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열심히 학습한 Dictionary() 예제를 풀어보자!
Q >
사용자가 입력하면 딕셔너리에 저장하고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subject = ['국어', '영어', '수학', '과학', '국사']
scores = {}
# for()을 이용해 과목의 성적을 받음
# s(과목명) : key값
for s in subject:
#사용자에게 점수 입력 받기
score = int(input(s + '점수입력: '))
#scores라는 Dic()에 저장하는 단계
#Dic문장[key] = value
scores[s] = score
print(f'과목별 점수: {scores}')
▼
국어점수입력: 81
영어점수입력: 88
수학점수입력: 70
과학점수입력: 90
국사점수입력: 55
과목별 점수: {'국어': '81', '영어': '88', '수학': '70', '과학': '90', '국사': '55'}
Q >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이용해 로그인 프로그램 제작
members = {'urkpo':'0928^7$',
'xxayv':'%2*9$91',
'lsqvx':'!0%)&&4',
'heums':'%@3^0%3',
'uwcmc':'85236(&',
'iemwv':')8!36^&',
'sqblx':')^2)9!(',
'jbbpy':'67269*3',
'hjkwu':'$&@@#64',
'fvwwy':'82$%)31'}
#사용자에게 입력 받음
memID = input('ID 입력: ')
memPW = input('PW 입력: ')
#id(key)가 members에 있다면
if memID in members:
#비밀번호는 key값인 [memID]이 있는 members와 비교헸을 때 동일하다
if members[memID] == memPW:
print('로그인 성공!!') # 성공
else:
print('비밀번호 확인!!') # 비밀번호가 틀림
else:
print('아이디 확인!!') # 딕셔너리(members)에 아이디가 없음
Q >
삼각형 ~ 심각형까지 내각의 합과 내각을 딕셔너리에 저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dic = {}
for n in range(3,11):
hap = 180 * (n - 2)
ang = int(hap / n) # 내각 구하기.
dic[n] = [hap, ang] # 저장방법 : dic[key] = [합, 내각]
print(dic)
▼
{3: [180, 60], 4: [360, 90], 5: [540, 108], 6: [720, 120], 7: [900, 128], 8: [1080, 135], 9: [1260, 140], 10: [1440, 144]}
Q >
1~10 까지 각각의 정수에 대한 약수를 저장하는 딕셔너리를 만들고 출력하는 프로그램 제작
dic = {}
for n1 in range(2,11):
tempList = []
for n2 in range(1, n1+1): # 1~n1 까지 반복을 다시 돌린다
if n1 % n2 == 0: # = 나머지가 0이면, n2는 n1의약수다
tempList.append(n2)
dic[n1] = tempList # n1이라는 키워드로 tempList에 저장
print(dic)
▼
{2: [1, 2], 3: [1, 3], 4: [1, 2, 4], 5: [1, 5], 6: [1, 2, 3, 6], 7: [1, 7], 8: [1, 2, 4, 8], 9: [1, 3, 9], 10: [1, 2, 5, 10]}
Q >
비속어를 찾고 표준어로 변경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자.
딕셔너리문장.keys()
words = {'꺼지다':'가다',
'쩔다':'엄청나다',
'짭새':'경찰관',
'꼽사리':'중간에 낀 사람',
'먹튀':'먹고 도망',
'지린다':'겁을 먹다',
'쪼개다':'웃다',
'뒷담 까다':'험담하다'}
# txt : 문장
txt = '강도는 서로 쪼개다, 짭새를 보고 빠르게 따돌리며 먹튀했다.'
# key값 꺼내는 방법 : words.keys()
# list와 비슷한 구조니까, list로 타입 변경
# => words의 key값만 뽑은 상태
keys = list(words.keys())
txtMod = ''
for key in keys: # keys(비속어들)에서 key(비속어)를 한개씩 뽑아오기
if key in txt: # 만약에 문장(txt)에 key값(비속어)가 있다면
print('key: {}'.format(key)) #일단 key를 출력하고
print('words[{}]: {}'.format(key, words[key])) # 비속어와 표준어 출력
# replace() 함수 활용
# 변수.replace(바뀔것, 바뀐것)
# 문장.replace(비속어, 표준어)
txt = txt.replace(key, words[key])
print(txt)
▼
key: 짭새
words[짭새]: 경찰관
key: 먹튀
words[먹튀]: 먹고 도망
key: 쪼개다
words[쪼개다]: 웃다
강도는 서로 웃다, 경찰관를 보고 빠르게 따돌리며 먹고 도망했다.
Q >
딕셔너리를 이용해서 5명의 회원을 가입받고 전체 회원 정보를 출력 + 삭제
members = {}
n = 1
while n < 3:
mail = input('메일 입력: ')
pw = input('비번 입력: ')
if mail in members:
print('이미 사용 중인 메일 계정입니다.')
continue
else:
members[mail] = pw # mail을 키로, pw를 밸류로
n+= 1
for key in members.keys():
print(f'{key} : {members[key]}')
#회원 삭제
while True:
delMail = input('삭제할 계정 입력: ')
if delMail in members:
delPw = input('비번 입력: ')
if members[delMail] == delPw:
del members[delMail]
print(f'{delMail}님 삭제 완료!')
break # 삭제 되면 빠져나옴
else:
print('비번 확인 요망!') # pw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else:
print('계정 확인 요망!') # 저장되어 있는 메일 계정 자체가 없는 경우
for key in members.keys():
print(f'{key} : {members[key]}')
▼
메일 입력: jmoh@nana.com
비번 입력: 123456
메일 입력: ojm@nono.com
비번 입력: 23456
jmoh@nana.com : 123456
ojm@nono.com : 23456
삭제할 계정 입력: ojm@nono.com
비번 입력: 23456
ojm@nono.com님 삭제 완료!
jmoh@nana.com : 123456
Q >
가장 효율적으로 학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자료구조를 선택, 컨테이너 자료형으로 만들기
students = {'S21-0001':{'이름':'최성훈',
'성구분':'M',
'전공':'디자인',
'연락처':'010-1234-5678',
'메일':'hun@gmail.com',
'취미':['농구', '음악']},
'S21-0002': {'이름': '탁영우',
'성구분': 'M',
'전공': '바리스타',
'연락처': '010-5678-9012',
'메일': 'yeong@gmail.com',
'취미': ['축구']},
'S21-0003': {'이름': '황진영',
'성구분': 'W',
'전공': '음악',
'연락처': '010-9012-3456',
'메일': 'jin@gmail.com',
'취미': ['수영', '코딩']}
}
#딕셔너리 정보 조회
for k1 in students.keys():
print('-' * 40)
print('회원번호 : {}'.format(k1))
# 학생 1명 = student
student = students[k1]
for k2 in student.keys():
print('{} : {}'.format(k2, student[k2]))
memNo = input('조회할 회원번호를 입력하세요.: ')
print('{} : {}'.format(memNo, students[mem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