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에서는 다음과 같이 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변수는 변하는 수를 의미하며 코딩 중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 값이다.(;(세미콜론)은 한 문장의 끝을 의미함.)더불어 name = "Hell World"구문에서 ""로 감싸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문자형 선언 방법 3가지Null은 존재하지 않는 값을 의미하며 undefined는 값이 할당되지 않았음을 의미함.변수의 자료형을 알아낼 수 있음.아래 코드에서 \`\`으로 감싸준 구문은 재대로 변수값이 출력 되지만, ""로 감싸준 구문은 변수명이 유출됨. 문자형과 문자
1. alert (알려줌) 2. prompt (입력 받음) 3. confirm (확인 받음)
"Hello" + "word" = "Hello world": 문자형과 문자형을 더해주면 이어서 보여줌.100 + 200 = 300: 숫자형과 숫자형을 더하면 두수를 더한 합을 보여줌."100"+ 200 = ??: 위와 같이 자료형이 다르면 의도치 않는 동작이 발생할 수
연산자: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나머지)나머지(%)를 어디에 쓸까?나머지 값은 유용하게 자주 사용이됨.ex1): 홀수 : X % 2 = 1: 짝수 : Y % 2 = 0ex2): 5보다 작은 수를 얻고 싶을 경우 아무리 큰수
흰색 일반 수학에서의 비교 연산노란색 javascript에서의 비교연산==과 !=: = 을 하나 쓰는 것을 같다의 의미가 아닌 a = 3과 같은 경우 a에 3이라는 값을 할당한다는 의미 함.그러므로 같다를 표현하기 위해서 ==을 사용함.: != 은 다른다는 것을 표현하
03\. ! (NOT)
: for문 괄호에 세미콜론으로 나누어지는 3개의 식이있다.: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이라고 표현됨.: 초기식은 처음 반복문에 진입시 1번만 실행됨.: 조건식은 반복문이 돌며 조건을 확인하며 false가 되면 멈춤.: 증감식은 반복문이 한번 돌아온 이후의 해야할 작업을
: 모든 Switch문은 if else문으로 작성 가능함.: 케이스가 다양할 경우 보다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음.
: 서비스 개발 시 같거나 비슷한 동작들이 생기기 마련이다. ex) 팝업, 결제 등등: 자주 사용하는 동작들은 하나로 만들어 두고 재활용하는 것이 좋음: 중복 코드도 줄어 들고 유지보수도 편하게 되고, 함수는 이를 가능하게 함.: console, alert, conf
: 챕터 10에서 배웠던 아래 그림과 같은 방식을 함수 선언문이라고 함.: 이름이 없는 함수를 만들고, 변수를 만들어 함수를 할당하는 방식.: 이를 함수 표현식이라고하고, 사용 방식은 동일함.: 실행하는 방식도 동작하는 방식도 동일함.: 호출할 수 있는 타이밍: Jav
let animals= "Aardvark", "Albatross", "Alligator", "Alpaca", "Ant", "Ape", "Armadillo", "Donkey", "Baboon", "Badger",
//객체 자료형 선언방법//배열과 비슷한 구조이며 키와 값이 존재//각 키와 값은 ,으로 나눔let patient = { name : "hyeonjin", age : 23, disease : "code"}console.log(patient)//변수명 이후 . 으로
//if 문//문제 1//유저가 입력하는 숫자가 0인지 음성인지 양성인지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만드시오.//let input1 = prompt("첫번째 값을 입력해주세요. : ");//if(input1 == 0)//{ //alert("입력한 수가 0입니다.");//}/