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Transmission
Bandwidth
- 일정한 시간 내에 데이터 연결을 통과 할 수 있는 정보량의 척도
- 대역폭이 클수록 동영상을 더 선명히 볼 수 있음
- Low Bandwidth : Local Cell Network
- High Bandwidth : Wi-Fi Router
- LTE, 5G : 셀룰러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향상시킨 것
Packet
-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조각
- 데이터를 한번에 통으로 보내는게 더 편하지 않을까?
큰 데이터는 대역폭을 많이 차지하므로 흐름이 원활하지 않다.
- 작은 패킷으로 분할된 데이터는 상대방에게 전달 될 때 패킷의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를 붙여 전달됨
패킷의 구조

1. 버전
- 사용중인 IP 버전 식별 ex) IPv4, IPv6
2. TTL (Time to Live)
- 해당 패킷이 네트워크에 남아있을 수 있는 시간
- 패킷을 처리하는 각 라우터는 이 카운터를 하나 이상 감소시킴
3. 프로토콜
- IP 패킷의 데이터 부분이 전달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 ex) TCP, UDP
4. 헤더 체크섬
- 헤더 데이터
- 해더가 손상되지 않은 경우 IP 패킷이 양호하다고 간주
5. 소스 주소
- 패킷을 네트워크로 보내는 장치의 IP 주소
- 네트워크 수준 오류 메세지가 전송되기도 함
6. 대상 주소
7. 데이터
출처 : https://enlqn1010.tistory.com/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