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프로토콜과 통신을 기능별로 나누고 계층별로 구분하기 7계층으로 나눠서 표현한 표준 모델
디지털 bit(0 & 1)을 전기, 무선 또는 광 신호로 변환하여 장치와 통신 매체 사이의 비정형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
케이블이나 허브, 리피터 등이 여기에 속함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해서 연결을 설정하고 관리
물리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
모뎀, 스위치가 여기에 속함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 전송, IP주소로 통신
출발지 IP에서 목적지 IP로 데이터 통신 시 중간에서 라우팅 처리
데이터가 큰 경우 분할 및 전송 후 목적지에서 재조립하여 메시지 구현
L3스위치, 라우터가 여기에 속함
호스트 간의 데이터 전송
오류 복구 및 흐름 제어, 완벽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
TCP/UDP가 여기에 속함
Port를 제어하는 L4 로드 밸런서같은 장비가 4계층 장비이긴하지만 4계층부터는 하드웨어의 장비를 일컫는게 아님.
로컬 및 원격 애플리케이션 간의 IP / Port 연결을 관리
사용자 프로그램과 네트워크 형식간에 데이터를 변환하여 표현과 독립성을 제공
인코딩, 디코딩, 암호화, 압축이 여기에 속함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소프트웨어를 의미
이메일 서비스 SMTP, 파일전송 FTP 등이 여기에 속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