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https://velog.velcdn.com/images/jaehyeon23/post/3798cf95-22e5-4de9-9c26-5dbdea1f6814/image.png)
📌 URI
- Uniform: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 Resource: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제한 없음)
- Identifier: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 URL, URN
- Locator: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
- Name: 리소스에 일므을 부여
- 위치는 변할 수 있지만, 이름은 변하지 않는다
- urn:isbn:89403050 (어떤 책의 isbn URN)
- URN 이름만으로 실제 리소스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은 보편화 되어 있지 않음
![](https://velog.velcdn.com/images/jaehyeon23/post/de18b6c8-ee2a-41a8-b327-462ad20d4ad5/image.png)
🔎 웹 브라우저의 요청 흐름
- 웹 브라우저에서 데이터(HTTP 메시지 생성)
- SOCKET 라이브러리를 통해 OS TCP/IP 계층에 전달
- 해당 데이터에 패킷으로 감싼다
- 패킷에는 출발지 IP/PORT, 목적지 IP/PORT, 전송 데이터, 등등이 실려잇음
- 인터넷을 통해 전송
- 서버에서 패킷을 모두 지우고, 메시지 분석
- 해당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생성
- 응답 메시지에 패킷으로 감싸서 응답 보내줌
-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데이터 해석해서 렌더링해줌
![](https://velog.velcdn.com/images/jaehyeon23/post/5c768619-64dd-42e5-bf68-31bebbca2f83/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jaehyeon23/post/b644edbc-be32-4729-8eb3-ddc9d0e8b764/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jaehyeon23/post/628f2ec5-e50a-4955-b454-f59d1e4587db/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jaehyeon23/post/2019118e-1de0-44de-bac8-526efa33116b/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