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1 Page 노트 정리 3일차 : Array

JCY·2023년 11월 15일
0

1 Page 노트 정리

목록 보기
3/7

import java.util.Arrays

자료구조 1page 노트 정리 3일차 입니다.
이번 주제는 Array에 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Array는 다른 말로 배열이라고도 하는데요,
배열이란 동일한 자료형의 데이터를 연속된 공간에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 입니다.

변수는 하나의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지만,
배열(Array)를 사용한다면 하나의 배열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배열의 선언

배열의 가장 큰 특징은 배열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다는 겁니다.
그래서 배열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는데요.
선언을 할 때는 배열의 크기를 지정해주면 됩니다.
최초에 배열의 크기로 선언한 경우 모든 데이터는 0으로 초기화 됩니다.

자료형[] 변수 = new 자료형[배열의 크기];

또는 데이터를 바로 넣고 싶을 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해도 됩니다. 이렇게 사용을 하면 넣은 데이터 만큼 배열의 크기가 정해지게 됩니다.

자료형[] 변수 = {data1, data2, data3, data4, data5};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배열의 선언
        int[] array1 = {1, 2, 3, 4, 5};
        int[] array2 = new int[5];

        array1[0] = 1
        array1[1] = 2 
        array1[2] = 3
        array1[3] = 4
        array1[4] = 5

        array2[0] = 0
        array2[0] = 0
        array2[0] = 0
        array2[0] = 0
        array2[0] = 0

        String[] list = null;
        list = new String[]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
}

배열의 활용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배열의 갯수가 n인 경우, 가장 첫번째 배열인 0부터 n-1까지 인덱스가 부여됩니다.

// 0번 인덱스의 데이터를 10으로 변환
array1[0] = 10;

// 1번 인덱스의 데이터를 15로 변환
array1[1] = 15;

System.out.println(array1[0]); // 0번 인덱스 출력 : 10
System.out.println(array1[1]); // 1번 인덱스 출력 : 15

System.out.println(array1.length); // 배열의 크기 출력 ; 5

이렇게 특정 원소를 조회할 경우 시간 복잡도는 O(1)을 갖는다.

profile
매일매일 성장하는 자바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