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정의
문제
원인
가설 수립
소비자의 탐색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방식을 사용한다면 고객 경험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해결 방법
다양한 방식으로의 노출 시도
개인화된 추천 도입
장바구니 추가 상품 노출 기능의 강화
검증 과정
A/B 테스트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 솔루션을 실험하고, 도출된 결과를 비교한다.
결과
소비자의 탐색 경험을 개선했다.
문제 정의
문제
원인
가설 수립
사용자는 국내 / 해외 구분 없이 통합되어 있고, 일관된 검색 결과를 원할 것이다.
해결 방법
검증 과정
UT 를 통해 실제와 동일한 경험처럼 느끼게 하는 인터랙션을 적용한 개선 디자인 제품을 인터뷰이에게 사용하게 했고, AB 테스트도 진행하였다.
결과
멘탈 모델로부터 크게 벗어난 플로우에 구매전환율이 유의미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1차 문제 정의
문제
1차 가설 수립
기존의 회원가입 / 로그인 화면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적어 무슨 앱인지 파악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1차 해결 방법
앱 기능 강조 안 (A)
이벤트 강조 안 (B)
앱 내용 보여주기 안 (C)
1차 검증 과정
2달 동안의 A/B 테스트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 솔루션을 실험하고, 도출된 결과를 비교한다.
1차 결과 ( 실패 )
기존 디자인이 오히려 더 효율이 좋다는 비극적인 결과를 맞이했다.
2차 문제 정의
원인
2차 가설 수립
일본 유저들은 액션을 취하려면 정보가 필요했을 것이다.
다른 한 가지로는 버튼이 많아 로그인 전환이 힘들었을 것이다.
혹은 유저는 성형 어플에 대한 로그인인 만큼, 소셜 로그인 버튼이 부담스러웠을 수도 있다.
2차 해결 방법
제한 변수를 둠
마이크로 카피
2차 검증 과정
1차 때보다 실험의 개수를 줄이고, 정해진 3주 동안의 A/B 테스트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 솔루션을 실험한다.
2차 결과 ( 성공 )
회원 가입 전환율이 1년 대비 20% 상승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었다.
[ 참고 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