 것은?
    붓으로 말을 써놓은 것은 ‘글’이지요.

DAY20

  • '24.10.14.(월) ~ '모, 야, 유, 요, 리'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目標(눈 목, 표할 표)もくひょう목표
物体無い(물건 물, 몸 체, 없을 무)もったいない아깝다
物語(물건 물, 말씀 어)ものがたり이야기
文句(글월 문, 글귀 구)もんく불평, 불만
焼く(불사를 소)やく굽다
訳する(통변할 역)やくする번역하다
家賃(품삯 임)やちん집세
薬局(약 약, 판 국)やっきょく약국
破れる(깨뜨릴 파)やぶれる찢어지다, 깨지다
郵便(우편 우, 편할 편)ゆうびん우편
-ユーモア유머
床(상 상)ゆか마루
行き先(다닐 행, 먼저 선)ゆきさき행선지
輸出(보낼 수)ゆしゅつ수출
輸入ゆにゅう수입
-ゆでる데치다, 삶다
緩い(느릴 완)ゆるい느슨하다, 헐렁하다
許す(허락할 허)ゆるす용서하다, 허락하다
容器ようき용기, 그릇
横(가로 횡)よこ옆, 가로
呼(び)掛ける(부를 호, 걸 괘)よびかける호소하다
予約(미리 예, 맺을 약)よやく예약
立派(설 립, 갈래 파)だりっぱだ훌륭하다, 뛰어나다
理由りゆう이유
流行(흐를 유, 다닐 행)りゅうこう유행

DAY20 필수한자

  1. 표할 표(標) : 木: 나무 목 票: 표 표
    나무(木)에 표(票)를 붙이는 것은?
    나무에 어떤 내용이 적힌 표를 붙이는 것은 ‘표함’이지요.

  2. 말씀 어(語) : 言: 말씀(말) 언 吾: 나 오
    말(言)인데 내(吾)가 습득한 만큼 하는 것은?
    말인데 저마다 내가 습득한 만큼 하는 것은 ‘말씀(말)’이지요.
    예시 : 언어(言語: 말/ 음성이나 문자로 사상이나 감정을 전달하는 수단), 국어(國語), 단어(單語)

  3. 불사를 소(燒) : 뜻을 나타내는 火(불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堯(요임금 요)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예시 : 소각(燒却), 소이탄(燒夷彈), 소주(燒酒), 연소(燃燒), 스키야키(鋤焼), 타코야키(蛸焼き)

  4. 품삯 임(賃) : 任: 맡길 임 貝: 조개(돈) 패
    맡기고(任) 주는 돈(貝)은?
    일을 맡기고 주는 돈은 ‘품삯’이지요.
    예시 : 임금(賃金: 품삯), 노임(勞賃), 운임(運賃)

  5. 판 국(局) : 尺 : 尺(자 척)의 이형 ㅁ: 모양
    자(尺)를 대고 네모(ㅁ)나게 그은 것은?
    자를 대고 네모나게 그은 것은 ‘판’이지요.
    예시 : 판국(판局: 판 또는 그 국면), 국면(局面), 형국(形局)

  6. 깨뜨릴 파(破) : 石: 돌 석 皮: 가죽 피
    돌(石)의 가죽(皮)을 벗기는 것은?
    돌의 가죽을 벗기는 것은 돌을 ‘깨뜨림’이지요.
    예시 : 파괴(破壞: 깨뜨려 헒), 타파(打破), 격파(擊破)

  7. 우편 우(郵) : 垂: 드리울 수 阝: 고을 읍
    드리우며(垂) 고을(阝)을 다니는 것은?
    시(市)→구(區)→동(洞)으로 드리우며 고을을 다니는 것은 ‘우편’이지요.

  8. 편할 편/ 똥오줌 변(便) : 亻: 사람 인 更: 고칠 경/다시 갱
    사람(亻)이 고치면(更)?
    사람이 잘못된 점을 고치면 일을 하기가 ‘편함’이지요.
    예시 : 편함(便함: 무엇을 하기가 쉽고 수월함), 편리(便利), 편안(便安)

  9. 상 상(床) : 广: 집 엄 木: 나무 목
    집(广) 안에 놓는 건데 나무(木)로 만든 것은?
    집 안에 놓는 건데 나무로 만든 것은 ‘상’이지요.

  10. 보낼 수(輸) : 車: 수레 차 兪: 대답할(배) 유
    수레(車)나 배(兪)로 하는 것은?
    수레나 배로 하는 것은 화물 따위를 목적지로 ‘보냄’이지요.
    예시 : 수송(輸送: 보냄), 수출(輸出), 수입(輸入)

  11. 느릴 완(緩) : 糸: 실 사 爰: 당길 원
    실(糸)이 당겨지는(爰) 것은?
    ‘緩’은 실이 당겨지는 것인 ‘느슨함’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의미가 발전하여 ‘느림’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이완(弛緩: 느슨함 *弛·1급·느슨할 이), 완화(緩和), 완급(緩急)

  12. 허락할 허(許) : 言: 말씀(말) 언 午: 낮 오
    말(言)인데 낮(午)처럼 밝게 해주는 것은?
    말인데 상대의 기분을 낮처럼 밝게 해주는 것은 ‘허락함’이지요.

  13. 걸 괘(掛) : 扌: 손 수 圭: 쌍토 규 卜: 점 복
    손(扌)으로 쌍토(圭) 같은 곳에 점(卜)괘를 다는 것은?
    손으로 쌍토같이 높은 곳에 점괘를 다는 것은 ‘걺’이지요.
    예시 : 괘종(掛鍾), 괘도(掛圖), 괘념(掛念)

  1. 갈래 파(派) : 氵: 물 수 𠂢: 갈라져 흐를 비
    물(氵)인데 갈라져 흐르는(𠂢) 것은?
    물인데 본류와 갈라져 흐르는 것은 ‘갈래’이지요.
    예시 : 유파(流派: 본류에서 흘러나온 갈래), 분파(分派), 파생(派生)

  2. 갈라져 흐를 비(𠂢) :

DAY21

  • '24.10.15.(화) ~ '리,루, 레, 와'로 시작하는 단어 위주
간지(한자)히라가나, 가타가나한국어 의미
~料(헤아릴 료(요))りょう~료
両替(두 량, 바꿀 체)りょうがえ환전
留守(머무를 유, 지킬 수)るす부재중
列(벌릴 렬(열))れつ열, 행렬
若い(같을 약, 반야 야)わかい젊다
別れる(다를 별, 나눌 별)わかれる헤어지다
分けるわける나누다
笑う(웃음 소)わらう웃다
割合(벨 할, 합할 합)わりあい비율
割引(벨 할, 끌 인)わりびき할인
割れるわれる갈라지다, 깨지다

DAY21 필수한자

  1. 같을 약(若) : 艹: 풀 초 右: 오른 우
    풀(艹)인데 오른(右)손으로 뽑는 것은?
    풀인데 오른손으로 골라 뽑는 것은 종류가 ‘같음’이지요.
    예시 : 만약(萬若: 만일 그와 같으면), 약간(若干), 명약관화(明若觀火)

    艹(풀 초)와 右(오른 우)로 구성되어 있지만, 원래는 艹와도 右와도 아무런 상관이 없다.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사람이 무릎을 꿇고 있는데, 머리 부분에 선 몇 가닥이 나 있고, 그 선들을 양손으로 감싸는 듯한 형상으로 그려져 있다.
    갑골문에서는 주로 '따르다', '~와 같다', '응낙하다'와 같은 의미로 쓰였으나, 이중 '따르다', '응낙하다'의 의미는 諾(허락할 낙)으로 넘어가고, 若은 주로 '~와 같다'의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이외에 일본에서는 주로 わか(い)라고 읽고 '젊다', 혹은 '어리다'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1. 두 량(兩) :
    천칭(兩)의 팔은?
    천칭의 팔은 ‘둘’이지요.
    예시 : 양팔(兩팔: 두 팔), 양측(兩側), 양극(兩極)
  • 천칭(天秤): 천(天)자 모양의 저울/ 양팔 저울
  1. 머무를 류(留) : 卯: 토끼(가를) 묘 田: 밭 전
    갈라서(卯) 밭(田)을 일군 곳에서 하는 것은?
    쟁기로 땅을 갈라서 밭을 일군 곳에서 하는 것은 사람이 ‘머무름’이지요.
    형성자로 뜻을 나타내는 田(밭 전)과 음(音)을 나타내는 卯(토끼 묘)로 이루어진 한자이다. 논밭이 있으면 그 곳에 머물러 경작에 종사하게 되므로 널리 머무르다는 뜻.
    예시 : 체류(滯留: 머무름), 잔류(殘留), 억류(抑留)

  2. 벌일 렬(列) : 歹: 앙상한 뼈 알 刂: 칼 도
    뼈(歹)를 칼(刂)로 바를 때 하는 것은?
    뼈를 칼로 바를 때 하는 것은 고기를 부위별로 ‘벌임’이지요.

    예시 : 나열(羅列: 죽 벌여놓음), 배열(配列), 진열(陳列)
    🗡🦴🔪🥩🍖* ‘列’은 뼈를 칼로 바르는 것은 뼈와 살 사이를 벌리는 것이라 하여, ‘벌릴 렬’이라고도 합니다

  3. 앙상한 뼈 알(歹) :
    🦴😇 ‘歹’은 앙상한 뼈가 나온 것은 죽은 것이라 하여 ‘죽음’을 뜻하기도 합니다.

  4. 다를 별(別) : ㅁ: 모양 ㅠ: 力(힘 력)의 이형 刂: 칼 도
    물건(ㅁ)에 힘(力)껏 칼(刂)질하여 만드는 것은?
    물건에 힘껏 칼질하여 만드는 것은 ‘다름’이지요.
    예시 : 별개(別個: 다른 것), 별도(別途), 분별(分別)

  • ‘別’은 물건에 힘껏 칼질하는 것은 물건을 나누는 것이라 하여, ‘나눌 별’이라고도 합니다.
profile
You matter, never give u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