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통계] 산술·기하·조화 평균

JAsmine_log·2025년 9월 1일
0

확률 통계

우리가 흔히 아는 "평균"은 사실 산술평균(Arithmetic Mean)이다.
그런데 상황에 따라 “곱셈 구조”나 “비율 구조”가 중요할 때 쓰이는 것이
그래서 기하평균(Geometric Mean), 조화평균(Harmonic Mean)도 함께 정의한다.

1. 산술평균 (Arithmetic Mean, AM)

AM=x1+x2++xnnAM = \frac{x_1 + x_2 + \dots + x_n}{n}
  • 우리가 가장 흔히 쓰는 평균.
  • 값들을 모두 더한 뒤 개수로 나눈 값.
  • 예: (2,4,6)(2, 4, 6)의 산술평균 = (2+4+6)/3=4(2+4+6)/3 = 4

2. 기하평균 (Geometric Mean, GM)

GM=(x1x2xn)1/nGM = \left(x_1 \cdot x_2 \cdot \dots \cdot x_n\right)^{1/n}
  • 값들의 곱을 취해서 nn제곱근을 씌움.
  • 모든 값이 양수일 때만 정의 가능.
  • 확률값이나 성장률(%) 같은 곱셈 구조에서 자주 사용.
  • 예: (2,4,6)(2, 4, 6)의 기하평균 = (246)1/3=(48)1/33.634(2 \cdot 4 \cdot 6)^{1/3} = (48)^{1/3} \approx 3.634

3. 조화평균 (Harmonic Mean, HM)

HM=n1x1+1x2++1xnHM = \frac{n}{\frac{1}{x_1} + \frac{1}{x_2} + \dots + \frac{1}{x_n}}
  • 역수를 취해서 평균낸 뒤 다시 뒤집은 값.
  • "속도, 비율" 같이 분모에 놓이는 값들의 평균으로 자주 사용.
  • 예: (2,4,6)(2, 4, 6)의 조화평균 = 3(1/2+1/4+1/6)=30.5+0.25+0.16673.273\frac{3}{(1/2 + 1/4 + 1/6)} = \frac{3}{0.5 + 0.25 + 0.1667} \approx 3.273

관계 (양수일 때 항상 성립)

중등/고등학교 수학에서는 산술–기하평균 부등식 (AM ≥ GM ≥ HM) 이 기본적으로 등장한다.
(특히 수열, 부등식 단원에서 자주 나와요.)
대학 수학에서는 해석학, 선형대수, 확률론, 통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주 사용한다.

HMGMAMHM \leq GM \leq AM

즉, 조화평균 ≤ 기하평균 ≤ 산술평균 이고,
모두 같은 값일 때는 x1=x2==xnx_1 = x_2 = \dots = x_n일 때 뿐이다.

활용

  • 산술평균 (AM): 일반적인 “평균값” → 시험 점수 평균, 키 평균 등
  • 기하평균 (GM): 곱셈 구조 → 성장률, 확률, 복리 이자, Perplexity 같은 언어모델 평가
  • 조화평균 (HM): 속도/비율 → 평균 속도 계산, F1-score (정밀도·재현율의 조화평균)
profile
Everyday Research & Developmen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