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색은 일반 수학에서의 비교 연산
노란색은 javascript에서의 비교연산

==과 !=
: = 을 하나 쓰는 것을 같다의 의미가 아닌 a = 3과 같은 경우 a에 3이라는 값을 할당한다는 의미 함.
그러므로 같다를 표현하기 위해서 ==을 사용함.
: != 은 다른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며 값을 반환하게 되는데 반환형은 항상 불린형이다.
// true or false
: code
console.log(10 > 5); //결과 : true
console.log(10 == 5);//결과 : false
//==은 동등 연산자라고함.
console.log(10 != 5);//결과 : true
const a = 1;
const b = "1";
console.log(a == b);
//결과 : true
const a = 1;
const b = "1";
console.log(a === b);
//결과 : false
어떤 조건에 따라 이후 행동이 달라지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함.
//이 코드는 age가 19보다 크면 중괄호 안에 코드가 실행됨.
//코드가 한줄 뿐이라면 중괄호를 생략할 수 있지만 코드의 통일성과 가독성을 올리기 때문에 항상 써주는게 좋음.
//if안에 괄호 안의 값은 항상 불린형으로 변환된 뒤 판단된다.
//불린형으로 형변환 되는 것과 같음.
if(age > 19){
console.log('환영합니다.');
}

if(age > 19) {
console.log('환영합니다.');
}
if(age <= 19) {
console.log('안녕히가세요.');
}
const age = 30;
if(age > 19) {
console.log('환영합니다.');
} else{
console.log('안녕히 가세요.');
}
//if, else, else if
//추가요구사항 :
//19살이면 수능 잘치세요 라는 문구를 보여주세요
//age === 19
const age = 10;
if(age = 19){
console.log('환영합니다.');
} else if(age === 19) {
console.log('수능 잘치세요.');
} else {
console.log('안녕히 가세요.');
}
console.log('-------------------')
//첫번째 if()문이 true면 하단 console.log('환영합니다.');가 실행이되고,
//그게 아니라 else if()가 true라면 console.log('수능 잘치세요.')가 실행이됨.
//그것도 아니라면 최종적으로 else가 실행됨.
해당 글은 유튜브 코딩앙마님의 javascript기초 강의영상을 정리하였습다.
코딩앙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