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축 개요
네트워크 구축 대상 - 회사, 공공기관, 학교
서비스 & 업무의 효율화 및 개선 - 비지니스 목표에 부합 -> ROI
- 연결 : 고객 - 서비스(애플리케이션), 업무 - 직원
절차
- 예산 요청 및 확보
- 인터뷰 & 요구사항 수립 및 정리 - 기술적 & 관리적
- 네트워크 통합 구축 업체 요청 - RFP(Request For Proposal) - BMT or PoC
요구사항 수립
- 각 부문별 정보취합
- 서비스 형태(외부 & 내부), 애플리케이션 종류
- 방문자 or 사용자 수 - 트래픽 용량 산정 -> WAN & LAN
- 외부 방문자 -> 서버 트래픽을 감당 가능한 네트워크 장비 용량 - 회선
- 사내 사용자 -> 단말기의 수 -> 논리적 & 물리적 스펙 산정 - PC 및 스위치 Backplane
- 비용 -> 이중화 & 보안 고려
- 최대한 많은 정보 취합 -> 네트워크 용어로 치환 및 세부 정리 -> 부족한 부분 리뷰 후 추가 문의
스펙 확인
- 인터뷰 내용 정리 - 현황 파악 및 분석 - 신규 or 기존망
- 공통(일반), 선택으로 구분하여 정리 -> 현업 부서와 협의
- 회선속도, 처리용량, 인터페이스 타입과 수량, 이중화 기능, 프로토콜 지원(VLAN, OSPF, BGP)
구축 과정
구성도 작성
Top-down, Bottom-up
계층적 설계(Core, Distribute, Access)
서브네팅과 IP 할당
- 서비스 or 팀 별 등으로 서브넷 구분
- 공인 IP - WAN 구간 라우터 IP 할당, 서버, NAT 등
- 사설 IP - L3 백본 기준으로 서비스 or 팀 별 구분 -> Zone & VLAN
마운트 및 케이블링
물리적 작업, Rack 실장
- 장비의 크기, 전원, 케이블 길이 및 타입 확인
테스트
-
네트워크 연결성
인접장비 - Ping, Tracert
-
라우팅
Static
BGP & OSPF
-
서비스
개별 서비스 별로 정상 유무 확인
-
통합 테스트 진행 - 시나리오
서비스 런칭
- 장비 상태점검
CPU & 메모리, 대역폭 등
- 문제 접수 및 조치
체크리스트 점검 후 레이어 별 확인
- 모니터링
지속적인 연결성과 latency 확인
- 보완
효울성 및 보안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