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주관적인 관점에서 쓰인 글이고, 개인적인 경험에 의겨하였습니다. 많은 회사들이 각자에 맞는 채용 프로세스를 가지고있으니, 무조건 따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이직을 준비하게 되면서 정말 놀라는 일이 많았다. 첫번째로는, 개발자가 굉장히 활발하게 지식 공유
Hook은 react 16.8에 새로 추가되었다. Hook을 이용하여 class를 작성할 필요가 없이 상태변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useState함수컴포넌트에 상태를 가질 수 있게 해준다.실행순서 중요!useEffectlifecycle!(componentDidMoun
주니어 개발자들에게는 가깝지만 항상 멀게만 느껴졌던 문제는 performance이다. 항상 performance를 생각해서 웹을 빌드한다고 하지만, 막상 서비스를 만드는데에만 급급해지고, 시간여유상 performance는 시니어들이 개선한다. 많은 주니어 개발자들이 시
우선 넓은 개념을 한번 보자. 상속이란 개념은 반복적인 코드를 사용하지않고 재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시간과 코드의 양등에 있어서 굉장히 효율적이다. 객체지향 언어는 상속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나뉠수있다.클래스 기반 언어: java, python, ruby, C++
면접관: 실행컨텍스트란 무엇인가요? 설명가능한가요?프론트 개발 2-3개월 차일때, 이직을 고민하고 면접봤었던 회사에서 면접관의 질문이었다. 그당시 어떤 말을 했는지 잘 기억이 나진 않지만, 결과적으로 면접관을 납득 시킬만한 대답을 하진 못했던 기억이난다. 그후에 공부하
사실 필자도 자바스크립트를 잘 모른다. 다만 뭐지는 안다... 그리고 써봤다... 그렇지만 자바스크립트를 정말 모른다면 타입스크립트를 할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우선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의 superset이다. Superset이란? A >= B 일때, A는 B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느꼈던 점을 몇가지의 포스팅을 통해서 공유해볼려고 합니다.왠만하면 첫 언어 혹은 framework를 배우면서 바로 서비스를 처음부터 만들지 않는다. 대부분, 그 기술스택에 능한 사람을 옆에 끼고(?), 같이 만들게 되고 이렇게 되었을때 그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