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1 - Day4 / Day5 (Matplotlib)

Day4는 과제 제출
- 과제에 관해서 블로그에 써도 되는지 잘 모르겠어서...해당 부분은 생략
Day 5는 Matplotlib 사용하기
기본
- matplotlib은 파이썬에서 그래프를 그릴 때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이다.
- 여러 종류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며, 각종 옵션을 통해서 다양한 그래프를 볼 수 있다.
pip install matplotlib
로 설치를 해줘야 사용이 가능하고,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을 해줘야 한다.
%matplotlib inline
을 입력해서 활성화하면, jupyter notebook의 하나의 셀 안에서 그래프를 볼 수 있게 된다.
함수들
.show()
를 해주면 그래프를 출력해서 볼 수 있다.
.plot()
을 통해 x, y값들을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
- plt.plot([0,1,2,3])
그래프 꾸미기(혹은 설명 붙이기)
figure
와 figsize
를 사용하면 그래프를 출력하는 도면의 크기를 지정해줄 수 있다.
- plt.figure(figsize=(5,5))
plt.axis([x_min, x_max, y_min, y_max])
로 x,y축의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plt.xlabel()
, plt.ylable()
을 사용하면 x축과 y축에 이름을 붙여줄 수 있다.
plt.xticks()
, plt.yticks()
를 사용해서 그래프를 출력하때 표현하는 눈금의 범위를 지정한다. ()괄호 안에는 range()를 사용해서 리스트형식으로 넣는다
plt.title()
로 그래프의 title을 지어준다.
여러 종류의 그래프 그리기
- 꺾은선 그래프(일반 그래프/시계열데이터):
.plot()
- 산점도(점으로만 이루어진 그래프):
.scatter()
- 박스 플롯(수치형 데이터/ 변수의 분포를 비교할 때 사용함):
.boxplot()

- 막대 그래프(범주형 데이터):
.bar()
- 히스토그램(도수분포를 막대그래프로 표현):
.hist()
- 원형 그래프(비율):
.p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