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필수 기술 스택
A. 클라우드 플랫폼
- AWS (우선순위 1)
- EC2, S3, IAM, VPC, Lambda, CloudFormation/Terraform, RDS, DynamoDB, CloudWatch, SQS/SNS
-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취득 권장
- Azure 또는 GCP (AWS 이후 추가 학습)
- Azure: Virtual Machines, Blob Storage, Azure Functions, AKS
- GCP: Compute Engine, Cloud Storage, Cloud Functions, GKE
B. 리눅스 및 시스템 관리
- Ubuntu, CentOS 등 리눅스 운영 경험 필수
- Bash 스크립팅
- SSH, 방화벽 관리(UFW, iptables)
- 시스템 모니터링 (top, htop, netstat, journalctl 등)
C. 네트워크 및 보안
- OSI 7 Layer, TCP/IP, HTTP, DNS
- 로드밸런서 (AWS ALB, Nginx, HAProxy)
- VPN, 프록시 개념
- 보안: IAM, MFA, 암호화, 보안 그룹, ACL
D. IaC (Infrastructure as Code)
- Terraform (우선순위 높음)
- AWS CloudFormation
- Ansible (자동화 도구)
E. 컨테이너 및 오케스트레이션
- Docker
- Kubernetes (EKS, AKS, GKE 중 하나)
- Helm
F. CI/CD
- Jenkins, GitHub Actions, GitLab CI/CD, AWS CodePipeline
- ArgoCD (추가 학습)
G. 프로그래밍 & 스크립팅
- Python (Boto3 활용, AWS Lambda)
- Golang (옵션, Kubernetes 관련 개발)
- Git (GitHub, GitLab 사용)
H. 데이터베이스
- RDBMS: MySQL, PostgreSQL (AWS RDS 연계)
- NoSQL: DynamoDB, MongoDB
- 캐시: Redis, Memcached
I. 모니터링 및 로깅
- Prometheus + Grafana
- ELK Stack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 AWS CloudWatch
2. 컴퓨터 과학 기초
- 운영체제 (리눅스 중심, 프로세스, 메모리 관리)
- 네트워크 기초 (TCP/IP, HTTP, DNS, 방화벽)
- 데이터베이스 (SQL, 인덱스, 쿼리 최적화)
- 알고리즘 & 자료구조 (면접 대비용, LeetCode Easy~Medium)
3. 취업 가능 산업 및 기업
A. 주요 산업
- 클라우드 MSP (Managed Service Provider): 네이버클라우드, 베스핀글로벌, 메가존클라우드
- IT 서비스 기업: 카카오, 네이버, 라인, 토스, 쿠팡
- 스타트업: AI, 스마트홈, IoT 관련 스타트업
- 금융권: 신한은행, 카카오뱅크, 삼성SDS, NHN클라우드
- 공공기관 및 SI 기업: LG CNS, SK C&C, 삼성SDS
B. 주요 채용 포지션
- 클라우드 엔지니어 (AWS, Azure, GCP)
- DevOps 엔지니어
- 플랫폼 엔지니어
- SRE (Site Reliability Engineer)
4. 학습 및 취업 전략
-
3개월 차: 기초 다지기
- AWS 기본 개념 학습 (EC2, S3, IAM, VPC)
- 리눅스, 네트워크, Git, Python 학습
- Terraform, Docker 실습
- AWS SAA 자격증 준비
-
6개월 차: 실전 프로젝트 및 고급 학습
- Kubernetes, CI/CD (Jenkins, GitHub Actions)
- Prometheus, ELK 로그 분석 실습
- 스마트홈 관련 클라우드 프로젝트 진행 (IoT 연동)
-
9개월 차: 포트폴리오 및 면접 준비
- GitHub에 프로젝트 정리
- 블로그 운영 (기술 문서 작성)
- 모의 면접 및 이력서 준비
- 실무 적용 가능한 Terraform, Ansible 코드 공유
-
12개월 차: 취업 지원
- AWS SAA 취득 후 기업 지원
- MSP, 스타트업, 대기업 등 클라우드 관련 직군 지원
클라우드 플랫폼(AWS 중심)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단계별 커리큘럼
1. 학습 목표 설정
클라우드 엔지니어가 되려면 단순히 AWS 서비스를 아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를 어떻게 설계하고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개념을 익혀야 해.
따라서 아래 3단계로 학습을 진행하면 좋아.
- 기초 개념 익히기 → AWS 서비스별 개념 학습
- 실습 및 프로젝트 진행 → 실제 AWS 환경에서 구축 및 운영 연습
- 심화 학습 및 자격증 취득 → 실무 적용과 면접 준비
2. 단계별 AWS 학습 커리큘럼
📌 1단계: AWS 기초 개념 익히기 (1~2개월)
✔️ 목표:
- AWS의 기본 개념과 핵심 서비스를 익힌다.
- AWS CLI 및 Management Console 사용법을 익힌다.
✔️ 학습 내용:
1. AWS 기초 개념
-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IaaS, PaaS, SaaS)
- AWS 글로벌 인프라 (Region, AZ, Edge Location)
- AWS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 사용자, 그룹, 역할 관리
-
핵심 서비스 개념 및 실습
- 컴퓨팅: EC2 (가상 서버 생성, SSH 접속, 보안 그룹 설정)
- 스토리지: S3 (버킷 생성, 객체 업로드,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 네트워크: VPC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인터넷 게이트웨이 설정)
- 데이터베이스: RDS (MySQL 또는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생성)
- 서버리스: Lambda (기본적인 Python 람다 함수 생성 및 실행)
-
AWS CLI & SDK (Boto3)
- AWS CLI 설치 및 기본 명령어 실습
- Python Boto3를 활용한 AWS 자원 자동화
✔️ 추천 학습 자료
📌 2단계: 실습 및 프로젝트 진행 (3~4개월)
✔️ 목표:
- AWS 서비스를 활용한 아키텍처 설계 연습
- Terraform 및 AWS CLI를 활용한 IaC 실습
- 실제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경험 쌓기
✔️ 학습 내용:
1. AWS 고급 네트워킹
- VPC Peering, Transit Gateway
- VPN, Direct Connect
- AWS WAF & Shield (보안 설정)
-
AWS 고급 서비스
- 로드밸런싱: ALB, NLB, Route 53 설정
- 컨테이너: ECS, EKS (Docker 컨테이너 배포 실습)
- CI/CD 파이프라인: AWS CodePipeline, CodeBuild, CodeDeploy
-
IaC(Infrastructure as Code) 실습
- Terraform을 이용한 AWS 인프라 구축 자동화
- CloudFormation 템플릿 작성 실습
-
프로젝트 진행
- 스마트홈 제어 프로젝트
- AWS IoT Core + Lambda + DynamoDB를 활용한 간단한 IoT 데이터 저장 및 조회
- 서버리스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
- S3 + CloudFront + API Gateway + Lambda + DynamoDB 조합으로 간단한 서버리스 앱 배포
- Kubernetes 클러스터 구축
- AWS EKS + Terraform을 활용한 쿠버네티스 환경 구축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
✔️ 추천 학습 자료
📌 3단계: 심화 학습 및 자격증 취득 (5~6개월)
✔️ 목표:
- AWS 고급 서비스 및 비용 최적화 학습
- AWS SAA 자격증 취득
- 실무 환경에 맞춘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제작
✔️ 학습 내용:
1. 고급 서비스 및 비용 최적화
- AWS Cost Explorer, AWS Budgets 설정
- Spot, Reserved Instance 활용법
- AWS Trusted Advisor 활용법
-
보안 및 모니터링
- AWS IAM, KMS, Secrets Manager 활용
- AWS Security Hub, GuardDuty, Inspector 사용
- AWS CloudWatch, CloudTrail, X-Ray
-
SAA (AWS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시험 준비
- 시험 개요 및 문제 유형 파악
- Mock Test 풀어보기 (Whizlabs, Udemy 활용)
- AWS 공식 연습 문제 풀이
-
최종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 Terraform과 Ansible을 이용한 클라우드 자동화 프로젝트
- Kubernetes 기반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배포 프로젝트
- AWS 기반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구축
✔️ 추천 학습 자료
3. 효과적인 학습 방법
✅ 1) Hands-on 실습 위주 학습
- AWS Free Tier를 활용하여 직접 실습
- 실습 예제는 GitHub에 기록하여 포트폴리오로 활용
✅ 2) 프로젝트 기반 학습
- 단순 이론 공부보다 직접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는 프로젝트 진행
- Ex) 서버리스 웹앱, IoT 데이터 저장소, EKS 기반 MSA 환경 구축 등
✅ 3) 커뮤니티 및 네트워크 활용
✅ 4) 스터디 그룹 활용
- AWS 자격증 스터디 그룹 참가
- GitHub에 프로젝트 및 학습 기록 정리
4. 학습 로드맵 요약 (6개월 플랜)
기간 | 학습 내용 |
---|
1~2개월 | AWS 기본 개념 (EC2, S3, VPC, IAM, RDS, Lambda) 실습, AWS CLI/Boto3 익히기 |
3~4개월 | Terraform, Kubernetes, CI/CD 실습, AWS Well-Architected 학습, 프로젝트 진행 |
5~6개월 | AWS SAA 자격증 준비, 비용 최적화/보안 학습,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완성 및 지원 준비 |
이 로드맵을 따라가면 6개월 안에 클라우드 엔지니어 취업을 준비할 수 있어.
혹시 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면 알려줘! 🚀
이 업에 입문하려 여러 정보를 찾아보는 중인데 좋은 정보를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열심히 노력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