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다식(Lamda) [C#]

JanMatny·2024년 9월 3일
0

C#

목록 보기
3/15

람다식(Lamda)

익명 메소드(anonymous method) : 이름이 없는 메소드, 일회성 메소드에 사용(델리게이트에 전달되는 메소드가 일회성으로 필요할 때 사용함.) <- C# 2.0에서 나온 문법이다.

시그니처(signature) : 함수의 반환타입, 매개변수 목록

람다식(Lamda) : 델리게이트의 일종이다. 익명 메소드보다 간단한 형식을 가지고 있다.

익명 메소드와 람다식 모두 마지막에는 } 뒤에 ;(세미 클론)을 붙여야 한다.

익명 메소드 정의 <- C# 2.0

  • 델리게이트 변수 = delegate ( 매개 변수 목록 )
    {
    // 실행할 코드
    };

람다식 정의 <- C# 3.0

  • 델리게이트 변수 = ( 매개 변수 목록 ) => 식;
  • 익명 메소드를 짧게 줄여 사용할 수 있는 버전이 람다식이다.

문 형식의 람다식 정의

  • 델리게이트 변수 = ( 매개 변수 목록 ) =>
    {
    ####문장1;
    ####문장2;
    ####문장3;
    }

람다식의 단점

  • 델리게이트 체인(Delegate Chain)에 관리가 어렵다.
  • 람다식(Lamda)은 델리게이트 체인(Delegate Chain)처럼 연결은 가능하지만 연결 해제는 불가능하다.
    - 단 Null을 사용하여 어거지로 해제할 수는 있으나 해당 델리게이트가 가지고 있는 정보는 다 날라간다. [ 비효율적이다. ]
profile
코딩 공부용 벨로그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10월 24일

정말 유익한 정보예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