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107-TIL

Jane·2021년 1월 6일
2

TIL

목록 보기
4/103
post-thumbnail

오늘 한 일

  • 만화로 쉽게 배우는 CPU 챕터 1~2.1
    • CPU, 컴퓨터의 5대 장치, ALU, 논리 회로
  • 미션 1 구현 및 관련 개념 공부
  • 🎲 1.7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

    우선순위 큐 개념도 알고 파이썬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아는데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이것을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은 잘 들지 않아 기본 리스트만 사용하게 된다. 여러 문제를 풀며 감을 익혀야겠다.
    https://janeljs.github.io/greedy/bj-1461/


느낀 점

🧩 Linux

  • cd, mkdir, ls, echo 등 정말 기본적인 명령어밖에 몰랐었는데 chmod 등 접근 권한에 관련된 다양한 명령어들을 익히고, 이것이 우분투 리눅스다를 보며 텔넷 서버와 SSH 서버를 구축해보았다.
  • VMware Workstation Pro를 이용하여 서버 가상머신 2개와 클라이언트 가상머신 2개를 생성하고 각 가상머신에 우분투를 설치했는데, 가상머신 위에 우분투를 설치하는 건 파티션을 나눠 우분투를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하는 것보다 훨씬 쉬웠다. 아래는 한 달 전 쯤 우분투 듀얼 부팅을 설치하고 남겼던 기록이다.

우분투 듀얼 부팅 설치

  • 설치 usb 준비
  • turn off rst 문제 해결
  • gparted를 이용해 이미 우분투가 설치된 파티션 크기 조정
    • usb를 꽂은 상태로 bios에서 usb를 boot sequence 최상단으로 변경
    • install 왼쪽 메뉴 클릭해서 live mode로 우분투 열기
    • gparted 검색
    • basic partition resizing
  • 우분투 파티션 위치 조정
    • unallocated memory가 위에 있으면 밑에서는 할당할 수 없다.
    • partition을 이동, 확장할 수 있는데 확장하고 싶으면 좌우에 unallocated memeory가 있어야 한다.
    • 에러가 나면 check 실행 후 시키는대로 복원 수행 후 재시도
  • 우분투 한글입력 오류 수정
    • fcitx 설치

👉 리눅스 기반 개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우분투를 설치했다. 바이오스도 처음 들어가보는데 잘 할 수 있을까 걱정이 많았고, 중간에 크고 작은 에러들이 발생해 엄청난 구글링과 삽질을 해야했지만 다 설치하고 나니 개발자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진 것 같아 뿌듯하다.
👉 우분투쪽에 50GB 정도 할당해서 설치를 마쳤는데 우분투를 사용하다보니 윈도우보다 UI도 내 취향이고 훨씬 편리함을 느꼈다. 개발은 우분투에서, 기타 툴은 윈도우에서 사용하려면 각각 250GB 정도씩 할당하는게 좋을 것 같았다. 듀얼부팅도 겨우 에러를 해결했는데 파티션 크기를 변경하려니 막막했지만 여러 블로그와 공식 사이트 등의 도움을 받아 파티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었다.
👉 Live mode에서 gparted에 접속하는 것까지는 쉬웠는데 파티션 작동 원리를 몰라 1차 좌절, 파티션을 마음대로 옮기다가 손상이 생겨버려 2차 좌절을 했지만 계속 에러 해결 메시지가 시키는 대로 하다보니가 해결되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