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회사에서 Elasticsearch를 사용해 로그를 쌓는 모습을 보게되었는데 어떻게 로그를 쌓는건지 궁금하기도 했고 Elasticsearch가 정확히 무엇인지 몰라서 Elasticseach에 대해서 학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글은 Elasticsearch이 무엇인지 모르는 개발자를 대상으로 Elasticsearch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담고 있습...
서론 안녕하세요, 영훈입니다. 엄청 오랜만에 글을 썼네요. 이번 글에서는 SSR은 어떤 개념이고 react와 같은 SPA에서 어떻게 SSR 환경을 쉽게 구축하는지에 알아보려고 합니다. 또한 실습을 통해서 Next.js와 좀더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차근차근 따라하면 개념을 쉽게 익힐 수 있게 글을 썼습니다. SSR은 무엇인가요? SSR은 S...
서론 안녕하세요, 영훈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이번 글은 웹팩으로 직접 React 개발 환경을 구축해보면서 웹팩에 대한 기본 개념과 감을 잡을 수 있도록 목표로 작성한 글입니다. 웹팩을 사용하고 있지만 정확히 웹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감이 잘 안오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시작하겠습니다. > 완성된 소스코드는 아래 URL에서 볼 수 있습...
시작하기 앞서 이 글은 2편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Travis CI, AWS CodeDeploy, Docker 로 배포 자동화 및 무중단 배포 환경 구축하기 - (1)을 진행하시지 않으셨다면 먼저 진행하고 그 다음에 읽어주세요 > Travis CI, AWS CodeDeploy, Docker 로 배포 자동화 및 무중단 배포 환경 구축하기 - (1) 편 링...
시작하기에 앞서 안녕하세요, 영훈입니다. 이번에는 Traivs CI, AWS CodeDeploy, Docker를 활용해 CI/CD 환경을 구축하는 글을 작성했습니다. 이 글을 작성하기전 제가 Travis CI와 Docker를 공부하면서 어떻게 배포 자동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했는데요 이번 튜토리얼을 진행하면서 저와 같은 고민을 가지신분...
서론 안녕하세요, 영훈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쓰는거 같네요. 제가 쓴 글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시작 해보겠습니다. 오늘은 Sequelize와 Sequelize CLI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난 후 Sequelize CLI를 사용하여 간단한 유저 정보 조회 API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론 ORMMapping.png Seque...
서론 안녕하세요, 영훈입니다. 회사에 입사한 후 인프라에 중요성에 대해서 깨닳게된 후 꾸준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제가 공부한 Nginx의 개념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한 후 Nginx 설치 및 사용하여 Node.js의 프록시 서버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론 Nginx 개념 Nginx는 Event-Driven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에 요청을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