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의 모든 것 (1)

jaam._.mini·2023년 11월 20일
0

📒Python 기초 수학

목록 보기
41/46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자!

  1. 선형 검색
  2. 이진 검색
  3. 순위
  4. 버블 정렬




1.선형 검색


선형검색 이란?
선으로 나열되어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스캔하면서 원하는 값을 찾는 것

  • idx 0 부터 끝번호 까지 순차적으로 검색한다
  • 결과는 '검색 성공' or '검색 실패'

■ 선형 검색

  • Key Point !
    찾으려는 데이터가 없어서 끝까지(len(datas)) 찾아보는 문장
 if n == len(datas):
     searchResultIdx = -1
     break

  • 아래 예제로 자세히 알아보자!
datas = [3,2,5,7,9,1,0,8,6,4]
print(f'datas : {datas}')
print(f'length : {len(datas)}')

searchData = int(input('찾으려는 숫자 : '))

#우리가 찾는 숫자(searchResultIdx)가 몇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알고 싶음
# 존재하지 않는 숫자인 -1로 먼저 설정
searchResultIdx = -1

n = 0
while True :if n == len(datas): #n이 끝까지 갔다 =  검색한 결과가 없다(=일치하는 데이터가 없다)는 것과 같은 말
        searchResultIdx = -1
        break

    elif  datas[n] == searchData: # 입력한 숫자가 있다면
        searchResultIdx = n
        break

    n += 1 #반복

print(f'searchResultIdx : {searchResultIdx}')

datas : [3, 2, 5, 7, 9, 1, 0, 8, 6, 4]
length : 10
찾으려는 숫자 : 7
searchResultIdx : 3

■ 보초법

마지막 인덱스에 찾으려는 값을 추가해서 찾는 과정을 간략화 하는 방법

  • idx 0 부터 끝번호 까지 순차적으로 검색한다
  • '검색 성공' : 마지막 이전에 원하는 숫자를 찾은 경우
  • '검색 실패' : 마지막에 원하는 숫자가 검색된 경우

  • 선형검색/보초법의 차이점
    1) datas.append(searchData) : 아이템 추가
    2) if n != len(datas) - 1 : 끝에 있는 아이템인지 조사
    3) 끝까지 가서 찾는 문장(len(data))이 없음
datas = [3,2,5,7,9,1,0,8,6,4]
print(f'datas : {datas}')
print(f'length : {len(datas)}')

searchData = int(input('찾으려는 숫자 : '))
searchResultIdx = -1

datas.append(searchData) ⭐

n =0
while True:

        if  datas[n] == searchData: # 입력한 숫자가 있다면
            if n != len(datas) - 1: # 그런데, n이 맨끝에 있는 값이 아니네?
                searchResultIdx = n # 이전에 찾았네!
            break # 끝!

        n += 1

print(f'datas : {datas}')
print(f'data length : {len(datas)}')
print(f'searchResultIdx : {searchResultIdx}')

datas : [3, 2, 5, 7, 9, 1, 0, 8, 6, 4]
length : 10

찾으려는 숫자 : 11

datas : [3, 2, 5, 7, 9, 1, 0, 8, 6, 4, 11]#11이 추가 됨
data length : 11#없는 숫자를 .append()해서 길어짐
searchResultIdx : -1# 없는 숫자를 .append() 했기 때문에(원래 없던 숫자를 추가해서) 
# 위에 설정해둔 "searchResultIdx = -1"에 따라서 -1자리로 표현됨

■ 실습_1

Q >
리스트에서 가장 앞에 있는 숫자 7 을 검색하고 위치(인덱스)를 출력하라

  • nums = [4,7,10,2,4,7,0,2,7,3,9]
nums = [4, 7, 10, 2, 4, 7, 0, 2, 7, 3, 9]
print(f'nums: {nums}')
print(f'nums length: {len(nums)}')

searchData = int(input('찾으려는 숫자 입력: '))
searchResultIdx = -1

#보초법 활용
nums.append(searchData)

n = 0
while True:

    if nums[n] == searchData:
        if n != len(nums) - 1:
            searchResultIdx = n
        break

    n += 1

print(f'nums: {nums}')
print(f'nums length: {len(nums)}')
print(f'searchResultIdx: [{searchResultIdx}]')

if searchResultIdx < 0:
    print(f'찾으려는 {searchData}가(이) 없습니다.')
else:
    print(f'찾으려는 {searchData}의 위치(인덱스)는 {searchResultIdx}입니다.')


없는 숫자 '50'을 찾는 경우

nums: [4, 7, 10, 2, 4, 7, 0, 2, 7, 3, 9]
nums length: 11
찾으려는 숫자 입력: 50
nums: [4, 7, 10, 2, 4, 7, 0, 2, 7, 3, 9, 50]
nums length: 12
searchResultIdx: [-1]
찾으려는 50() 없습니다.

있는 숫자 '7'을 찾는 경우

nums: [4, 7, 10, 2, 4, 7, 0, 2, 7, 3, 9]
nums length: 11
찾으려는 숫자 입력: 7
nums: [4, 7, 10, 2, 4, 7, 0, 2, 7, 3, 9, 7]
nums length: 12
searchResultIdx: [1]
찾으려는 7의 위치(인덱스)1입니다.

■ 실습_2

Q >
리스트에서 7 을 모두 검색하고 각각의 위치(인덱스)와 검색 개수를 출력하라


- 함수X 풀이
nums = [4, 7, 10, 2, 4, 7, 0, 2, 7, 3, 9]
print(f'nums: {nums}')
print(f'nums length: {len(nums)}')

searchData = int(input('찾으려는 숫자 입력: '))
searchResultIdxs = [] # list() 선언

nums.append(searchData)

n =0
while True:

    if nums[n] == searchData:
        if n != len(nums) -1 :
            searchResultIdxs.append(n)

        else:
            break

    n += 1

print(f'nums: {nums}')
print(f'nums length: {len(nums)}')
print(f'searchResultCount: {len(searchResultIdxs)}')

- 함수O 풀이
nums = [4, 7, 10, 2, 4, 7, 0, 2, 7, 3, 9]
print(f'nums: {nums}')
print(f'nums length: {len(nums)}')

def searchNum(tempNums):

    searchData = int(input('찾으려는 숫자 입력: '))
    searchResultIdxs = []

    tempNums.append(searchData)

    n =0
    while True:

        if tempNums[n] == searchData:
            if n != len(tempNums) -1 :
                searchResultIdxs.append(n)

            else:
                break

        n += 1

    return searchResultIdxs

searchResultIdxs = searchNum(nums)

print(f'nums: {nums}')
print(f'nums length: {len(nums)}')
print(f'searchResultIdxs : {searchResultIdxs}')



2. 이진 검색


정렬되어 있는자료구조에서 중앙값과의 크고 작음을 이용해 데이터를 검색한다.

  •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       [0, 1, 2, 3, 4, 5, 6, 7, 8, 9, 10,]
datas = [1, 2, 3, 4, 5, 6, 7, 8, 9, 10, 11]
# datas = [1, 3, 4, 6, 7, 8, 9, 11]
print(f'datas: {datas}')
print(f'datas length: {len(datas)}')

searchData = int(input('찾으려는 숫자 입력: '))
searchResultIdx = -1 # 찾은 숫자의 인덱스

staIdx = 0
endIdx = len(datas) - 1 # 맨 끝 번호
midIdx = (staIdx +  endIdx) // 2  # 몫
midVal = datas[midIdx] # 가운데 값의 [인덱스]가 중요, 크고 작음으르 비교해야 하기 때문
print(f'midIdx: {midIdx}')
print(f'midVal: {midVal}')

#▼ 범위를 좁혀나가기엔 while() 문장이 최고...!
# len(datas)-1 : "끝에 있는 데이터"라는 뜻
while searchData <= datas[len(datas)-1] and searchData >= datas[0]:

    if searchData == datas[len(datas)-1]:
        searchResultIdx = len(datas)-1
        break

    if searchData > midVal: # 찾으려는 숫자가 중앙값 보다 크면
        staIdx = midIdx # 시작점이 중앙값으로 바뀌고
        midIdx = (staIdx +  endIdx) // 2 # 시작점이 바뀌니까, 중앙값도 재설정
        midVal = datas[midIdx]
        print(f'midIdx: {midIdx}')
        print(f'midVal: {midVal}')

    elif searchData < midVal: # 찾으려는 숫자가 중앙값 보다 작다면
        endIdx = midIdx #끝값이 중앙값으로 바뀌고
        midIdx = (staIdx + endIdx) // 2 # 끝값이 바뀌니까, 중앙값도 재설정
        midVal = datas[midIdx]
        print(f'midIdx: {midIdx}')
        print(f'midVal: {midVal}')

    elif searchData == midVal:
        searchResultIdx = midIdx
        break

print(f'searchResultIdx: [{searchResultIdx}]')

datas: [1, 2, 3, 4, 5, 6, 7, 8, 9, 10, 11]
datas length: 11
찾으려는 숫자 입력: 6
midIdx: 5
midVal: 6
searchResultIdx: [5]

■ 실습

Q >
리스트를 오름차순(.sort())으로 정렬한 후 7 을 검색하고 위치(인덱스)를 출력하자

  • num = [4,10,22,5,0,17,7,11,9,61,88]
nums = [4,10,22,5,0,17,7,11,9,61,88]
print(f'nums: {nums}')
print('-'*25)

nums.sort()
print(f'nums: {nums}')
print('-'*25)

searchData = int(input('찾으려는 숫자 : '))
searchResultIdx = -1

staIdx = 0
endIdx = len(nums) -1
midIdx = (staIdx + endIdx) // 2
midVal = nums[midIdx]

while searchData <= nums[len(nums)-1] and searchData >= nums[0]:
    if searchData == nums[len(nums)-1]:
        searchResultIdx = len(nums)-1
        break

    if searchData > midVal:
        staIdx = midIdx
        midIdx = (staIdx +  endIdx) // 2
        midVal = nums[midIdx]
        print(f'midIdx: {midIdx}')
        print(f'midVal: {midVal}')

    elif searchData < midVal:
        endIdx = midIdx
        midIdx = (staIdx + endIdx) // 2
        midVal = nums[midIdx]
        print(f'midIdx: {midIdx}')
        print(f'midVal: {midVal}')

    elif searchData == midVal:
        searchResultIdx = midIdx
        break

print(f'searchResultIdx: [{searchResultIdx}]')

nums: [4, 10, 22, 5, 0, 17, 7, 11, 9, 61, 88]
-------------------------
nums: [0, 4, 5, 7, 9, 10, 11, 17, 22, 61, 88]
-------------------------
찾으려는 숫자 : 10
searchResultIdx: [5]



3. 순위


순위 란?
수의 크고 작음을 이용해서 수의 순서를 정하는 것

  • 가장 큰 숫자는 '0'
  • 가장 작은 숫자는 '끝자리'
# 순위 알고리즘 :  보통 rank 를 씀
# 20개를 랜덤 모듈을 이용해서 뽑는다.
import random

nums = random.sample(range(50,101), 20) #중복되지 않게 랜덤 : .sample() 이용
ranks = [0 for i in range(20)] # [0으로 값을 초기화 하고, i를 20번 반복하겠다]

print(f'nums: {nums}')
print(f'ranks: {ranks}')

print('-'*50)

for idx, num1 in enumerate(nums):
    for num2 in nums:
        if num1 < num2:
            ranks[idx] += 1 # 기존 값(idx)에 1을 더함. 그래야 큰게 뒤로 한칸 밀림

print(f'nums : {nums}')
print(f'ranks : {ranks}')

print('-'*50)
# 보기 좋게 정렬
for idx, num in enumerate(nums):
    print(f'num : {num} \t rank: {ranks[idx] +1 }')

nums: [73, 71, 77, 79, 95, 66, 87, 60, 67, 92, 89, 81, 76, 84, 75, 86, 72, 63, 94, 97]
ranks: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
nums : [73, 71, 77, 79, 95, 66, 87, 60, 67, 92, 89, 81, 76, 84, 75, 86, 72, 63, 94, 97]
ranks : [13, 15, 10, 9, 1, 17, 5, 19, 16, 3, 4, 8, 11, 7, 12, 6, 14, 18, 2, 0]
--------------------------------------------------
num : 73 	 rank: 14
num : 71 	 rank: 16
num : 77 	 rank: 11
num : 79 	 rank: 10
num : 95 	 rank: 2
num : 66 	 rank: 18
num : 87 	 rank: 6
num : 60 	 rank: 20
num : 67 	 rank: 17
num : 92 	 rank: 4
num : 89 	 rank: 5
num : 81 	 rank: 9
num : 76 	 rank: 12
num : 84 	 rank: 8
num : 75 	 rank: 13
num : 86 	 rank: 7
num : 72 	 rank: 15
num : 63 	 rank: 19
num : 94 	 rank: 3
num : 97 	 rank: 1

■ 실습

Q >
학급학생(20명)들의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성적을 이용해 각각의 순위를 구하고, 중간고사 대비 기말고사 순위 변화(편차)를 출력 (시험 성적은 난수를 이용한다)

  • class.py
import random

class RankDeviation: # RankDeviation : 편차

    def __init__(self, mss, ess): # mss:중간고사 ess:기말고사
        self.midStuScos = mss
        self.endStuScos = ess
        # ▼ 순위: 0으로 초기화, mss에 들어온 수의 갯수(길이)만큼 반복
        self.midRanks = [0 for i in range(len(mss))]
        self.endRanks = [0 for i in range(len(mss))]
        self.rankDeviation = [0 for i in range(len(mss))]

    def setRank(self, ss, rs): # 순위 결정 ss:점수    rs:순위
        for idx, sco1 in enumerate(ss):  # ss에 대한 rs를 구해라
            for sco2 in ss:
                if sco1 < sco2: # 작을 때
                    rs[idx] += 1 # 인덱스가 1자리 씩 뒤로 밀림

     # 중간고사 성적을  setRank로 던지면, "def setRank(self, ss, rs)"로 가서 알아서 중간 점수를 주는 문장
    def setMidRank(self):
        self.setRank(self.midStuScos, self.midRanks)

    # 중간고사의 순위를 갖고 싶다, return
    def getMidRank(self):
        return self.midRanks

    # 기말고사 성적을  setRank로 던지면, "def setRank(self, ss, rs)"로 가서 알아서 기말 점수를 주는 문장
    def setEndRank(self):
        self.setRank(self.endStuScos, self.endRanks)

    # 기말고사의 순위를 갖고 싶다, return
    def getEndRank(self):
        return self.endRanks

    # ▼편차 출력
    def printRankDeviation(self):

        # 중간(getMidRank), 기말(getEndRank)의 순위를 비교해서 올라갔는지, 내려갔는지를 비교
        for idx, mRank in enumerate(self.midRanks):
            deviation = mRank - self.endRanks[idx]

            if deviation > 0:
                deviation = '↑' + str(abs(deviation)) # abs: 절대값, 화살표가 문자이므로 str로 캐스팅
            elif deviation < 0:
                deviation = '↓' + str(abs(deviation))
            else: # 순위 : 중간고사=기말고사
                deviation = '=' + str(abs(deviation))

            print(f'mid_rank: {mRank} \t end_rank: {self.endRanks[idx]} \t Deviation: {deviation}')

(+)

  • 실행문.py
import rankMod as rm
import random

midStuScos = random.sample(range(50, 101), 20) # 중간고사 성적 (50~100점 까지, 20명)
endStuScos = random.sample(range(50, 101), 20)

# 객체 생성 = 중간, 기말 점수 초기화
rd = rm.RankDeviation(midStuScos, endStuScos)

# setMidRank 호출
rd.setMidRank()
print(f'midStuScos: {midStuScos}')
print(f'mid_rank: {rd.getMidRank()}')

# setEndRank 호출
rd.setEndRank()
print(f'endStuScos: {endStuScos}')
print(f'end_rank: {rd.getEndRank()}')

# 중간고사 대비 기말고사의 편차 순위가 올라갔는지 출력
rd.printRankDeviation()

midStuScos: [62, 100, 79, 90, 95, 75, 64, 71, 88, 52, 57, 50, 55, 87, 72, 85, 86, 82, 83, 60]
mid_rank: [14, 0, 9, 2, 1, 10, 13, 12, 3, 18, 16, 19, 17, 4, 11, 6, 5, 8, 7, 15]
endStuScos: [89, 57, 87, 83, 98, 76, 52, 64, 96, 86, 61, 88, 58, 78, 80, 92, 69, 51, 67, 56]
end_rank: [3, 16, 5, 7, 0, 10, 18, 13, 1, 6, 14, 4, 15, 9, 8, 2, 11, 19, 12, 17]
mid_rank: 14 	 end_rank: 3 	 Deviation:11
mid_rank: 0 	 end_rank: 16 	 Deviation:16
mid_rank: 9 	 end_rank: 5 	 Deviation:4
mid_rank: 2 	 end_rank: 7 	 Deviation:5
mid_rank: 1 	 end_rank: 0 	 Deviation:1
mid_rank: 10 	 end_rank: 10 	 Deviation: =0
mid_rank: 13 	 end_rank: 18 	 Deviation:5
mid_rank: 12 	 end_rank: 13 	 Deviation:1
mid_rank: 3 	 end_rank: 1 	 Deviation:2
mid_rank: 18 	 end_rank: 6 	 Deviation:12
mid_rank: 16 	 end_rank: 14 	 Deviation:2
mid_rank: 19 	 end_rank: 4 	 Deviation:15
mid_rank: 17 	 end_rank: 15 	 Deviation:2
mid_rank: 4 	 end_rank: 9 	 Deviation:5
mid_rank: 11 	 end_rank: 8 	 Deviation:3
mid_rank: 6 	 end_rank: 2 	 Deviation:4
mid_rank: 5 	 end_rank: 11 	 Deviation:6
mid_rank: 8 	 end_rank: 19 	 Deviation:11
mid_rank: 7 	 end_rank: 12 	 Deviation:5
mid_rank: 15 	 end_rank: 17 	 Deviation:2



4. 버블 정렬


버블 정렬 이란?

처음부터 끝까지 인접하는 인덱스의 값을 순차적으로 비교하면서 큰 숫자를 가장 끝으로 옮기는 알고리즘

nums = [10,2,7,21,0]
print(f'정렬 전 숫자 : {nums}')

length = len(nums) -1
for i in range(length):
    for j in range(length - i ): # 하나 작은 곳 까지만 반복되야 해서 i 를 빼준다
        if nums[j] > nums[j+1]: # ex. 10하고 7하고 비교할 때,
            # temp = nums[j] # temp에 j 값을 넣어 놓고
            # nums[j] = nums[j+1] #j에 다음 숫자를 넣어 자리를 바꿈
            # nums[j+1] = temp # 다음 숫자에 temp를 담으면 결과적으로 자리가 완전히 바뀌게 됨
            # ▼ 위 3개 문장이 아래 한문장으로 요약이 가능..!
            nums[j], nums[j+1] =   nums[j+1], nums[j]

        print(nums)
    print()

print(f'정렬 후 숫자 : {nums}')

정렬 전 숫자 : [10, 2, 7, 21, 0]
[2, 10, 7, 21, 0]
[2, 7, 10, 21, 0]
[2, 7, 10, 21, 0]
[2, 7, 10, 0, 21]

[2, 7, 10, 0, 21]
[2, 7, 10, 0, 21]
[2, 7, 0, 10, 21]

[2, 7, 0, 10, 21]
[2, 0, 7, 10, 21]

[0, 2, 7, 10, 21]

정렬 후 숫자 : [0, 2, 7, 10, 21]

■ 실습

Q >
새학년이 되어 학급에 20명의 새로운 학생들이 모였다. 학생들을 키 순서로 줄 세워보자.
학생들의 키는 random 모듈을 이용해서 170-185사이로 생성한다.

copy(얕은/깊은)

개념 참고 url

  • class.py
# 모듈 이용
import copy

def bubbleSort(ns, deepCopy = True):
# ns : nums(받을 숫자)의 약어

    if deepCopy:
        cns = copy.copy(ns)
    else:
        cns = ns

    length = len(cns) - 1
    for i in range(length):
        for j in range(length - i):
            if cns[j] > cns[j + 1]:
                cns[j], cns[j + 1] = cns[j + 1], cns[j]

    return cns
  • 실행.py
import sortMod as sm # class 이용
import random as rd # 랜덤 모듈

students = [] # 배열 하나 만들어 놓고

for i in range(20): # 20명을 랜덤하게 뽑아서
    students.append(rd.randint(170, 185)) # 키 정보 추가

print(f'students: {students}') # 어떤 값들이 있는지 출력해 봄
print(f'students length: {len(students)}')

# 얕은 복사
# sortedStudents = sm.bubbleSort(students, deepCopy=False)
# print(f'students: {students}')
# print(f'sortedStudents: {sortedStudents}')

# 깊은 복사
sortedStudents = sm.bubbleSort(students) # 오름차순 정렬
print(f'students: {students}')
print(f'sortedStudents: {sortedStudents}')

Daily Study Note
제로베이스 데이터 스쿨
profile
비전공자의 데이터 공부법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