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로틀(Throttle)과 디바운스(Debounce)는 자주 사용되는 이벤트나 함수들(input, scroll 등)의 실행되는 빈도를 줄여 성능상의 유리함을 가져오기 위한 개념입니다.쓰로틀과 디바운스의 예제를 보고 설명하겠습니다.먼저 쓰로틀(throttle)은 여러번
개발을 하면서 웹사이트(또는 앱)에서 속도가 그렇게 중요한가? 라는 생각을 종종 하기도 했고 성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은 많이 들었지만 실제로 이래서 필요하구나 하고 느끼거나 와닿은 적이 없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성능(속도)이 왜 중요한지를 직접적으로 알려주고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데 어렵게 구현하다가 자바스크립트의 내장 객체 Map을 사용해서 쉽게 해결 할 수가 있었습니다.복습 겸 정리하기 위해 MDN을 참고하여 예시 코드와 함께 간단하게 정리 해보았습니다.Map 객체는 키-값 쌍을 보유하고 있으며 키의 삽입 순서를 기억한다
리눅스 작업을 위해 알아야 하는 최소한의 명령어들 정리mkdir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 생성 ( 한번에 어러개 생성 가능 - mkdir one two three)mkdir -p 디렉토리1/디렉토리2/... - 다중 디렉토리 생성rmdir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 삭제(파
flex : 컨텐츠를 정렬하거나 공간을 나눌수 있는 CSS속성의 집합display의 속성이다.flex-direction - 정렬 방향을 결정justify-content - 축을 기준으로 배열의 위치를 조종하거나 아이템 간의 간격을 설정align-items - 세로축(c
하위 선택자공백을 사용하여 나타냄앞 요소의 자손인 뒤 요소를 선택자식 선택자\> 를 사용하여 나타냄앞 요소의 자식인 뒤 요소를 선택(바로 아래 자식을 선택)인접 형제 선택자\+ 를 사용하여 나타냄\+ 를 기준으로 앞 요소 직후에 나오는 뒤 요소를 선택일반 형제 선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