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공부를 위한 기초 한자 공부 (840/1800) - 61 ~ 70일차

Kiwoong Park·2024년 8월 29일
0

한자를 외워보자

한자를 그림으로만 외우려니 한계가 있을 것 같아 기초 한자를 정리한 자료를 통해 조금 더 효율적으로 공부해보자
위키낱말사전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
중고등 필수한자 1800 - 네이버블로그
파고다 JLPT N3 최빈출 한자어휘 500자

1800단어로 150일간 나눠서 외운다고 치고 12자씩 정리해보자✍

8.27.화.(61일차)

  1. 当日(とうじつ - 당일) : 마땅 당(當)의 신자체(当), 날 일(日)

  2. 登場(とうじょう - 등장) : 오를 등(登), 마당 장(場)
    土: 흙(땅) 토 昜: 볕 양
    땅(土)인데 볕(昜)이 내리쬐는 곳은?
    땅인데 건물 따위가 없어 햇볕이 내리쬐는 곳은 ‘마당’이지요.
    예시 : 광장(廣場: 너른 마당), 운동장(運動場), 장소(場所)

  3. 到着(とうちゃく - 도착) : 이를 도(到), 붙을 착(着)
    至: 이를 지 刂: 칼 도
    이르러(至) 칼(刂)처럼 박히는 것은?
    목표에 화살이 이르러 화살촉이 칼처럼 박히는 것은, 목표에 화살이 ‘이름’이지요.
    예시 : 도착(到着: 이르러 붙음), 도달(到達), 당도(當到)

  4. 登録(とうろく - 등록) : 오를 등(登), 기록할 록(錄)의 신자체(録)
    金: 쇠 금 彔: 나무 깎을 록
    쇠(金)를 나무 깎듯이(彔) 깎는 것은?
    쇠를 나무 깎듯이 깎는 것은 쇠에 글 따위를 ‘기록함’이지요.
    예시 : 기록(記錄: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수록(收錄), 등록(登錄)

  5. 나무 깎을 록(彔) : 彑: 돼지 주둥이 계 木: 나무 목
    돼지 주둥이(彑)가 나무(木)에 하는 것은?
    멧돼지 주둥이가 나무(木→氺)에 하는 것은 ‘나무 깎음’이지요.

  6. 独身(どくしん - 독신) : 홀로 독(獨)의 신자체(独), 몸 신(身)
    犭: 개 견 蜀: 애벌레 촉
    개(犭)가 애벌레(蜀)처럼 된 것은?
    개가, 어릴 때부터 홀로 사는 애벌레처럼 된 것은 ‘홀로’이지요.

    예시 : 독거(獨居: 홀로 삶), 독립(獨立), 고독(孤獨)

  7. 特徴(とくちょう - 특징) : 특별할 특(特), 부를 징(徵)
    牛: 소 우 寺: 절(관청) 사
    소(牛)를 관청(寺)이 잡는 것은?
    소를 관청 사람들이 잡아 고사를 지내는 것은 고을의 상황이 ‘특별함’이지요.
    예시 : 특별(特別: 보통과 아주 다름), 특수(特殊), 특이(特異)

  8. 부를 징(徵) :
    예시 : 징집(徵集: 불러 모음), 징병(徵兵), 징발(徵發)

  9. 작을 미(微) :
    예시 : 미물(微物: 작은 물건 또는 동물), 미세(微細), 미천(微賤)

  10. 独立(どくりつ - 독립) : 홀로 독(獨), 설 립(立)

  11. 登山(とざん - 등산) : 오를 등(登), 산 산(山)

  12. 途中(とちゅう - 도중) : 길 도(途), 가운데 중(中)
    余: 나(집) 여 辶: 갈 착
    집(余)으로 갈(辶) 때 지나는 공간은?
    집으로 갈 때 지나는 공간은 ‘길’이지요.
    예시 : 도중(途中: 길의 중간), 중도(中途), 용도(用途)

8.28.수.(62일차)

  1. 나(집) 여(余) :
    지붕과 들보와 기둥과 받침대로 된 집에서 지내는 이는 ‘나’이지요.

  2. 努力(どりょく - 노력) : 힘쓸 노(努), 힘 력(力)
    奴: 종 노 力: 힘 력
    종(奴)이 힘(力)으로 하는 것은?
    종이 힘으로 하는 것은 온갖 일에 ‘힘씀’이지요.
    예시 : 노력(努力: 힘씀)

  3. 内緒(ないしょ - 비밀) : 안 내(內), 실마리 서(緖)
    糸: 실 사 者: 놈(사람) 자
    실(糸)에서 사람(者)이 찾는 것은?
    실에서 사람이 찾는 것은 ‘실마리’이지요.
    예시 : 두서(頭緖: 실마리/ 일의 단서), 단서(端緖)
    🧶🧵 실마리: 실의 머리

  4. 内容(ないよう - 내용) : 안 내(內), 얼굴 용(容)

  5. 中身(なかみ - 속, 알맹이, 내용물) : 가운데 중(中), 몸 신(身)

  6. 波(なみ - 파도) : 물결 파(波)

  7. 涙(なみだ - 눈물) : 눈물 루(淚)의 신자체(涙)
    氵: 물 수 戾: 어그러질 려
    물(氵)인데 어그러질(戾) 때 나는 것은?
    물인데 어떤 일이 어그러질 때 나는 것은 ‘눈물’이지요.
    예시 : 누액(淚液: 눈물), 혈루(血淚), 최루탄(催淚彈)

  8. 어그러질 려(戾) : 戶: 집 호 犬: 개 견
    집(戶)에서 개(犬)가 나오면?
    집에서 개가 튀어나오면 행인의 경로가 ‘어그러짐’이지요.
    😣😖😟 어그러지다: 계획이나 예상 따위가 빗나가 틀어지다.

  9. 荷物(にもつ - 짐) : 멜 하(荷), 만물 물(物)
    艹: 풀 초 亻: 사람 인 可: 옳을 가
    풀(艹)을 사람(亻)이 옳게(可) 동여서 하는 것은?
    풀을 사람이 옳게 동여서 하는 것은 ‘멤’이지요.
    예시 : 하역(荷役: 메서 나르는 일), 하중(荷重), 부하(負荷)

  10. 어찌 하(何) : 亻: 사람 인 可: 옳을 가
    사람(亻)이 옳아야(可) 함은?
    사람이 옳아야 함은 ‘어찌’이지요.
    🙋‍♂️🙋‍♀️특히 의문 표현으로 일본어 훈독인 '나니?'가 많이 사용된다.
    예시 : 기하(幾何), 육하원칙(六何原則), 하여간(何如間: 어찌 됐든지 간에), 하필(何必)

  11. 人間(にんげん - 인간) : 사람 인(人), 사이 간(間)

  12. 値段(ねだん - 가격) : 값 치(値), 층계/조각 단(段)
    亻: 사람 인 直: 곧을 직
    사람(亻)이 곧게(直) 재는 것은?
    사람이 구부러지거나 비뚤어지지 않고 곧게 재는 것은 ‘값’이지요.

8.29.목.(63일차)

  1. 층계/조각 단(段) :
    예시 : 계단(階段: 층계), 단계(段階)

  2. 根(ね - 뿌리) : 뿌리 근(根)
    木: 나무 목 艮: 그칠 간
    나무(木) 중 그쳐(艮) 있는 부분은?
    나무 중 땅에 그쳐 있는 부분은 ‘뿌리’이지요.
    예시 : 근본(根本: 뿌리/ 사물의 본질이나 본바탕), 근원(根源), 근저(根底)

  3. 年中(ねんじゅう - 연중) : 해 년(年), 가운데 중(中)

  4. 農業(のうぎょう - 농업) : 농사 농(農), 업 업(業)
    曲: 굽을 곡 辰: 별 진
    굽힌(曲) 채로 별(辰) 뜰 때까지 하는 일은?
    몸을 굽힌 채로 별 뜰 때까지 하는 일은 ‘농사’이지요.
    예시 : 농사(農事: 농작물을 생산하는 일), 농업(農業), 농경(農耕)

  5. 별 진(辰) :

    辰은 '별 진, 때 신'이라는 한자로, 별[1], 때, 다섯째 지지를 뜻하며, 십이지에서 辰은 용(龍)을 상징한다
    예시 : 진군(辰君), 진년(辰年), 진시(辰時), 진월(辰月), 갑진 (甲辰)

  6. 歯(は - 이, 치아) : 이 치(齒)의 신자체(歯)

    예시 : 치아(齒牙: 이), 치과(齒科), 치약(齒藥)

7.葉(は - 잎) : 잎 엽(葉)
艹: 풀 초 枼: 잎 엽
풀(艹)로 된 잎(枼)은?
풀로 된 잎은 ‘잎’이지요.
예시 : 활엽(闊葉: 넓은 잎 *闊·1급·넓을 활), 침엽(針葉), 낙엽(落葉)

  1. ~倍(~ばい ~배, ~곱절) : 곱 배(倍)
    亻: 사람 인 咅: 가를 부
    사람(亻)이 가르면(咅) 생기는 것은?
    사람이 무엇을 가르면 생기는 것은 ‘곱(곱절)’이지요.
    배(倍: 곱/ 곱절), 이배(二倍), 사배(四倍)

  2. 가를 부(咅) :

  3. 発生(はっせい - 발생) : 쏠/필 발(發)의 신자체(発), 날 생(生)
    癶: 나아갈 발 弓: 활 궁 殳: 몽둥이/창 수
    활(弓)이나 창(殳)을 나아가게(癶) 하는 것은?
    ‘發’은 활이나 창을 나아가게 하는 것인 ‘쏨’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의미가 확장되어 ‘핌’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발사(發射: 쏨), 개발(開發), 고발(告發), 남발(濫發), 도발(挑發), 발견(發見), 발굴(發掘), 발달(發達), 발산(發散), 발상(發想/發祥), 발암(發癌), 발전(發展/發電), 발표(發表)
    💡✍✒ ‘發’은 ‘쏘다(發射)’에서 ‘떠나다(出發)/나아가다(發展)/피다(發花)’로 의미가 확장되었답니다.

  4. 発展(はってん - 발전) : 쏠/필 발(發), 펼 전(展)

    예시 : 전개(展開: 펴서 엶), 전시(展示), 발전(發展)

  5. 発表(はっぴょう - 발표) : 쏠/필 발(發), 겉 표(表)
    衣: 옷 의 土: 흙 토
    옷(衣)에서 흙(土)이 묻는 쪽은?
    옷에서 흙이 묻는 쪽은 옷의 ‘겉’이지요.
    예시 : 표면(表面: 겉면), 표피(表皮), 표시(表示)

8.30.금.(64일차)

  1. 反対(はんたい - 반대) : 되돌릴 반(反), 대할 대(對)의 신자체(対)
    풀 무성할 착(丵)과 마디 촌(寸)

    🙋‍♂️🙋‍♀️🤞'대하다', '대답하다', '상대방'과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영어의 'Anti-' 접두사를 의미하는 한자이기도 하며 대공포, 대전차, 대인 지뢰 등의 '대'가 모두 이 한자를 쓴다.
    예시 : 대함(對함: 역으로 대립함), 대립(對立), 반대(反對)

  2. 販売(はんばい - 판매) : 팔 판(販), 팔 매(賣)의 신자체(売)
    🙋‍♂️✍売는 賣의 초서체에서 유래한 형태로, 가운데 부분인 罒(그물 망)이 단순화되어 冖(덮을 멱)으로 변하고 아래의 貝(조개 패)에서 目(눈 목)이 생략되고 八(여덟 팔)만 남은 것이 儿(어진사람 인)으로 변한 것이다. 예로부터 여러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두루 사용되었던 형태인데 일본에서는 이 형태를 표준으로 채택한 것이다.

  3. 比較(ひかく - 비교) : 견줄 비(比), 비교할 교(較)
    車: 수레(차) 차 交: 사귈(교차할) 교
    차(車)가 교차할(交) 때 하는 것은?
    차가 교차할때 하는 것은 내 차와 남의 차를 ‘견줌’이지요.

  4. 光(ひかり - 빛) : 빛 광(光)

  5. 否定(ひてい - 부정) : 아닐 부(否), 정할 정(定)
    宀: 집 면 正ㅅ: 正(바를 정)의 이형
    집(宀)을 바르게(正) 하는 것은?
    집을 바르게 하는 것은 물건의 자리를 ‘정함’이지요.
    예시 : 정함(定함: 선택하거나 판단하여 뜻을 굳힘), 선정(選定), 결정(決定)

  6. 表示(ひょうじ - 표시) : 겉 표(表), 보일 시(示)

  7. 表面(ひょうめん - 표면) : 겉 표(表), 낯 면(面)

  8. 風景(ふうけい - 풍경) : 바람 풍(風), 경치 경(景)

  9. 複数(ふくすう - 복수) : 겹칠 복(複), 셀 수(數)
    衤: 옷 의 复: 풀무 복
    옷(衤)이 풀무(复)에서 하는 것은?
    ‘옷’이, 즉 ‘공기주머니’가 풀무에서 하는 것은 ‘겹침’이지요.
    예시 : 중복(重複: 겹침), 복합(複合), 복식(複式)

  10. 袋(ふくろ - 주머니, 봉지) : 자루/부대 대(袋)

  11. 物価(ぶっか - 물가) : 만물 물(物), 값 가(價)의 신자체(価)

  12. 沸騰(ふっとう - 비등, 물이 끓음) : 끓을 비(沸), 오를 등(騰)
    끓을 비 : 물 수 + 아닐 불(弗)로 '끓다', '용솟음치다', '어지럽게 날다' 등의 뜻이다. 즉, 끓어서 물이 아니게 되어버린다고 생각 할 수 있다.

8.31.토.(65일차)

  1. 오를 등(騰) : 月: 고기(몸) 육 : 말 권 馬: 말 마
    몸(月)을 말아서() 말(馬) 위에 타는 것은?
    몸을 둥글게 말아서 말 위에 타는 것은 ‘오름’이지요.

  2. 布団(ふとん - 이불) : 베 포(布), 둥글 단(團)의 신자체(団)

    예시 : 마포(麻布: 삼베), 배포(配布), 유포(流布)
    🧵🤲 ‘布’는 손으로 천을 바닥에 편다 하여, ‘펼 포’라고도 합니다.

  1. 部分(ぶぶん - 부분) : 떼 부(部), 나눌 분(分)
    咅: 가를 부 阝: 고을 읍
    갈라놓은(咅) 고을(阝)에서 사는 이들은?
    다른 곳들과 갈라놓은 고을에서 사는 이들은 ‘떼’이지요.
    예시 : 부족(部族: 떼로 사는 겨레), 부류(部類), 부분(部分)

  2. 文章(ぶんしょう - 문장) : 글월 문(文), 글 장(章)
    音: 소리(말소리) 음 十: 열(여러) 십
    말소리(音) 여러(十) 개를 써놓은 것은?
    말소리 여러 개를 써놓은 것은 ‘글’이지요.
    예시 : 문장(文章: 글월), 인장(印章), 견장(肩章)

  3. 分類(ぶんるい - 분류) : 나눌 분(分), 무리 류(類)
    米: 쌀 미 犬: 개 견 頁: 머리 혈
    쌀(米)밥에 개(犬)가 머리(頁)를 대게 하는 대상은?
    쌀밥에 개가 머리를 대게 하는 대상은 같은 ‘무리’이지요.
    예시 : 동류(同類: 같은 무리), 부류(部類), 종류(種類)
    🐕🐩 개는 다른 무리의 개에게는 자기 밥에 머리를 못 대게 하지요.

  4. 平均(へいきん - 평균) : 평평할 평(平), 고를 균(均)
    土: 흙 토 勻: 고를 균
    흙(土)이 고른(勻) 것은?
    흙이 고른 것은 ‘고름’이지요.
    균등(均等: 고르고 가지런하여 차이가 없음), 균형(均衡), 평균(平均)
    📍📌✍ ‘均’은 ‘勻’이 다른 뜻으로도 쓰이자, 후에 ‘土’를 덧붙여 원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5. 고를 균(勻) : 勹: 쌀 포 二: 두 이
    싸인(勹) 흙덩이를 둘(二)로 가르면?
    싸인 흙덩이를 둘로 가르면 흙의 높낮이나 크기나 양 따위가 ‘고름’이지요.

  6. 変化(へんか - 변화) : 변할 변(變)의 신자체(変), 될 화(化)

    예시 : 변함(變함: 무엇이 다른 것이 되거나 또는 다른 성질로 달라짐), 변화(變化), 변천(變遷)

  7. 잇달 련 :

  8. 변화할 화(化) : 亻: 사람 인 匕: 모양
    산 사람(亻)이 죽은 사람(匕)이 되는 것은?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이 되는 것은 ‘변화함’이지요.

    예시 : 변화(變化: 성질, 모양, 상태 따위가 바뀌어 달라짐), 진화(進化), 퇴화(退化)
    🙋‍♂️🙋‍♀️ ‘化’는 무엇으로 변화하는 것은 무엇이 되는 것이라 하여, ‘될 화’라고도 합니다.

  9. 貿易(ぼうえき - 무역) : 무역할 무(貿), 바꿀 역(易)
    卯: 토끼(가를) 묘 貝: 조개(돈) 패
    갈라진(卯) 지역을 오가며 돈(貝)을 버는 것은?
    갈라진 지역을 오가며 돈을 버는 것은 ‘무역함’이지요.
    예시 : 무역(貿易: 서로 떨어진 지역을 오가며 물품을 매매하는 일)

  10. 쉬울 이/ 바꿀 역(易) : 日: 날(해) 일 勿: 모양
    햇(日)볕(勿)이 하는 것은?
    햇볕이 하는 것은 빛 줄기를 ‘쉽게’ ‘바꿈’이지요.

    예시 : 용이(容易: 쉬움), 교역(交易), 무역(貿易)

9.1.일.(66일차)

  1. 方向(ほうこう - 방향) : 모 방(方), 향할 향(向)
    宀: 집 면 ㅁ: 모양
    집(宀)의 입구(ㅁ)를 정할 때 고려하는 것은?
    집의 입구를 정할 때 고려하는 것은 ‘향함’이지요.

    예시 : 향함(向함: 어느 한쪽을 정면이 되게 함), 방향(方向), 남향(南向)

  2. 方法(ほうほう - 방법) : 모 방(方), 법 법(法)
    氵: 물 수 去: 갈 거
    물(氵) 흘러가듯(去) 정하는 것은?
    물 흘러가듯 순리대로 정하는 것은 ‘법’이지요.
    예시 : 법(法: 국가의 강제력을 수반하는 사회 규범), 법률(法律), 법규(法規)

  3. 갈 거(去) : 사람(土)이 굴방(厶)을 나가는 것은?
    사람이 굴방을 나가는 것은 ‘감’이지요.

    예시 : 거취(去就: 사람이 어디로 가거나 다니거나 하는 일), 거래(去來), 과거(過去)

  4. 訪問(ほうもん - 방문) : 찾을 방(訪), 물을 문(問)
    言: 말씀(말) 언 方: 모(방) 방
    말(言)을 방(方) 앞에서 하는 것은?
    “안에 개똥이 있는가?”처럼 말을 방 앞에서 하는 것은 누구를 ‘찾음’이지요.
    예시 : 방문(訪問: 찾아가서 안부 따위를 물음), 탐방(探訪), 순방(巡訪)

  5. 法律(ほうりつ - 법률) : 법 법(法), 법 률(律)
    彳: 조금 걸을(걸을) 척 聿: 붓 율
    걷다가(彳) 보도록 붓(聿)으로 써놓은 것은?
    걷다가 국민들이 보도록, 길거리에 붓으로 써놓은 것은 ‘법(法)’이지요.
    예시 : 법률(法律: 법/ 국민이 따라야 하는 강제적인 규범), 규율(規律), 율령(律令)

  6. 募集(ぼしゅう - 모집) : 모을 모(募), 모을 집(集)
    莫: 없을 막 力: 힘 력
    힘(力)쓸 이가 없을(莫) 때 하는 것은?
    힘쓸 이가 없을 때 하는 것은 힘쓸 이를 ‘모음’이지요.
    예시 : 모집(募集: 모음), 공모(公募), 응모(應募)

  7. 없을 막(莫) : 艹: 풀 초 日: 날(해) 일 大: 큰(사람) 대
    풀(艹) 밑으로 해(日)가 지면 사람(大)은?
    풀 밑으로 해가 지면 사람은 어두워서 볼 수 있는 게 ‘없음’이지요.

    예시 : 삭막(索莫), 막대(莫大), 막상막하(莫上莫下)

  8. 孫(まご - 손자) : 손자 손(孫)
    子: 아들 자 系: 이어 맬(이을) 계
    아들(子)을 잇는(系) 이는?
    아들을 잇는 이는 ‘손자’이지요.

  9. 이어 맬 계(系) :
    예시 : 계통(系統: 차례대로 이어져 있는 것), 계열(系列), 체계(體系)
    ⛓ ‘系’는 ‘잇다/매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10. 豆(まめ - 콩) : 콩 두(豆)

  11. 満足(まんぞく - 만족) : 찰 만(滿)의 신자체(満), 발 족(足)
    氵: 물 수 㒼: 평평할 만
    물(氵)로 평평해지는(㒼) 것은?
    물로 어떤 곳이 평평해지는 것은 물이 ‘참’이지요.
    예시 : 만수(滿水: 물이 참), 만조(滿潮), 충만(充滿)

  12. 평평할 만(㒼):

9.2.월.(67일차)

  1. 두 량(兩) : 천칭(兩)의 팔은?
    천칭의 팔은 ‘둘’이지요.

    양팔(兩팔: 두 팔), 양측(兩側), 양극(兩極)
    ⚖ 천칭(天秤): 천(天)자 모양의 저울/ 양팔 저울

  2. 湖(みずうみ - 호수) : 호수 호(湖)
    氵: 물 수 古: 옛(오랠) 고 月: 달 월
    물(氵)인데 오랜(古) 세월(月) 고인 것은?
    물인데 오랜 세월 고인 것은 넓고 깊게 고인 물인 ‘호수’이지요.

    예시 : 호수(湖水: 못이나 늪보다 훨씬 넓고 깊게 고인 물), 강호(江湖), 동정호(洞庭湖)

  3. 緑(みどり - 녹색, 초록) : 푸를 녹/록(綠)의 신자체(緑)
    糸: 실 사 彔: 나무 깎을 록
    실(糸)인데 나무 깎을(彔) 때 나오는 것은?
    실인데 생나무 껍질을 깎을 때 나오는 것은 ‘푸름’이지요.
    예시 : 녹색(綠색: 파란색과 노란색의 중간색), 초록(草綠), 청록(靑綠)

  4. 未来(みらい - 미래) : 아닐 미(未), 올 래(來)
    보리(來)가 한 것은?
    ‘來’는 ‘보리’의 모양을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보리는 외국에서 중국으로 전래된 곡물이라는 데서 ‘옴’을 뜻하게 되었답니다.

    예시 : 전래(傳來: 전해져 옴), 외래(外來), 도래(渡來)

  5. 命令(めいれい - 명령) : 목숨 명(命), 하여금 령(令)
    令: 하여금(명령) 령 ㅁ: 입 구
    입(ㅁ)에서 나온 명령(令)에 거는 것은?
    윗사람의 입에서 나온 명령에 거는 것은 아랫사람의 ‘목숨’이지요.

  6. 免許(めんきょ - 면허) : 면할 면(免), 허락할 허(許)

    예시 : 면함(免함: 벗어남), 면제(免除), 모면(謀免)

  1. 허락할 허(許) : 言: 말씀(말) 언 午: 낮 오
    말(言)인데 낮(午)처럼 밝게 해주는 것은?
    말인데 상대의 기분을 낮처럼 밝게 해주는 것은 ‘허락함’이지요.
    예시 : 허락(許諾: 상대의 청을 들어줌), 허가(許可), 허용(許容)

  2. 面接(めんせつ - 면접) : 낯 면(面), 이을 접(接)
    扌: 손 수 妾: 첩(계집종) 첩
    손(扌)으로 계집종(妾)이 하는 것은?
    손으로 계집종이 하는 것은 일거리에 손을 ‘이음’이지요.

  3. 目的(もくてき - 목적) : 눈 목(目), 과녁 적(的)
    白: 흰 백 勹: 쌀 포 丶: 모양
    흰(白)색에 싸인(勹) 점(丶)은?
    흰색에 에워싸인 점은 ‘과녁’이지요.
    예시 : 표적(標的: 표한 과녁), 목적(目的), 적중(的中)

  4. 目標(もくひょう - 목표) : 눈 목(目), 표할 표(標)
    木: 나무 목 票: 표 표
    나무(木)에 표(票)를 붙이는 것은?
    나무에 어떤 내용이 적힌 표를 붙이는 것은 ‘표함’이지요.

    예시 : 표함(標함: 표(票)를 남김), 표시(標示), 표지(標識)

  5. 표 표(票) :

    예시 : 표(票: 어떤 내용을 기입하여 증거가 되게 한 쪽지), 증표(證票), 우표(郵票)

  6. 文字(もじ - 문자) : 글월 문(文), 글자 자(字)

9.3.화.(68일차)

  1. 森(もり - 숲) : 수풀 삼(森)
    예시 : 삼림(森林: 수풀), 삼엄(森嚴)

  2. 文句(もんく - 불평, 불만) : 글월 문(文), 글귀 구(句)
    勹: 쌀 포 ㅁ: 입(말) 구
    싸인(勹) 말(ㅁ)은?
    ‘句‘는 어떤 물체(ㅁ)를 둘러싼 올가미(勹)를 나타낸 글자였으나, 후에 하나로 싸인 두 단어 이상의 말인 ‘글귀’를 뜻하게 되었답니다.

  3. 屋根(やね - 지붕) : 집 옥(屋), 뿌리 근(根)
    尸: 주검(집) 시 至: 이를 지
    집(尸)인데 이르는(至) 곳은?
    집인데 바깥일을 마치고 이르는 곳은 ‘집’이지요.
    예시 : 가옥(家屋: 사람이 사는 집), 한옥(韓屋), 옥상(屋上)

  4. 床(ゆか - 마루) : 상 상(床)
    广: 집 엄 木: 나무 목
    집(广) 안에 놓는 건데 나무(木)로 만든 것은?
    집 안에 놓는 건데 나무로 만든 것은 ‘상’이지요.
    예시 : 상(床: 밥상·책상·평상 따위의 총칭)

  5. 輸出(ゆしゅつ - 수출) : 실어낼/보낼 수(輸)
    車: 수레 차 兪: 대답할(배) 유
    수레(車)나 배(兪)로 하는 것은?
    수레나 배로 하는 것은 화물 따위를 목적지로 ‘보냄’이지요.
    예시 : 수송(輸送: 보냄), 수출(輸出), 수입(輸入)

  6. 대답할 유(兪) :

  7. 輸入(ゆにゅう - 수입) : 실어낼/보낼 수(輸), 들 입(入)

  8. 容器(ようき - 용기) : 얼굴 용(容), 그릇 기(器)

  9. 横(よこ - 옆) : 가로 횡(橫)의 신자체(横)
    木: 나무 목 黃: 누를 황
    나무(木)를 누런(黃) 물밭에 놓은 모양은?
    나무 다리를 누런 물밭 위에 놓은 모양은 ‘가로’이지요.

    예시 : 횡(橫: 가로), 횡렬(橫列), 횡단(橫斷), 횡령(橫領), 횡사(橫死), 횡재(橫財), 횡포(橫暴), 비명횡사(非命橫死), 횡설수설(橫說竪說)

    '누렇다 黃 황'은 황하 유역의 누런 땅의 색을 나타낸 글자. 세로로 서 있는 나무(木)에 대하여, 나무가 자라는 누런(黃) 땅이 가로 방향으로 평평한 것을 나타내어 '가로'라는 뜻

  10. 汚れ(よごれ - 더러움, 오염) : 더러울 오(汚)

  11. 予測(よそく - 예측) : 나/줄 여, 미리 예(予), 젤 측(測)
    氵: 물 수 則: 법칙 칙
    물(氵)을 법칙(則)대로 재는 것은?
    물의 양을 정해진 법칙대로 재는 것은 ‘헤아림’이지요.

    예시 : 측정(測定: 헤아려 정함), 측량(測量), 계측(計測)

  1. 夜中(よなか - 밤중) : 밤 야(夜), 가운데 중(中)
    亠: 머리 두 亻: 사람 인 月: 달 월 \: 모양
    머리(亠)를 사람(亻)이 들어 달(月)빛()을 바라보는 때는?
    머리를 사람이 들어 달빛을 바라보는 때는 ‘밤’이지요.

9.4.수.(69일차)

  1. 予防(よぼう - 예방) : 나 줄 여(予), 막을 방(防)

  2. 留守(るす - 부재(중)) : 머무를 류(留), 지킬 수(守)
    卯: 토끼(가를) 묘 田: 밭 전
    갈라서(卯) 밭(田)을 일군 곳에서 하는 것은?
    쟁기로 땅을 갈라서 밭을 일군 곳에서 하는 것은 사람이 ‘머무름’이지요.
    예시 : 체류(滯留: 머무름), 잔류(殘留), 억류(抑留)

  3. 列(れつ - 열, 줄) : 벌일 열(列)
    歹: 앙상한 뼈 알 刂: 칼 도
    뼈(歹)를 칼(刂)로 바를 때 하는 것은?
    뼈를 칼로 바를 때 하는 것은 고기를 부위별로 ‘벌임’이지요.

    예시 : 나열(羅列: 죽 벌여놓음), 배열(配列), 진열(陳列)
    🔪🦴👐 ‘列’은 뼈를 칼로 바르는 것은 뼈와 살 사이를 벌리는 것이라 하여, ‘벌릴 렬’이라고도 합니다.

  4. 連休(れんきゅう - 연휴) : 연결할 연(連), 쉴 휴(休)
    車: 수레 차 辶: 갈 착
    수레(車)가 간(辶) 모양은?
    수레가 지나간 모양은 바퀴 자국이 ‘잇닿음’이지요.
    예시 : 연결(連結: 서로 이어서 맺음), 연속(連續), 일련(一連)

  5. 訳(わけ - 이유) : 통번역할 역(譯)의 신자체(訳)
    言: 말씀(말) 언 睪: 엿볼 역
    말(言)을 엿보며(睪) 하는 것은?
    말을 사전 따위에서 엿보며 하는 것은 ‘번역함’이지요.

  6. 割合(わりあい - 비율) : 벨 할(割), 합할 합(合)
    害: 해할 해 刂: 칼 도
    해하려고(害) 칼(刂)로 하는 것은?
    해하려고 칼로 하는 것은 대상을 ‘벰’이지요
    예시 : 분할(分割: 나누어 쪼갬), 할당(割當), 할부(割賦)

  7. 해할 해(害) :
    예시 : 해함(害함: 이롭지 않게 하거나 손상을 입힘), 가해(加害), 방해(妨害)

  8. 相変わらず(あいかわらず - 변함없이) : 서로 상(相), 변할 변(變)의 신자체(変)

  9. 必ず(かならず - 반드시) : 반드시 필(必)

  10. 急に(きゅうに - 갑자기) : 급할 급(急)

  11. 次第に(しだいに - 점점, 서서히) : 버금 차(次), 차례 제(第)

    예시 : 제일(第一), 제이(第二), 제삼(第三)

  12. 아우 제(弟) :
    예시 : 제씨(弟氏: 남의 아우를 이르는 말), 형제(兄弟), 처제(妻弟)

9.5.목.(70일차)

  1. 全て(すべて - 모두) : 온전할 전(全)
    入: 들 입 王: 구슬(옥) 옥
    들이는(入) 옥(王)의 상태는?
    집 안에 들이는 옥의 상태는 깨지거나 부서지지 않고 ‘온전함’이지요

    예시 : 온전(穩全: 본바탕 그대로 고스란함), 완전(完全), 전체(全體)

  2. 絶対(ぜったい - 절대로, 꼭) : 끊을 절(絶), 대할 대(對)의 신자체(対)
    糸: 실(줄) 사 色: 빛 색
    줄(糸)에 색(色)을 칠하고 하는 것은?
    줄에 색을 칠하고 하는 것은 줄을 ‘끊음’이지요.

    예시 : 단절(斷絶: 관계 따위를 끊음), 절교(絶交), 절벽(絶壁)

  3. 多少(たしょう - 다소) : 많을 다(多), 작을 소(少)

  4. 当然(とうぜん - 당연히) : 마땅 당(當)의 신자체(当), 그럴 연(然)
    尙: 오히려(높을) 상 田: 밭 전
    높은(尙) 집 앞에 밭(田)이 있는 것은?
    높은 집 앞에 텃밭이 있는 것은 ‘마땅함’이지요.

    예시 : 당연(當然: 마땅히 그러함), 타당(妥當), 온당(穩當)

  5. 突然(とつぜん - 돌연, 갑자기) : 부딪칠 돌(突), 그럴 연(然)
    穴: 굴(구멍) 혈 犬: 개 견
    굴(穴)에서 개(犬)가 튀어나오는 것은?
    굴이나 구멍에서 개가 튀어나오는 것은 ‘갑자기’이지요.
    예시 : 돌출(突出: 갑자기 나옴), 돌연(突然), 돌발(突發)

  6. 事(こと/ごと/じ) : 일 사(事)

  7. 仕(し)섬기다 : 仕(벼슬할 사)

  8. 親(おや/しん)가까운 : 친할 친(親)

  9. 奧 (어떤 공간의) 뒤쪽 お, おく : 속 오(奧)

  10. 枚 まい ~ 종이 한장 셀 때 간지 조수사 : 낱 매(枚)
    빵 조각은 납작하므로, 납작한 물체를 셀 때 쓰는 枚/まい를 사용

  11. 台 だい ~ 대형 가구 및 전자 제품 : 별 태, 나 이, 대 대(台)

  12. 一匹(いっぴき ~ 마리) : 짝 필(匹)
    ひき(수사(数詞) 다음에 와서) 짐승·물고기·벌레 따위를 세는 말. 마리.
    何匹 / なんびき (몇 마리인가요?)

profile
You matter, never give u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