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2805번 나무자르기

정기홍·2024년 12월 10일
0

코딩테스트_파이썬

목록 보기
32/49

문제

상근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 근처에 나무를 구입할 곳이 모두 망해버렸기 때문에, 정부에 벌목 허가를 요청했다. 정부는 상근이네 집 근처의 나무 한 줄에 대한 벌목 허가를 내주었고, 상근이는 새로 구입한 목재절단기를 이용해서 나무를 구할것이다.

목재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근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 그 다음,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 따라서,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 15, 10, 17이라고 하자.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 15, 10, 15가 될 것이고, 상근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 (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는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상근이는 환경에 매우 관심이 많기 때문에,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집으로 가져가려고 한다. 이때,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

  •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상근이는 집에 필요한 나무를 항상 가져갈 수 있다. 높이는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출력

  •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풀이

import sys
input= sys.stdin.readline

n,m = map(int,input().split())
a = list(map(int,input().split()))

def solve_problem(array, start, end):
    result = 0
    while(start <= end):
        mid = (start+end) //2 or 1
        total = 0
        for i in array:
            if i > mid:
                total += i - mid
        if total < m:
            end = mid -1
        else:
            result = mid
            start = mid +1
    return result


end=max(a)
print(solve_problem(a,1,end))

start를 1로 잡고 시작을 했다. 그런데 0이라고 시작할 때는 시간초과가 뜬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미세한 차이로 인해 시간 초과가 나는 거 같은데, 구체적으로 원인은 잘 모르겠다.

  • 원인을 찾았다. or 1 때문에 mid가 0이 될 수 없어서 생긴 문제이다. 만약 start = 0 end = 0으로 시작하게 된다면, 무한루프에 빠지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생겨났다.

후기

  • 너무 찜찜하게 푼 거 같아서, 나중에 질문 게시판에 나온 댓글을 보고 그 후에 왜 그런지 분석해야 겠다. 시간 초과에 대해 이제 슬슬 딜레마가 생기는 거 같다.
profile
하나를 알고 그걸로 모든걸 관통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