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fka Intro : Line Engineering3

Jamangstangs·2022년 5월 3일
0

Kafka

목록 보기
3/5
post-thumbnail

Kafka Intro with LINE Engineering

  • Line Development Day 2018에서 Yuto Kawamura님이 발표한 내용에 기반한 블로그 글을 바탕으로 필자가 알아야 할 내용을 보충설명 하였습니다.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

  1. Broker가 Fetch 요청을 처리한다.

  2. 이 과정에서 sendfile 호출 -> Page Cahe에 데이터가 없고, Disk Read가 필요하면, Network Thread의 Event Loop가 차단이 된다.

  3. 이렇게 되면

    • 현재 처리중인 Request
    • 후속 Response
    • 다른 관련 API

    가 싹다 차단된다는 가설, 같은 Network Thread로 처리되는 관련 없는 API의 Response까지 차단된다.

이를 통해, 원래 관련이 없던 Produce API의 응답 시간이 저하된 것도 설명이 가능하다.

해결 방법

  • sendfile이 Network Thread 내에서 호출 -> 대상 데이터가 반드시 Page Cahce에 존재하도록 Broker를 개선
  • Network Thread 내에서 이루어지는 Disk Read -> Request Handler Thread에서 처리하도록 옮긴다.

WarmUP Page Cache

  • Request Handler Thread로 옮겨도 문제가 없나? -> 하나의 큐를 전체가 Polling, 차단이 발생해도 다른 Thread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하나의 Queue를 전체가 Polling : request queue를 보자,

      1. F : Fetch API
      2. P : Produce API

      Queue에 대기하고 있는 Fetch, Produce API를 전체가 Polling 하는 것을 위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다.

    • Polling : 한 프로그램이나 장치에서 다른 프로그램이나 장치들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검사하여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송수신등의 자료처리를 하는 방식

  • WarmUP Page Cache : 필요한 데이터가 Page Cache에 없고, Disk에서 불러와야 할 때, 이것을 Network Threads에서 처리하지 않고, Request Handler Threads에서 처리한다.

    • 순서를 볼때, 미리 Page Cache에 올려놓으니까 WarmUp Page Cache라고 이해하면 된다.
    • 그렇다면, WarmUP을 어떻게 처리할까?

WarmUP을 처리하는 방법

처리하는 방식에 있어서 시행착오가 있었고, 1번 방법은 Kafka의 효율적인 특성을 잃어버리고, 2번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고 한다.

  1. 대상 데이터에 Read를 호출 -> sendfile에 비해서 Overhead가 크다.

    • read() : data가 Disk에서 로딩 된 다음, User Space의 Buffer에 복사되어버린다.
    • sendfile systemcall : 로컬 디스크의 데이터를 Client Socket에 바로 복사하게 해주는 API

    즉,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read보다는 sendfile system call을 사용해야한다.

  1. sendfile을 호출하면서 목적지를 /dev/null로 설정한다.
    • Linux Kernel : /dev/null을 목적지로 호출 -> 메모리 복사를 하지 않는다
    • 즉, Disk -> Page Cache로 데이터가 로딩 -> 그 이후 메모리 복사는 진행되지 않는다.

적용 이후, Latency 단축 효과

WarmUP Page Cache를 Kafka Broker에게 적용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다.

  1. /dev/null path를 지정해주고,
  2. transferTo -> 내부적으로 sendfile을 사용한다.
  3. 지정한 channel에 데이터를 보낸다.

이를 통해, 순수 Java 코드로만 구현이 완료 가능했다.

  • 이제, Disk Read할 때, Response Time이 느려지지 않음을 두 개의 그래프를 비교하면서 확인이 가능해졌다.
    • 1번째 그래프 : Disk Read가 발생해도
    • 2번째 그래프 : Response Time에서 느려짐이 감지되지 않음.

출처

Line Development Day 2018에서 Yuto Kawamura님이 발표한 내용에 기반한 블로그 글을 바탕으로 필자가 알아야 할 내용을 보충설명 하였습니다.

MORE

Zero Copy에 관해서 이해가 잘 가지않아서, 관련된 Article 출처를 적어놓았다. 다음 포스팅은 이것으로 정했다!

profile
자망스탕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