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의 class 중 하나인 Stack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Stack의 가장 큰 특징은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 입니다. 즉, 먼저 들어간 데이터는 가장 나중에 출력되고, 가장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는 가장 먼저 출력된다는 것입니다. Sta
Java의 Class 중 하나인 Queue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Queue의 가장 큰 특징은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입니다. 가장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구조로, Stack의 LIFO과는 반대됩니다. 데이터의 가장
import java.util.Arrays자료구조 1page 노트 정리 3일차 입니다. 이번 주제는 Array에 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Array는 다른 말로 배열이라고도 하는데요, 배열이란 동일한 자료형의 데이터를 연속된 공간에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 입니다.변수는
import java.util.HashMap;자료구조 1page 노트 정리 4일차 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HashMap 입니다.HashMap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Map의 일종입니다. Map 이란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 객체로, 두 쌍으로
자료구조 1page 노트 정리 5일차 입니다.오늘의 주제는 Linked List 입니다.ArrayList는 데이터에 접근할 때 인덱스를 바탕으로 조회 또는 삽입을 합니다. 하지만 Linked List는 ArrayList와 달리 노드(객체)끼리 링크를 참조함으로써 이어지
데이터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빠르게 찾기 위해 고안된 완전이진트리(Complete Binary Tree) 형태의 자료 구조이다. 최솟값 또는 최대값을 찾기 위해 배열을 사용한다면 O(n) 만틈의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힙을 사용한다면 Olog(n)만틈 소요되기 때문에
이번에는 자바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서드 중 하나인 정렬 메서드를 살펴보자. 자바의 배열에서 정렬할 때에는 sort() 메서드를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sort() 메서드를 사용하면 오름차순으로 정렬이 된다. 그렇다면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