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flow

Ivermatin·2024년 1월 26일
0

User flow(이용흐름)

: 사용자가 특정한 작업(Task)을 완료하기 위해서 서비스 내에서 움직이는 경로를 정리하는 것. UI, 행동, 판단으로 표현된다.

구성요소

  • 목표(User goal) : 사용자가 서비스를 통해서 얻고자 하는 결과
  • 작업(Task) : 목표를 위해서 실제 사용자가 취한 방법
  • UI(User Interface) : 서비스가 자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접점
  • 행동(Action) : 사용자가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UI 상에서 보이는 주 활동 및 보조 활동
  • 판단(Decision) : 사용자 행동 후 그 결과가 분기될 경우 그 분기점을 표시한 것

설계 과정

  1. User goal : 사용자 시나리오로부터 목표와 작업을 축출한다.
  2. Task flow : 작업흐름을 설계한다.
  3. Wire flow : 화면흐름을 설계한다.
  4. User flow : UI 설계 과정에서 최종적인 이용흐름을 완성한다.

    화면흐름부터는 '흐름'보다는 UI나 인터렉션에 대한 설계가 더 중요해지기 때문에 이용흐름 설계는 사실상 작업흐름 설계라고 봐도 무방하다.

플로우 차트(Flow chart)

: 순서도,흐름도.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단계와 결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자료이다. 각각의 단계는 다이어그램으로 표현된다.

다이어그램(Diagram)

: 정보를 조율, 묘사, 상징화 하여 2차원 기하학 모델(two-dimensional geometric model)로 시각화하는 기술

UXUI의 플로우차트

: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단계와 결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시각적으로 표현한 자료. Task flow 작업흐름을 설계할때 사용된다.

플로우차트가 필요한 이유

  • 기획서를 보는 개발자나 팀원들이 전체 구조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
  • 위의 과정에서 프로세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파악하고 누락된 프로세스는 없는지 사전에 체크가 가능하다는 것
  • 프로세스상의 사용자 UX를 한 번 더 점검할 수 있다는 것

피그마에서 작업흐름 설계하기

: 피그마에 'Flow chart'라는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쉽게 작업흐름을 설계할 수 있다.

방법

1)Flow Chart 플로그인을 실행
2)원하는 도형을 선택(도형마다 프로세스 과정을 나타내는 의미가 있다)
3) 파란색으로 보이는 화살표 4개 중 하나를 선택
4) 화살표를 선택하면 도형이 나타나 원하는 도형을 클릭 시 화살표 방향에 맞춰 나타나고 처음 선택한 도형과 화살표로 연결되어 있다.
5) 4번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작업흐름을 완성한다.

나는 최근 가습기를 샀던 경험을 작업흐름으로 설계했다.

profile
멈추지 않고 조금씩 계속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