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의 탄생 배경
1969년, 미 국방성에서 진행했던 아루파넷 프로젝트
이 프로젝트는 냉전시대에 핵전쟁을 대비하는 통신망 구축을 위해 추진됨
짜잔 ! IP기반의 네트워크가 탄생
네트워크란?
두 개 이상의 컴퓨터들이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을 이용하는 형태
🧡회선교환 방식

- 미리 할당된 전용선 사용
- 즉시성이 떨어짐
- 이를 보완해서 나온 것이 패킷 교환 방식!
💛패킷교환 방식
- 패킷이란? 데이터를 잘게 쪼갠 단위
- 패킷 교환방식이란? 데이터를 패킷단위로 쪼개어 잘게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
- 각 패킷에는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가 있음=> 전용선 할당이 필요없음!
- 빠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할 수 있음
💚IP/IP Packet
IP(Internet Protocol)
패킷방식을 이용한 IP통신
IP 주소를 컴퓨터에 부여하여 이를 통해 통신
IP는 지정한 IP주소에에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

IP 프로토콜의 한계
1) 비연결성 : 클라는 서버의 상태를 파악할 방법이 없다.
2) 비신뢰성 : 서버 전달 도중 패킷이 소실되어도 클라는 이를 파악할 방법이 없다.
3) 순서없이 전달 : 클라가 의도하지 않은 순서로 서버에 패킷이 도착할 가능성
- 그럼 이러한 한계를 극복한 방법이 있지 않을까? 있다.
바로...
👇👇👇
💙TCP/UDP Packet

TCP란?
IP통신을 보완하기 위한 TCP/UDP패킷
TCP세그먼트는 IP패킷의 정보 + 출발지 PORT, 목적지PORT, 전송제어, 순서, 검증정보를 포함
- TCP의 특징
1) 연결지향(3 way handshake 사용) : 서버가 켜져있는지 응답 기다린 뒤 데이터 전달
2) 데이터 전달 보증 : 데이터 전송이 성공적이라면 그에 대한 응답을 돌려줘서 비연결성 보완
3) 순서 보증 :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으면 TCP세그먼터 정보 토대로 다시 패킷 전송 요청하여 비신뢰성 보완
UDP란?
IP프로토콜+PORT, 체크섬 필드정보만 추가된 단순한 프로토콜
IP vs UDP vs TCP
신뢰성 : IP < UDP < TCP
속도성 : IP > UDP > T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