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T자형 개발자가 되자
post-thumbnail

프록시

프록시는 대리 객체라고도 불린다. 실제 객체 대신 가짜 객체를 먼저 생성해서 필요할 때만 실제 객체에 접근하도록 도와주는 디자인 패턴이다. JPA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조회 성능 최적화를 위해서 프록시 객체를 사용한다.이렇게 호출하면 JPA는 바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값을 조

2025년 3월 7일
·
0개의 댓글
·

영속성 켄텍스트(Persistence Context)

영속성 컨텍스트란? 쉽게 말해서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EntityManager.persist(entity); 영속성 컨텍스트의 이점 1차 캐시 동일성(identity) 보장 트랙잭션을 지원하는 쓰기 지연 (transactional writ

2025년 2월 7일
·
0개의 댓글
·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의존 관계 주입 방법으로 크게 4가지 방법이 있다.1\. 생성자 주입2\.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3\. 필드 주입4\. 일반 메서드 주입▪️생성자 주입은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 관계를 주입 받는 방법을 말한다.▪️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1번만 호출히 가능하다.▪

2025년 1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PI를 이용한 문자인증

이번 글에서는 CoolSMS와 Redis를 이용하여 인증번호가 담긴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인증번호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실 이 주제를 발표 주제로 생각한 것은 아니었지만, API와 관련된 부분을 더 깊이 알고 싶다는 마음에 선택하게 되었

2024년 11월 24일
·
0개의 댓글
·

AWS와 아마존의 관계 및 AWS기능

AWS(Amazon Web Services)는 아마존(Amazon)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부입니다.아마존의 내부 인프라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발전시킨 클라우드 기술을 바탕으로 AWS를 론칭하게 됩니다. AWS는 다양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2024년 10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ava - 가비지 컬렉션

자바에서는 불필요한 메모리 할당을 제거하기 위해 가비지 컬렉션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JVM의 Heap 영역에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부분을 주기적으로 회수하는 작업이다. . 자바에서는 JVM에 탑재된 가비지 컬렉터가 알아서 해준다. 그렇다고 메모

2024년 10월 21일
·
0개의 댓글
·

생성자 주입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

📌 의존관계 주입에는 크게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생성자 주입수정자 주입 (setter 주입)필드 주입일반 메서드 주입✔️ 생성자 주입 방식생성자 주입 방식은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관계를 주입 받는 방식입니다.생성자 방식의 특징은 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2024년 9월 8일
·
0개의 댓글
·

KPT 회고

Keep 인프런 강의를 들으면서 공부를 하고, 새롭게 알게된 부분은 메모하면서 공부함. Problem 모르는 부분이 많아서 이해하는 시간이 많이 필요했고, Spring에 대한 공부가 많이 필요하다고 느꼈음. 새로운 부분 배우면 낯설다고 두려워하지말기! Try 멋사

2024년 7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자바 - 메서드(Method)

자바에서는 함수를 메서드(Method)라 한다.메서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코드의 중복을 제거해 준다는 것이다.코드를 통해서 살펴 보도록 하자.간단하게 변수 두개를 더해서 출력해주는 기능을 개발해보자.위 코드의 문제점은 과연 무엇일까? 만약 프로그램에서 이

2024년 4월 2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ava 배열(Array)

배열은 동일한 자료형(Data Type) 변수를 사용해기 위해 데이터를 연속된 공간에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그렇다면 배열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코드를 통해서 비교해보자.만약 위에 코드처럼 학생을 몇 명 더 추가해야 한다면 변수를 선언하는 부분과 점수를 철력하는 부

2024년 4월 2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ava Scanner 학습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해서는 Scanner가 필요하다.자바에서는 Sysyem 클래스에 있는 시스템과 관련된 기본 기능들을 제공한다.표준 입력(System.in), 표준 출력(System.out), 오류 스트림(System.err)등 Java에서 제공해주는 기능들을 사

2024년 4월 27일
·
0개의 댓글
·

Java 스코프

Scope(스코프)란 무엇일까? 변역을 하면 범위라고 나온다.자바에서 스코프도 마찬가지로 접근 범위라는 것이 있다.다음 코드에서 분석해 보도록 하자!public class Scop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2024년 4월 27일
·
0개의 댓글
·

상태코드 자세히 알아보기

http 상태코드 자세히 알아보기

2024년 2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자바에서의 상속

상속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기존 클래스의 필드와 메서드를 새로운 클래스에서 재상용하게 해준다면 얼마나 편리할까? 바로 이것이 상속이다. 상속을 하려면 extends 키워드를 사용하면 된다.extends 키워드는 대상을 하나만 선택할

2024년 1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inal과 static을 같이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필자는 여태까지 멤버변수에 있는 상수(Constant)를 그냥 상수라서 final과 static을 같이 사용했었는데, 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왜 같이 사용하는지 의문점이 들었다.그래서 왜 같이 사용하는지 생각해보았는데, 바로 메모리 낭비를 하지 않기위해서 같이 사용하는

2024년 1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ava 메모리 구조

자바의 메모리 구조에는 크게 메서드 영역, 스택 영역, 힙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메서드 영역 : 클래스 정보(실행코드), 필드, 메서드와 생성자 등 모든 코디가 존재한다. 또한 static 영역과 상수들을 관리한다.스택 영역 : 실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영역으로 자바

2023년 12월 28일
·
0개의 댓글
·

this 와 this()

2023년 12월 21일
·
0개의 댓글
·

null과 NullPointerException

오늘은 NullPointerException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코드를 작성할 때마다 NullPointertException이 자주 떠서 오늘은 자세하게파해처보려고 한다.먼저 null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null이란? null은 참조값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2023년 12월 19일
·
0개의 댓글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설계 원칙 (SOLID)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설계 원칙 (SOLID)1\. SOLID란?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지켜야하는 5대 원칙시간이 지나도 변경이 용이하고, 유지보수와 확장이 쉬워짐 (핵심은 추상화와 다형성)5대 원칙: SRP(단일 책임 원칙), OCP(개방-폐쇄 원칙), LSP

2023년 12월 18일
·
0개의 댓글
·

프로그래머스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9

2023년 12월 17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